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estulolium braunii 교잡종의 재배특성, 사료가치 및 수량성

Dry Matter Yields of the Hybrids Associated with Festulolium braunii

  • 발행 : 2006.06.01

초록

새로 도입되는 목초 Festulolium pratensis ${\times}$ Lolium muitiforum의 속간 교잡종인 Festulolium braunii의 내한성, 출수기, 사료가치 및 수량 등을 구명하여 우리나라 재배 가능성을 검토하고 자, 2004년 9월부터 2005년 7월까지 수원 및 남원에 있는 농촌진흥청 축산연구소 시험포장에서 동시에 수행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Festulolium braunii 교잡종 Fleurial, Boxer 및 Perun 등 3개 교잡종의 내한성은 수원과 남원에서 화산101호 보다 강한 것으로 나타나, 국내 재배시 내한성의 문제는 거의 없을 것으로 보인다. 3개 교잡종의 평균 출수기는 남원에서 5월 25일, 수원에서 5월 27일로서, 화산101호 보다 $1{\sim}3$일 늦은 중만숙이었으며, 초장은 1차 수확기에 $91{\sim}96cm$, 2차에는 $93{\sim}87cm$로 비교적 긴 편이며, 도복도 강하였으며, 재생력도 우수하였다. ha당 청예 총 수량은 지역간, 교잡종간 유의적 차이가 인정되었으며, 수원의 평균 수량은 83,222kg, 남원은 69,139kg으로 수원에서 수량성이 높았으며, 2개 지역의 평균 수량에서도 화산101호의 64,944.kg에 비하여 Perun 은 129%로 가장 많이 증수하였으며 Fleurial, Boxer도 $123{\sim}l17%$ 각각 증수 되었다. 그리고, 건물수량은 지역간에는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으나 교잡종간에는 화산101호의 10,589kg에 비하여 Perun, Fleurial 및 Boxer가 각각 16,941 kg, 16,519kg 및 15,826kg으로 $149{\sim}160%$까지 증수되었다. 3개 교잡종들의 조성분 및 사료가치에서, 조단백질 함량은 Perun 18.0%, Fleuria 17.4% 및 Boxer 16.7%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조지방 함량은 다소 높으면서 조섬유 함량 역시 낮으나 회분 함량은 다소 높은 편이며 소화율도 매우 높게 나타났는데, 이에 대한 연차간 변이가 있는지를 향후 구명되어져야 한다. 사료가치에서 ADF는 화산101호의 33.2%보다 더 낮은 $28.1{\sim}29.2%$이었으며, NDF는 화산101호의 58.3 보다 다소 적은 $51.3{\sim}54.5%$로 나타나므로써 이들 교잡종들의 사료품질 및 가치가 매우 높았음을 알 수 있다.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in order to examine the winterhardiness, heading date, fresh and dry matter yeild of Festulolium braunii, a hybrid of Festuca pratensis and Lolium multiflum, which is newly introduced in Korea. This experiment was performed at National Livestock Research Institute in Suwon and Namwon from September 2004 to July 2005. The results are as follows. 'Fleurial', 'Boxer', and 'Perun' showed stronger winterhardiness than 'Hwasan 101', which is one of the strongest in the winterhardiness hybrids. Therefore, we do not see there is any problem in winterhardiness when these hybrids are cultivated in Korea. The hybrids are turned out to be mid and late maturing hybrid. The average heading dates of the three hybrids were May 25 in Namwon and May 27 in Suwon. These dates are lower($1{\sim}3$ days) than that of Hwasan 101. They showed $91{\sim}96cm$ in leaf length at 1st cutting times which are comparatively long. This experiment also disclosed that their lodging and regrowth are strong and excellent. We also found out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regions and hybrids in the total fresh yield per ha. The average fresh yield of Suwon was 83,222 kg/ha and that of Namwon was 69,139 kg/ha. We could not see any difference in the dry matter yield affected by region,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hybrids(p<0.05). The crude protein contents of the three hybrids indicated very high figures. the crude protein cotents of Perun, Fleurial and Boxer are 18.0% 17.4% and 16.7% respectively. However the ADF (Acid Detergent Fiber) shows $28.1{\sim}29.2%$ which is less contents than 33.2% of Hwasan 101. We found out from this experiment that these three hybrids have excellent feed quality because the NDF (Neutral Detergent Fiber) is decreased by $7{\sim}3.8%$ comparing that the NDF of Hwasan 101 is 58.3%. Also each hybrids contains more crude fat by 1%, a little more chemical composition and less ash contents. Thus we can tern that chemical composition contents of these hybrids are also fittable.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영래, 권순기, 김용두. 1974. 최신 사료작물. 선진문화사
  2. 박병훈, 박병식, 강정훈. 1987.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2배체와 4배체 품종간 비교. 한초지. 7(3):135-139
  3. 박병훈, 김명환. 1989. 화본과 목초의 종․속간 잡종에 관한 연구 I. 교잡배 일령에 따른 Callus 형성과 식물 재분화. 한초지. 9(2):62-67
  4. 박병훈, 류종원, 이영현. 1991. 화본과 목초의 종․속간 잡종에 관한 연구 II. $Italian\;ryegrass\;{\times}\;tall fescue$ F1 잡종의 형태 및 생리적 특성. 한초지. 11(1):1-5
  5. 이인덕, 이형석. 1998a. Festulolium braunii (Festuca pratensis $Huds.\;{\times}\;Lolium$ multiflorum Lam.)의 사료 가치 비교연구. 한초지. 18(2):151-156
  6. 이인덕, 이형석. 1998b. Festulolium brauni (Festuca pratensis $Huds.\;{\times}\;Lolium$ multiflorum Lam.)의 혼파유형이 목초의 건물수량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초지. 18(4):311-316
  7. 이인덕, H. Jacob. 1996. Festulolium braunii의 건물수량 및 사료가치 비교연구. 한초지. 17(2): 117-122
  8. 이석순, 박찬호, 장영동. 1985. Triticale과 호밀의 청예수량 생산성. 한국작물학회지 30(4):388-397
  9. 이영현, 박병훈. 1993. 화본과 목초의 종․속간 잡종에 관한 연구 III.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의 배양세포로부터 원형질체의 분리와 배양. 한초지. 13(3):170-176
  10. 이창섭, 김병완, 성경일, 김창주. 1997. Perennial ryegrass 품종의 적응성 비교 시험. 한초지. 17(4):387-398
  11. 최기준, 임용우, 김기용, 최순호, 성병렬, 김원호, 신동은, 임영철. 2000. 내한 다수성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신품종 '화산101호'. 한초지. 20(1):1-6
  12. 최기준, 임용우, 임영철, 성병렬, 김맹중, 김기용, 박근제, 김상록. 2002. 이탈리안 라이그라스와종․속간 잡종 및 생태형 유래 합성종간의 생육특성, 수량성 및 사료가치 비교.. 한초지. 22(4): 265-272
  13. 축산기술연구소. 2002. 한국 표준 사료 성분표. 축산기술연구소 발행
  14. A.O.A.C. 1984. Official methods of analysis(14th ed.) AOAC. Washington, DC
  15. Goering, H.K. and P.J. Van Soest. 1970. Forage fiber analyis. Agric. Handbook 379, U.S. Gov. print. Office, Washington, DC
  16. Muntzing, A. 1979. Triticale : Results and problems. Advance in plant breeding. Supplement. 10
  17. SAS institute, Inc. 1990. SAS user's : SAS Inst. Inc, Cary, 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