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increasing KTX operation efficiency of long-distant transportation methods in Korea

고속철도 운영효율성 분석

  • 이윤재 (한국철도공사 철도인력개발원) ;
  • 오태완 (거창도립전문대학 e-비즈니스과)
  • Published : 2006.12.30

Abstract

Last 1970's Korea opened the Kyoung-bu highways from Seoul to Pusan, and Korea government had change the transportation policy to focusing on the road and motors. but 1990's Korea had been the heavily traffic jam in long distant transportation system and logistics. That's why Korea government studied on feasibility survey of High-speed train. As the KTX opens, traffic networks covering large areas In Kyeongbu-line (Seoul- Daejeon- Busan) are expected to raise synergy effects in economics as well as in korean culture respects. Having been playing an important transportation role in Korea for the last 106 years. With opening of the high speed railway, KORAIL in inevitable to make a drastic reform. To achieve this purpose, it is necessary that KORAIL has to be small and effective streamlined organization. In should increase traffic capacity by improving infra facilities. It need to also expand its internal functions by connecting the KTX with the conventional railroad system.

본 연구는 고속철도(Korea Train Express: KTX)의 지역간 교통수단으로의 역할과 기능을 충실히 하기 위해서 개선이 필요한 사항을 철도공사에 재직 중인 직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건설교통부의 합리적인 지역간 교통배분 정책이 필요하다. 우리나라 중장거리권역 교통수단분담률에서 승용차와 고속철도의 비교우위 분기점은 대전과 대구 사이로 나타나고 있다. 고속철도의 경우 자동차 및 항공기와 경쟁구간인 서울${\sim}$대구 구간의 영업에 집중하고 단거리 구간에서의 경쟁은 가능한 피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으로 여겨진다. 둘째, KTX 경영개선을 통한 수요증대가 요구된다. 철도공사 직원들은 전문인력 양성과 전문인력 관리가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그리고 고속철도의 운영정책은 운임결정에 대한 자율권 확보가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