가야산국립공원 홍류동 계곡 소나무림의 생태적 특성 및 15년간(1989년${\sim}$2004년) 식생구조 변화분석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Change for Fifteen Years($1989{\sim}2004$)of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the Pinus densiflora S. et Z. Forest in Hongrudong Valley, Gayasan National Park

  • 이경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 ;
  • 최진우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
  • 최운규 (국립공원관리공단 속리산사무소) ;
  • 한봉호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
  • 발행 : 2006.06.01

초록

본 연구는 가야산국립공원 홍류동 계곡 소나무림의 생태적 특성 및 기존 소나무림에 대한 15년간 식생구조 변화 실태를 분석하여 소나무림 보전관리방안의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하였다. 소나무림내에 20개 조사지(단위면적: $500m^2$)를 설정하여 TWINSPAN 분석결과 7개 군집유형으로 구분되었으며 교목층에서는 소나무, 아교목층에서는 서어나무, 굴참나무, 졸참나무, 관목층에서는 조릿대, 진달래, 개옻나무 등이 우점종이었다. 샤논의 종다양도는 $0.6803{\sim}1.2559$이었고 출현종수는 $27{\sim}40$종이었다. 15년간 식생구조 변화 분석결과 상대우점치는 아교목층에서 서어나무, 졸참나무, 굴참나무의 세력이 증대되었다. 샤논의 종다양도는 $0.2608{\sim}1.0124$에서 $0.5547{\sim}1.2567$로 출현종수는 $14{\sim}26$종에서 $26{\sim}34$종으로 증가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data for conservation management of Pinus densiflora forest by analyzing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the change of Pinus densiflora community structure for fifteen years in Gayasan National Park.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WINSPAN analysis of Pinus densiflora forest, there were twenty plots(unit: $500m^2$)and it was classified into seven community types. The dominant species were Pinus densiflora in canopy layer, Carpinus laxiflora, Quercus variabilis, Quercus serrata in the understory layer and Sasa borealis, Rhododendron mucronulatum, Rhus trichocarpa in the shrub layer. The index of shannon's diversity was from 0.6803 to 1.2559 per $500m^2$ and the range of species number was from twenty-seven to fourty. As a result of the change of Pinus densiflora forest structure, the importance percentage(I.P.) of Carpinus laxiflora, Quercus variabilis, Quercus serrata in the understory layer were increased for fifteen years. The index of shannon's diversity changed $0.2608{\sim}1.0124\;into\;0.5547{\sim}1.2567\;per\;500m^2$ and species number changed $14{\sim}26\;into\;26{\sim}34$ for fifteen year.

키워드

참고문헌

  1. 국립공원관리공단 가야산관리사무소(1997) 가야산국립공원 자연생태계 보전계획. 국립공원관리공단, 131쪽
  2. 이경재, 한봉호, 이옥하(1998) 설악산국립공원 자양천지역 소나무림 군집구조 및 생육거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1(4): 493-505
  3. 이경재, 임경빈, 조재창, 류창희(1990) 속리산 삼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I)-소나무림 보존계획-. 응용생태연구 4(1): 23-32
  4. 이경재, 조재창, 우종서(1989) Ordination 및 Classification 방법에 의한 가야산지구의 식물군집구조분석. 응용생태연구 3(1): 28-41
  5. 이창복(1980)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990쪽
  6. 조재창, 조우, 한봉호(1995) 주왕산국립공원의 소나무림 군집구조. 응용생태연구 8(2): 121-134
  7. 한국갤럽조사연구소(2001) 산림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보고서. 산림청, 36쪽
  8. Brower, J. E and J. H. Zar(1997)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 general ecology. Wm. C. Brown Company. 194pp
  9. Curtis J. T. and R. P. McIntosh(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Ecology 32: 376-496
  10. Hill, M. O.(1979) TWINSPAN-A FORTRAN Program for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 and Reciprocal Averaging. Ithaca, N. Y. Cornell Univ. Press, 99pp
  11. Monk, C. D., G. I. Child and S. A. Nicholson(1969) Species Diversity of a Stratified Oak-hickory Community. Ecology, 50(3): 468-470 https://doi.org/10.2307/1933901
  12. Pielou, E. C.(1975) Mathematical ecology. John Wiley & Sons, New York, 385p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