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한우 방목초지에서 목초 혼파조합이 식생구성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ed Mixture on the Forage Yield and Botanical Composition in the Hanwoo Grazing Pasture

  • 발행 : 2006.06.01

초록

본 연구는 중산간지(표고 450m)에서 한우 방목에 적합한 혼파조합을 선발하기 위한 시험으로 $2000{\sim}2001$년(2년간) 남원 운봉에서 혼파조합별 식생비율의 변화, 건물 및 TDN 생산성, 채식량, 사료가치 등을 조사 및 분석 시험하였다. 한우방목 1년차는 주 초종의 비율이 감소하며, 오차드그라스 위주 혼파조합은 44.9%, 페레니얼 라이그라스 위주 혼파조합은 27.6%, 티머시 위주 혼파조합은 40.9%,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위주 혼파조합은 40.7% 감소하였다. 그러나 켄터키 블루그라스와 톨 페스큐는 모든 처리구에서 증가하였다. 또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위주 혼파조합은 초기생육이 왕성하여 식생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방목 2년차에도 44.2%의 식생비율이 유지되었다. 그러나 티머시는 다른 초종에 비해 생육이 늦으며 건물수량도 낮았다. 년차별 평균 목초수량은 1년차 6,673kg, 2년차 10,177kg/ha로 2년차 평균 건물수량은 1년차 건물수량에 비해 53% 증수하였다. 혼파조합별 TDN은 오차드그라스 위주 혼파구 6,399kg/ha, 페레니얼 라이그라스 위주 혼파구 7,769kg/ha, 티머시 위주 혼파구 4,883kg/ha,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위주 혼파구 7,146kg/ha으로 방목초지에서 페레니얼 라이그라스 위주 혼파가 TDN 생산량이 높았으며, 건물 채식량에서는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위주 혼파구가 6,456kg/ha으로 페레니얼 라이그라스 위주 혼파구 6,375kg/ha과 대등하였다. 따라서 한우 육성우 방목에 적합한 혼파조합은 페레니얼 라이그라스 위주 혼파가 오차드그리스. 티머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위주 혼파 보다 건물생산량, TDN, 건물 섭취량으로 종합하여 비교할 때 방목적응성이 높은 혼파조합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elect the optimum seed mixture for beef cattle (Hanwoo) grazing in middle mountain area at 450m from sea level during 2 years from October 1, 1999. Seed mixtures were composed of four different treatment according to main species such as orchardgrass (T1), perennial ryegrass (T2), timothy (T3) and Italian ryegrass (T4). Grass composition rate of different seed mixtures was decreased mostly at first year of grazing, like 44.9% of orchardgrass in T1 plot, 27.6% of perennial ryegrass in T2 plot, 40.9% of timothy in T3 plot and 40.7% of Italian ryegrass in T4 plot, respectively. Main species in seed mixture were decreased in grazing pasture, but kentucky bluegrass and tall fescue were increased in all plots. Italian ryegrass in T4 plot was well grown in early grown stage and inhibited the growth of other grass species, and 44.2% of Italian ryegrass was maintained in second year in the grazing plot. Average dry matter yields of first you showed 6,673 kg/ha and second year was 10,177 kg/ha. Average TDN yields of different seed mixtures were 6,399 kg/ha in T1, 7,769 kg/ha in T2, 4,383 kg/ha in T3 and 7,146 kg/ha in T4 plot. Average herbage dry matter intakes by different seed mixtures during 2 years were 5,937 kg/ha in T1, 6,375 kg/ha in T2, 4,925 kg/ha in T3 and 6,456 kg/ha in T4. This result indicated that perennial ryegrass would recommended in main species of Hanwoo grazing pasture.

키워드

참고문헌

  1. 고서봉, 송상택, 백윤기, 이종열. 1988. 牧草 混播組合別 放牧 및 刈取利用이 收量과 植生構成率에 미치는 影響. 한초지. 8(1):1-7
  2. 김동암. 1998. 목초 및 사료작물 정부장려품종의 지역적응성 평가. V.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사초수량과 사료가치. 한초지. 18(1):11-18
  3. 김성규, 이주삼, 조익환. 1992. Perennial ryegrass 品種의 季節的 生育特性. II. 여름철 生育의 品種間 差異. 한초지. 12(1):6-11
  4. 김성우, 전병태, 신재순, 황석중. 1989. 혼파초지에서 가축의 방목행동에 관한 연구 I. 채식 시간법에 의한 초고별 방목우의 채식 기호성. 한초지. 9(2):88-95
  5. 김창주, 김동암. 1975. Perennial ryegrass를 組合한 混播牧草地에 있어서 刈取頻度와 Perennial ryegrass의 播種比率이 건물수량 및 植生構成比率에 미치는 影響. 한축지. 17(3):231-243
  6. 서 성, 김재규, 신재순. 1996, Orchardgrass 위주 혼파초지에서 방목시기와 강도가 초지이용율 및 식생변화에 미치는 영향. 농시논문집. 38(1):802-810
  7. 徐成. 1990. 夏枯期間中 放牧强度가 牧草再生과 草地利用率 및 植生에 미치는 影響. 한축지. 32(5):291-295
  8. 박근제, 이종열. 1987. 飼草의 飼料價와 植生構成에 의한 草地의 價値評價. 한초지. 7(1):42-48
  9. 신재순, 박근제, 이필상. 1989. 혼파초지의 이용 방법 비교시험. I. 방목 및 예취이용에 다른 목초생산성과 식생구성 변화. 한초지. 9(2):96-102
  10. 신재순, 서 성, 윤익석. 1994. 단파 및 혼파초지에서 Orchardgrass (Dactylis glomerata L.) 품종의 방목반응. 한초지. 14(3):206-214
  11. 신재순, 이필상, 박근제, 윤익석. 1990. 혼파초지의 이용방법 비교시험. III. 방목 및 예취이용이 목초의 품질과 토양경도에 미치는 영향. 한초지. 10(2):96-101
  12. 윤세형, 임영철. 1993. 산지초지 방목적응 혼파조합 실증시험. 축산시험연구보고서. pp. 714-716
  13. 이인덕. 1981. Timothy 초지에서 고정방목과 윤환방목 간의 한우에 의한 목초 이용율과 증체량 비교시험. 한축지. 23(2):144-150
  14. 황석중, 임영철, 최선식. 1989. 지대별 표고별 목초 혼파조합 선발시험. 축산시험연구보고서. pp. 373-395
  15.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of the Association.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Inc
  16. Goering, H.K. and P.J. Van Soest. 1970. Forage fiber analysis. Agric. Handb. 379, U. S. Gov. Print. Office, Washington, DC
  17. Iwasaki, M. 1975. Influence of grazing intensity on variance of herbage yield sampled from mixed swards. Jap. Bull. Natl. Grassl. Res. Inst. 3:47-57

피인용 문헌

  1. Effect of Species and Seed Mixture on Productivity, Botanical Composition and Forage Quality in Middle Mountainous Pasture vol.36, pp.2, 2016, https://doi.org/10.5333/KGFS.2016.36.2.135
  2. The Effects of Improvement of Botanical Composition Technology Application on Botanical Composition and Dry Matter Productivity in Rumex acetosella Dominated Hilly Pasture vol.36, pp.2, 2016, https://doi.org/10.5333/KGFS.2016.36.2.81
  3. The Effect of Seeding Dates on Productivity and Botanical Composition in Oversown Hilly Pasture of mixed grass, Pyeongchang of South Korea vol.38, pp.4, 2018, https://doi.org/10.5333/KGFS.2018.38.4.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