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ison of Rice Growth under Subtropical and Temperate Environments

아열대와 온대 기후 하에서 벼 생육 비교

  • Park H.K. (Honam Agricultural Research Institute, NICS) ;
  • Xu Migging (Soil and Fertilizer Institute, Chinese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
  • Lee K.B. (Honam Agricultural Research Institute, NICS) ;
  • Choil W.Y. (Honam Agricultural Research Institute, NICS) ;
  • Choil M.G. (Honam Agricultural Research Institute, NICS) ;
  • Kim S.S. (Honam Agricultural Research Institute, NICS) ;
  • Kim C.K. (Honam Agricultural Research Institute, NICS)
  • 박홍규 (작물과학원 호남농업연구소) ;
  • ;
  • 이경보 (작물과학원 호남농업연구소) ;
  • 최원영 (작물과학원 호남농업연구소) ;
  • 최민규 (작물과학원 호남농업연구소) ;
  • 김상수 (작물과학원 호남농업연구소) ;
  • 김정곤 (작물과학원 호남농업연구소)
  • Published : 2006.06.01

Abstract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determine the primary yield components responsible for yield differences in a subtropical environment of the Hunan province China and in a temperature environment of Honam province Korea. Field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a subtropical environment in Hunan province China during 2002 and in a temperate environment in Honam province Korea during 2003. Seven rice cultivars were grown under optimum crop management in each experiment field. Yield, yield components and plant dry matter were determined at maturation. The highest yield (567 kg/10a) was produced at Honam province by Jinyou 207, a Chinese cultivar, The maximum yield at Hunan province was 453 kg/10a by Sanyou 63. On the average across cultivars, Honam produced 23% greater yields than Hunan. Sink size (spikelets per $m^2$) was responsible far these yield differences. Panicle number per $m^2$ was much greater at Honam.

기후변화에 따른 작물의 건물생산과정을 조사 분석함으로써 기후환경 변화에 대응한 작물의 생산효율을 극대화하고자 아열대지대인 중국 후난성 기양과 온대 지대인 한국 익산에서 생태형이 다른 중국, 한국 품종을 공시하여 벼 생장특성과 수량 및 수량구성요소를 비교 분석하였다. 아열대지대에서 조도 재배시 기상생산력에 따른 출수기별 쌀 수량을 보면 출수가 늦어질수록 수량이 많아지는 경향으로 6월 중에 출수할 경우 기상생산력에 의한 쌀 수량은 440kg/10a였으며, 7월 중에 출수할 경우 460 kg/10a내외의 수량성을 나타냈다. 온대지대인 익산지역의 기상생산력은 8월 하순에 출수시 쌀 수량이 520kg/10a로 가장 높았으며 이보다 출수가 빠르거나 늦어질 경우 쌀 수량이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중국 호남성 조도(早稻)재배와 비교해 보면 한국에서 기후생산력에 의한 쌀 수량은 60 kg/10a이 높았다. 온대지대와 아열대지대 기후 조건에 따른 이앙 후부터 출수기까지 소요일수는 온대에 비해 아열대에서 한국품종이 22일, 중국품종이 17일 단축되었고, 중국품종을 아열대 기후조건인 기양에 재배 할 경우 이앙 후 70일만에 출수가 되었으나 온대기후인 익산에 재배할 경우 영양생장 기간이 길어져 87일이 소요되었다. 기후대별 $m^2$당 수수를 보면 한국, 중국품종 모두 온대기후에서 수수가 증가하는 경향이었고, 등숙비율은 한국 중국품종모두 온대에서 높았으며 쌀수량은 공시품종 모두 온대에서 높았는데 한국품종은 온대에서 488 kg/10a으로 아열대에 비해 21%가 높았으며, 중국 품종은 539 kg/10a으로 온대에서 24%가 증수되었다.다. 또한 두 세포주 모두에서 flavopiridol에 의해 cyclin D1 발현이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나 flavopiridol이 p53, p21 발현에 미치는 영향은 세포주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며 Akt 발현은 두 세포주 모두에서 flavopiridol 투여에 의한 변화가 없었다. 결 론: 본 실험을 통해 사람 후두암 및 폐 암 세포주에서 flavoplridol이 방사선에 의한 아포토시스를 증가시킴으로써 방사선 치료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Flavopiridol이 p53, p21 발현에 미치는 영향은 세포주에 따라 다른 것으로 나타났으며 phosphorylated Akt 발현은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delta}^{13}C$값이 $-13\%_{\circ}$에서 $-10\%_{\circ}$사이의 범위로 나타나 해양효모에 가까운 값으로 대조구인 Erythrobacter sp. $S{\pi}-1$보다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들을 탐색하는 것이다). 작품이 대형화되면서 이러한 건축공간개념이 현대 조각가들의 작품개념에 이용되었다고 본다. 현대미술에서 In situ작업과 특정한 장소를 위한 기획되어진 최근의 프로젝트 작업들은 대형화되어있으며, 건축에서처럼 특정한 장소를 만들어낸다. 로잘린드 크라우스(Rosalind Krauss)는 또한 '조각영역의 확장 (La sculpture dans le champ elargi)'에서 현대조각이 건축과 환경의 영역을 침범하고 있음을 지적한다. 그녀에 의하면, 1960년대 이후의 현대조각은 이러한 탈

Keywords

References

  1. 기상청, 2001: 한국기후표(1971-2000). 기상청
  2. 중국농업연감편집위원회, 2002: 중국농업연감
  3. 坪井八十二, 1977: 農業氣像冊. 養賢堂, 40-42.
  4. Choi, W. Y., J. K. Nam, S. S. kim, J. H. Lee, J. H. Kim, H. K. Park, N. H. Back, M. G. Choi, J. C. Kim, and K. Y. Jung, 2005: Optimum transplanting date for production quality rice in honam plain area.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50(6), 435-441
  5. IPCC, 2001: Climate change 2001: The scientific basis: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 to the third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IPCC). Cambridge university press, 944pp.
  6. Kim, S. S., J. H. Lee, J. K. Nam, W. Y. Choi, N. H. Back, H. K. Park, M. G. Choi, J. C. Kim, and K. Y. Jung, 2005: Proper harvesting time for improving the rice quality in honam plain area.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50(s), 62-68
  7. Lee, S. Y., S. S. Kim, J. S. Choi, Y. K. Choi, K. Y. Lee, M. S. Lim, and T. Murakami, 1988: Influence of cultural methods and climatic condition on rice yield in the southern plain and alpine area. Research Report of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Rice) 30(2), 25-31
  8. Matsushima, S., 1957: Analysis of developmental factors determining yield and yield prediction in lowland rice. Bulletin National Institute Agricultural Science, A5, 1- 271
  9. Morie, E., 1990: Effective heat unit summation and base temperature on the development of rice plant II. On heading, flowering, kernel development and maturing of rice. Japan Journal of Crop Science 59(2), 233-238 https://doi.org/10.1626/jcs.59.233
  10. Peng, S., G. S. Khush, and K. G. Cassman, 1994: Evolution of the new plant type for increased yield potential. In Cassman, K. G. (ed.). Breaking the Yield Barrier, 5-20
  11. Saitoh, K., S. Kasiwagi, T. Kinosita, and K. Ishihara, 1991: Characteristics of dry matter production process in high yielding rice (Oryza sativa) varieties, 4: Dry matter accumulation in the panicle. Japan Journal of Crop Science 60(2), 255-263 https://doi.org/10.1626/jcs.60.255
  12. Song, X. F., W. Agata, and Y. Kawamitsu, 1990: Studies on dry matter and grain production of Fl hybrid rice (Oryza sativa) in China, 2: Characteristic of grain production. Japan Journal of Crop Science 59(1), 9-33
  13. Yamamoto, Y., T. Yoshida, T. Enomoto, and G. Yoshikawa, 1991: Characteristics for efficiency of spikelet production and the ripening in high yielding japonica-indica hybrid and semidwarf indica rice varieties. Japan Journal of Crop Science 60, 365-372 https://doi.org/10.1626/jcs.60.365
  14. Ying, J., S. Peng, Q. He, H. Yang, C. Yang, R. M. Visperas, and K. G. Cassman, 1998: Comparison of high-yield rice in tropical and subtropical environments: I. Determinants of grain and dry matter yields. Field Crops Research, 5(1), 71-84
  15. Yun, S. H., and J. T. Lee, 2001: Climate change impacts on optimum ripening periods of rice plant and its countermeasure in rice cultivation.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3(1), 55-70
  16. Yun, S. H., J. N. Im, J. T. Lee, K. M. Shim, and K. H. Hwang, 2001: Climate change and coping with vulnerability of agricultural productivity.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3(4), 220-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