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athering Impact for Rock Properties and Material Characteristics of Concretes Used Stone Pagoda of the Mireuksaji Temple Site, Iksan, Korea

익산 미륵사지 석탑에 사용된 콘크리트의 재료학적 특성과 석재의 풍화에 미치는 영향

  • Lee Dong-Sik (Iksan Mireuksaji Stone Pagoda Conservation Team,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Properties) ;
  • Lee Chan-Hee (Department of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s,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Kim Ji-Young (Department of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s, Kongju National University)
  • 이동식 (국립문화재연구소 미륵사지석탑보수정비사업단) ;
  • 이찬희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 김지영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Published : 2006.06.01

Abstract

The Mireuksaji stone pagoda in Iksan is the largest stone pagoda existing in Eastern Asia. It was assumed that originally it had been established in the shape of nine-storied pagoda but as time went by only six-storied pagoda remained partially due to collapsing, repair and re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reference, we can't make sure when its modification happened. The form that the pagoda is having now, was modified with concrete by the Japanese during the 1910s. The materials mixed in concrete were mixture of Portland cement, all sorts of stone, sand, and a little bit of new building stone, additive and compound. And also these materials were applied to cultural assets without any experiment at the time of 1910s as maintenance, which are still used recently. To prevent the change of its shape, the west side, south side and the north side which is partially destructed was rebuilt and reinforced with concrete and some of the deformed parts were also filled. The amounts of concrete used were about 200 tons. Such method had prevented the pagoda from destructing, however, by choosing a wrong repair method, its surface of the stone has secondary contaminants and precipitation caused by concrete. This kind of contamination speeds up the weathering which accelerates the aging mechanism of the stone to make it even harder to revive the absence of historical nature. Therefore, we are to find the best cleaning method to remove the secondary hazard contaminants.

익산 미륵사지 석탑은 현존하는 동양 최대의 탑이다. 창건 당시 9층탑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오랜 세월을 거치면서 붕괴되어 수리 또는 개축되었음이 확인되었고 최근까지 6층 일부만이 남아 있었다. 문헌상으로 정확한 탑의 변형시점을 알 수는 없다. 현재의 탑 형태는 1910년대 일본인들이 붕괴된 탑을 콘크리트로 유지 및 보수 한 것이다. 콘크리트는 포틀랜드 시멘트, 잡석, 모래, 약간의 신석재, 혼화제 등의 재료를 배합한 것이다. 콘크리트를 이용한 문화재 보수는 1910년 이후 많은 문화재에 아무런 적용실험 없이 이루어졌고 근래까지도 계속되었다. 미륵사지 석탑의 변형을 막기 위해 콘크리트를 탑의 서측면과 남측면 그리고 일부 반파된 북측면에 타설하여 보강하였고 부재사이 이격이나 일부 결실된 부분 및 성형처리 부분에 충전하였다. 이렇게 사용된 콘크리트 양은 200톤 정도이다. 콘크리트를 이용한 보수로 탑의 붕괴를 막고 형태를 유지할 수 있었으나 잘못된 보수방법을 선택함으로써 석탑 구성암석 표면에 콘크리트로 인한 이차적인 오염물질과 침전물질이 산재하고 있다. 이 오염물이 풍화를 더욱 촉진시킴으로써 암석의 풍화 메카니즘을 가속화시켜 부재의 역사성을 재현하고자 할 때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콘크리트로 인한 표면부재의 이차적 유해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적합한 세정방안을 도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문화재연구소 (2003) 익산 미륙사지 석탑 해체조사보고서 p. 237-268
  2. 국립문화재연구소 (2004) 익산 미록사지 석탑 해체조사보 고서 p. 221-252
  3. 국립문화재연구소 (2005) 익산 미륙사지 석탑 해체조사보 고서 p. 231-319
  4. 김광훈 (2003) 익산 미록사지석탑의 생물침해현황 및 보존처리제 조사보고서. p. 1-50
  5. 김영택, 이찬희, 이명성 (2005)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의 보존과학적 풍화훼손도 평가. 자원환경지질, 38권, p. 675-687
  6. 미륵사지유물전시관 (1998) 익산 미록사지 서탑 학술세미나 논문집 . p. 28-48
  7. 박기근 (1995) 콘크리트의 내구성과 중성화. 콘크리트학회지, 7권, p. 74-81
  8. 박승범, 정상진 (1996) 혼화제의 사용현황 및 전망. 콘크리트학회지 , 8권, p. 5-11
  9. 양희제, 김사덕, 이찬희, 최석원 (2004) 익산 미륙사지 석탑의 해체과정과 구성부재의 훼손도 평가. 보존과학회지, 16권, p. 77-88
  10. 이동식 (2005) 익산 미록사지 서탑의 이차적 무기오염물질과 세정효과. 공주대학교 이학석사학위논문, p. 97-126
  11. 이명성, 정민호, 정영동, 이찬희 (2006) 경주 서악리 삼층 석탑의 훼손상태 및 보존처리. 보존과학회지, 18권, p. 63-74
  12. 이찬회, 이명성, 서만철 (2005) 영주 가흥리 마애삼존불상 의 풍화특성과 불연속변의 안전성 해석. 지질학회지, 41권, p. 401-413
  13. 임창덕 (1991) 시벤트 화학과 특성 . 콘크리트학회지 , 3권, p.5-12
  14. 정헌수 (1991) 일반혼화제의 특성과 이용. 콘크리트학회지, p. 43-48
  15. 조기만, 좌용주 (2005) 석조문화개의 석재공급지에 관한 연구 -익산 지역에 대한 지형학적 및 암석학적 접근-. 한국암석 학회지, v. 14, p. 24-37
  16. 한국전자재시험연구원 (2005) 미륵사지 석탑 콘크리트 성분분석 및 강도조사 보고서. p. 4-42
  17. Fidler. J. (2002) Stone building construction and associated component system: their ane treatment. English Heritage Research Transactions, v. 2, 1-104
  18. Lee, C.H., Choi, S.W and Suh, M. (2003) Natural deterioration and conservation treatment for the granite standing Buddha of Daejosa Temple, Republic of Korea. Geotechnical and Engineering Geology, v. 21, p. 63-77 https://doi.org/10.1023/A:1022935923851
  19. Lee, C.H., Lee, M.S., Suh, M. and Choi, S.W (2005) Weathering and deterioration of rock properties of the Dabotap pagoda (World Cultural Heritage), Republic of Korea. Environmental Geology, v. 47, p. 547-557 https://doi.org/10.1007/s00254-004-1177-y
  20. Lisci, M., Monte, M. and Pacini, E. (2003) Lichens and higher plants and stone: a review. International Biodeterioration and Biodegradation, v. 51, p. 1-17 https://doi.org/10.1016/S0964-8305(02)00071-9
  21. Nesbitt, H.W and Young, G.M. (1984) Prediction of some weathering trends of plutonic and volcanic rocks based on thermodynamic and kinetic considerations. Geochem. Cosmochem. Acta, v. 48, p. 1523-1534 https://doi.org/10.1016/0016-7037(84)9040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