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출산국립공원 미왕재-천황봉 구간의 능선부 식생구조

Vegetation Structure of Mountain Ridge from Miwangjae to Cheonwhangbong in Weolchulsan National Park

  • 추갑철 (진주산업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 김갑태 (상지대학교 생자대) ;
  • 조현서 (진주산업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Choo Gab-Cheul (Dept. of Forest Resource, Chinju National Univ.) ;
  • Kim Gab-Tae (College of Life Sci. & Resour., Sangju Univ.) ;
  • Cho Hyun-Seo (Dept. of Forest Resource, Chinju National Univ.)
  • 발행 : 2006.06.01

초록

월출산국립공원 능선부의 식생구조를 파악하고자 미왕재-천황봉 구간 능선부에 방형구 ($2000m^2$) 11개를 설정하여 식생을 조사하였다. 식물군집을 분류한 결과 11개 조사구는 신갈나무군집, 신갈나무-때죽나무군집, 신갈나무-소나무군집 등의 3개 군집으로 분류되었다. 미왕재-천황봉 구간의 능선부는 대부분이 신갈나무가 우점하고 있었으며, 일부 지역에서 때죽나무, 소나무 등의 침엽수와 낙엽수종들이 혼효하고 있었다. 수종간의 상관관계에서는 산벚나무와 회잎나무; 졸참나무와 화살나무; 팔배나무와 화살나무, 함박꽃나무; 당단풍과 회잎나무; 철쭉과 회잎나무, 화살나무와 생강나무, 밤나무, 비목나무; 싸리와 산철쭉; 밤나무와 함박꽃나무; 함박꽃나무와 비목나무 등의 수종들 간에는 높은 정의 상관이 인정되었고, 철쭉과 화살나무; 싸리와 밤나무; 국수나무와 함박꽃나무; 산철쭉과 비목나무; 회잎나무와 함박꽃나무; 쇠물푸레와 사람주나무; 산벚나무와 조록싸리; 조록싸리와 비목나무 등의 수종들 간에는 부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조사지의 군집별 종다양성지수는 $2.3225{\sim}2.7721$ 범위로 다른 국립공원들의 능선부 식생에 비하여 다소 높게 나타났다.

To investigate the vegetation structure of mountain ridge from Miwangjae to Cheonwhangbong, 11 plots($2000m^2$) set up with random sampling method were surveyed. Three groups of Quercus mongolica community, Quercus mongolica-Styrax japonica community, Q. mongolica-Pinus densiflora community were classified by cluster analysis. Quercus mongolica was a major woody plant species in the ridge area from Miwangjae to Cheonwhangbong, and Styrax japonica and Pinus densiflora was partly occupied. High positive correlations was proved between Prunus sargentii and Euonymus alatus for. ciliato-dentatus; Quercus serrata and Euonymus alatus; Sorbus alnifolia and Euonymus alatus, Magnolia sieboldii; Acer pseudo-sieboldianum and Euonymus alatus for. ciliato-dentatus;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and Euonymus alatus for. ciliato-dentatandus; Euonymus alatus and Lindera obtusiloba, Castanea crenata, Lindera erythrocarpa; Lespedeza bicolor and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Castanea crenata and Magnolia sieboldii; Magnolia sieboldii and Lindera erythrocarpa, and relatively high negative correlations was proved between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and Euonymus alatus; Lespedeza bicolor and Castanea crenata; Stephanandra incisa and Magnolia sieboldii; Rhododendron yedoense var. poukhanense and Lindera erythrocarpa; Euonymus alatus for. ciliato-dentatus and Magnolia sieboldii; Fraxinus sieboldiana and Sapium japonicum; Prunus sargentii and Lespedeza maximowiczii; Lespedeza maximowiczii and Lindera erythrocarpa. Species diversity(H') of investigated groups was ranged $2.3225{\sim}2.7721$, and it was relatively low value compared to that of mountain ridge area of other national parks.

키워드

참고문헌

  1. 국립공원관리공단(1998) 국립공원30년사. 국립공원관랴공단 홍보실, 310쪽
  2. 국립공원관리공단(1998) 월출산국립공원자연자원조사, 2쪽
  3. 국토연구원(2000) 백두대간 효율적 관리방안 연구: 관리범위 설정을 중심으로(1차년도). 국토연구원, 63쪽
  4. 김갑태, 김준션, 추갑철(1993)소백산 도솔봉 지역의 삼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응용생태연구 6(2): 127-133
  5. 김갑태, 추갑철, 엄태원(1996a) 오대산 국립공원 상원사, 비로봉, 호령봉 지역의 삼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환경생태학회지 10(1): 151-159
  6. 김갑태, 추갑철, 염태원(1996b) 오대산 국립공원 동대산, 두노봉, 상왕봉 지역의 삼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환경생태학회지 9(2): 147-155
  7. 김갑태, 백길전(1997) 설악산국립공원 대청봉-한계령 지역의 산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환경생태학회지 11(4): 391-398
  8. 김갑태, 추갑철, 엄태원(1997a) 설악산 국립공원 대청봉-소청봉 지역의 삼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환경생태학회지 10(2): 240-250
  9. 김갑태, 백길전(1998) 태백산 장군봉지역 주목림의 임분구조에 관한 연구. 환경생태학회지 12(1):1-8
  10. 김갑태, 추갑철, 백길전(2000) 지리산 국립공원 명선봉, 덕평봉지역의 산림군집구조에 관한연구-구상나무군집-. 환경생태학회지 13(4): 299-308
  11. 김갑태, 추갑철(2003) 백두대간 노고단-고리봉구간의 식생구조. 환경생태학회지 16(4): 441-448
  12. 김갑태, 추갑철(2005) 월악산국립공원 덕주사-동창교 지역의 삼림군집구조. 환경생태학회지19(2):75-82
  13. 김철수, 장윤석, 박연수(1989) 월출산의 식생. 한국자연보존협회조사보고서 27:83-103
  14. 박인협(1981) 경기도 지방 적송림의 식물사회학적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8쪽
  15. 박인협, 최영철, 문광선(1993) 소백산지역의 달밭재-비로봉 능선부의 삼림군집구조. 응용생태연구 6(2):147-153
  16. 오구균, 박석곤(2002) 백두대간 피재-도래기재구간의 능선부 식생구조. 환경생태학회지 15(4): 330-343
  17. 이은복, 전의식, 최병희, 정규영(1989) 월출산 일대의 식물상. 한국자연보존협회조사보고서 27:47-69
  18. 임양재, 한창섭, 양권열, 방제용{1989) 영암 월출산 삼림식생의 식물생산에 관하여. 한국 자연보존협회 조사보고서 27:71-82
  19. 정창희, 손윤구(1989) 월출산의 지형. 한국 자연보존협회조사보고서 27: 29-38
  20. 추갑철, 김갑태, 김정오(2002) 깃대봉-청옥산지역 능선부의 산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환경생태학회지 15(4) 354-360
  21. 추갑철, 김갑태(2005) 백두대간 부봉-포암산 구간의 식생구조. 환경생태학회지 19(2): 83-89
  22. Ludwig, J.A. and J.F. Reynolds(1988) Statistical Ecology. John Wiley and Sons, N.Y., 377pp
  23. Pielou, E.C.(1975) Ecological diversity.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168p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