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uality in Value Structure and Behavioral Judgment System: Comparisons Between Undergraduates, Adults and North Korean Defectors

한국인의 가치구조와 행동판단에서의 이중성: 대학생, 성인 및 탈북자를 중심으로

  • Taeyun Jung (Department of Psychology Chung-Ang University) ;
  • Kwan-Jae Song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Behavior Yonsei University)
  • 정태연 (중앙대학교 심리학과) ;
  • 송관재 (연세대학교 인간행동연구소)
  • Received : 2006.07.12
  • Published : 2006.08.31

Abstract

The present study was attempted to compare duality in value structure and judgment system between youth, adults and North Korean defectors. A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150 college students(Men: 89, Women: 61), 155 adults(Men: 80, Women: 75) and 80 North Korean defectors(Men: 39, Women: 41). Participants rated their values, behavior and South Korean behavior (or North Korean behavior for North Korean defectors) as a whole both on the 7 dimensions relevant to characteristics indigenous to Korean society and on their opposite 7 dimensions characteristic of Western culture. Results indicated that defectors marked the highest score on the traditional value dimensions, and yet youth ranked the first for the western value systems. Also, duality in value systems was the most severe for the defectors. In relation to dual judgement system in behavior, both young and old generation judged Korean behavior more negatively than their own. This was also the case for the North Korean defectors. Those findings were discussed in terms of cultural changes in Korean society.

본 연구는 한국인의 가치구조와 행동판단에서의 이중성을 대학생, 성인 및 탈북자를 중심으로 알아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대학생 150명(남: 89명, 여: 61명)과 40세 이상 성인 155명(남: 80명, 여: 75명) 그리고 남한 사회에서의 직접적인 일상생활 경험이 없는 탈북자 80명(남: 39명, 여: 41명)에게 설문을 실시하였다. 참가자들은 한국의 전통적 특성 7개 차원 및 이에 대응하는 서구적 특성 7개 차원에서 자신의 가치관, 자신의 행동 및 타인의 행동(대학생과 성인은 남한사람의 행동 그리고 탈북자는 북한사람의 행동)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탈북자, 성인 그리고 대학생 순으로 전통적 가치를 더 많이 가지고 있었으며, 서구적 가치는 서로 차이가 없는 대학생과 탈북자집단보다 성인에게 더 적었다. 또한, 탈북자의 가치구조가 서로 차이가 없는 대학생과 성인집단보다 더 이중적이었다. 행동판단에서의 이중성과 관련해서, 개인주의-집단주의 차원에서 세 집단 모두 타인의 행동보다 자신의 행동을 더 높게 평가했는데, 이것은 수평적 집단주의와 수평적 개인주의에서 자신들을 더 높게 평가했기 때문이다. 또한, 나머지 평가차원에서 이 세 집단 모두 타인의 행동을 자신의 행동보다 훨씬 더 부정적으로 평가했다. 이러한 결과들을 한국사회의 문화적 변동과 관련해서 논의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병국 (1997). 반유교적 유교정치: 한국 정치담론의 모순. 전통과 현대, 1, 50-73.
  2. 김애순 (1997). 청년기 갈등과 자기이해.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3. 김재은 (1987). 한국인의 의식과 행동양식.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4. 김형철 (1997). 현대의 도덕관과 유교의 도덕관. 전통과 현대, 1, 132-151.
  5. 나은영 (1995). 의식개혁에 장애가 되는 문화적 요인들: 체면과 동조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2(1), 33-51.
  6. 나은영, 민경환 (1998). 한국 문화의 이중성과 세대차의 근원에 관한 이론적 고찰 및 기존 조사자료 재해석.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4(1), 75-93.
  7. 나은영, 차재호 (1999). 1970년대와 1990년대간 한국인의 가치관 변화와 세대차 증감.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3(2), 37-60.
  8. 내외통신사 부설 북한문제연구소 (1995). 북한실상 종합자료집: 탈북자들의 증언을 통해 본 북한사회. 서울: 내외통신사 부설 북한문제연구소
  9. 민성길 (2000). 통일과 남북청소년. 연세대학교 출판부.
  10. 박재홍 (1999). 기성세대의 생애사와 세대차이 인지에 관한 연구: 질적 접근. 한국사회학, 33, 257-296.
  11. 박현선 (2003). 현대 북한사회와 가족. 서울: 한울 아카데미.
  12. 신은숙 (1976). 세대간의 갈등문제와 교육. 교육학연구, 14(1), 59-69
  13. 신수진 (1998). 한국의 가족주의 전통: 근본사상과 정착과정에 관한 문헌고찰. 한국가족관계학회지, 3(1), 127-152.
  14. 신수진, 최준식 (2002). 현대 한국사회의 이중가치체계. 서울: 집문당.
  15. 윤인지 (1999). 탈북자의 남하사회 적응실태와 정착지원의 새로운 접근. 한국사회학, 33, 511-549.
  16. 윤인진 (2000). 탈북자의 취업 및 직장부적응 상황. 2000년도 후기 사회학 대회 자료집, 247-252.
  17. 윤진 (1985). 성인·노인 심리학.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18. 이온죽 (1990). 북한여성의 사회적 지위와 사회참여. 북한연구, 1, 88-104.
  19. 이재창, 최운보, 정영애, 최경선 (1983). 청소년의식구조 및 형성배경.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0. 임희섭 (1994). 한국의 사회변동과 가치관. 서울: 나남출판.
  21. 전우택 (2000). 탈북자들의 남한사회 적응과 심리갈등에 대한 이해. 남북한의 사회적 통합: 2000년도 한국심리학회 춘계심포지엄, 67-91.
  22. 전우택, 민성길 (1996). 탈북자들의 심리와 적응상의 문제. 탈북자들의 삶-문제와 대책. 연세대학교 통일연구원.
  23. 정영숙, 김향숙, 권수애 (1997). 신세대 가정의 가족 가치관 연구. 21세기를 여는 한국인의 가치관(한림과학원편, pp.328-426). 서울: 소화.
  24. 정진경 (2002). 북한사람의 성역할 특성과 가치관. 2002년도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74-281.
  25. 정태연 (2001). 대학생 자녀와 그 부모와 평가한 세대간 차이점과 유사점.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7(2), 1-19.
  26. 정태연, 한광희 (2001). 20대가 지각한 청소년과 성인과의 세대차이. 한국노녁학회, 21(1), 1-14.
  27. 조성남 (1991). 부모와 자녀의 세대차이에 관한 일 연구. 한국사회학회 후기사회학대회 요약집, 66-73.
  28. 차재호 (1985). 70년대말에서의 가치, 태도 및 신념으로 본 한국인의 세대차. 사회심리학연구, 2(2), 129-168.
  29. 최봉영 (1994). 한국인의 사회적 성격 I II. 서울: 도서출판 느티나무.
  30. 정태연, 최영진, 김영만 (2003). 탈북자가 본 북한의 세대간 차이점과 유사점: 남한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23(3), 29-47.
  31. 최재석 (1965). 한국인의 사회적 성격. 서울: 개문사.
  32. 최준식 (1997). 한국인에게 문화는 있는가. 서울: 사계절.
  33. 한국여성연구소 (1999). 새 여성학강의. 서울: 동녘.
  34. 한규석, 신수진 (1999). 한국인의 선호가치 변화-수직적 집단주의에서 수평적 개인주의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3(2), 293-310.
  35. 한상필 (1997). 광고에 나타난 한국이느이 가치관 변화. 21세기를 여는 한국인의 가치관(한림과학원편, pp. 251-325). 서울:소화.
  36. 한성열 (2000). 북한의 문화적 특성과 남북한의 심리적 통일. 남북한의 사회적 통합: 2000년도 한국심리학회 춘계심포지엄, 131-153.
  37. 함재봉 (1997). 유교와 세계화: 특수성과 보편성의 문제. 전통과 현대, 1, 26-49.
  38. 홍승직 (1994). 사회발전과 한국인의 가치문제, 서울:일신사.
  39. 황무임 (1998). 북한의 인권실태와 탈북자의 현황. 복지행정연구, 14, 1-23.
  40. Kluckhohn, C. (1962). Values and value orientation in the theory of action. In T. Parsons & E. A. Shils (Eds.), Toward a general theory of action. New York: Harper & Row.
  41. Rokeach, M. (1973). The nature of human values. New York: The Free Press.
  42. Taijfel, H. (1982). Social identity and intergroup relations. Cambridge, MA: Cambridge University Press.
  43. Tajfel, H., & Turner, J. C. (1979). An integrative theory of intergroup conflict. In W. Austin & Worchel (Eds.), The social psychology of intergroup relations, (pp. 33-48). Pacific Grove, CA: Brooks/Cole.
  44. Triandis, H. C. (1995).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Boulder, CL: Western Press.
  45. Trompenaars, F. (1996). 국제화와 이문화 적응. 삼성인력개발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