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n the Marine Traffic Flow Characteristics for Gamcheon Harbor

감천항 해역에 대한 해상교통특성 분석

  • Kim Jun-Hoon (Division of Maritime Transportation Science, Korea Maritime University) ;
  • Gug Seung-Gi (Division of Maritime Police Science, Korea Maritime University)
  • Published : 2006.06.01

Abstract

Gamcheon harbor was developed as a multipurpose port to mix processing functions of exclusive piers for bulk cargo such as marine products, domestic cargoes. Since the container terminal was opened in 1997, maximum $40,000\sim50,000$ DWT containership have been incoming and outgoing. However, bemuse the breakwater entrance in Gamcheon harbor is narrow and the crossed vessels are ever-present at breakwater front, marine accident danger is high that grasping traffic characteristics is required in reply. Therefore marine traffic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for Gamcheon harbor and Gamcheon approaching waters, included the track and traffic volumes of peak hours period in inbound/outbound and front sea area of the harbor in present.

감천항은 수산물, 연안화물 등 산화물 전용부두 처리기능이 복합된 다목적항만으로 개발되었다. 1997년 컨테이너 부두가 개장된 이후로 현지 최대 $40,000\sim50,000DWT$급 컨테이너 선박이 입 출항 하고 있다. 그러나 감천항은 방파제 입구가 협소하고, 방파제 전방에서 선박의 통항상충이 상존함으로 해상충돌사고의 위험이 높아 이에 대한 교통특성 파악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현재 감천항을 입 출항하는 선박과 감천항 전방해역의 선박에 대한 항적과 시간대별 교통량을 통해 첨두시간대 등의 해상교통특성을 분석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세원, 이윤석, 박영수외 3인(2006), "부산 중앙부두 주변 해역의 교통호흡 및 통항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항해항만학회지, 제30권 제1호, pp. 9-15. https://doi.org/10.5394/KINPR.2006.30.1.009
  2. 김철승, 정재용, 박영수(2006), "여수.광양항 출입항로의 해상교통환경 조사에 관한 연구", 한국항해항만학회지, 제30권 제1호, pp. 1-8. https://doi.org/10.5394/KINPR.2006.30.1.001
  3. 송재욱, 이윤석, 박영수외 3인(2005), "포항항 항로지정을 위한 주요 통항로 및 통항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항해항만학회지, 제29권 제1호, pp. 821-826. https://doi.org/10.5394/KINPR.2005.29.10.821
  4. 박진수, 박영수, 이형기(2005), "(최신)해상교통공학", 한국해양대학교 해사도서출판부.
  5. James, L. P. (1999), "Traffic Engineering Handbook(5th edition)", Institute of Transportation Engineers.

Cited by

  1. Characteristics of Ship's Traffic Route in Yeosu·Gwangyang Port vol.28, pp.2, 2016, https://doi.org/10.13000/JFMSE.2016.28.2.5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