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학기본소양과목의 학습성과에 관한 연구

The Learning Outcome of the General Education in Engineering Education

  • 강소연 (연세대학교 공과대학공학교육혁신센터) ;
  • 최금진 (건국대학교 공과대학공학교육연구센터)
  • Kang So-Yeon (Center for the Innovation of Engineering Education Yonsei University) ;
  • Choi Keum-Jin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Center, Konkuk University)
  • 발행 : 2006.03.01

초록

본 연구는 현재 공학교육인증을 받거나 준비 중인 대학에서 편성 운영 중인 공학기본소양과목의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기본소양과목을 이수한 학생들의 학습성과 평가, 강의평가 결과를 분석하여 기본 소양 과목 운영의 문제점과 해결방법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현재 기본소양과목은 대체로 공학교육인증기준 교육요소에서 요구하는 학점 수에 맞추어 편성 운영되고 있으나 대부분 기존의 교양과목을 공학기본 소양과목으로 활용하고 있다. 향후 21세기 지식기반사회를 이끌어 갈 유능한 엔지니어를 육성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인 교양과목이 아니라 공학인에게 필요한 교양과목을 이수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요구조사를 통해 새롭게 기본소양과목을 계발하고 교육 내용을 재구성하여야 하며 다양한 수업방법과 평가방법을 개발하여 전공과목에서 얻기 어려운 교육적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경험이 되어야 한다. 둘째, 사회나 기업에서는 기본소양이나 교양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는데 반해 아직 공대학생들이나 졸업생들의 경우 이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다. 미래의 테크노 리더로서 가져야 할 역량과 기본 소양의 중요성을 학생들이 인식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공학기본과목을 담당하는 교수자들의 역할의 중요성이다. 강사보다는 전임교수들이 강의를 담당하도록 하며 교수들은 교과내용의 충실도를 높이고 학습자 중심의 수업 방법들을 다양하게 활용하여 의사표현 능력이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들을 효과적으로 키워갈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This paper reviews the general education curriculum in engineering colleges which are accredited or prepare to be accredited in Korea. And it researches the relation of the learning outcome of general education and course assessment. Most of engineering colleges usually operate core curriculum. They provided engineering students few specific general education courses if anything. Engineering students evaluated the outcome of the general education courses less than major courses. It is necessary to develop new general education courses for engineer like as the management for engineering students or leadership program Also the faculties teaching the general education courses need to develop new learning method and materials, which help students to achieve soft skills.

키워드

참고문헌

  1. 마이니치 신문 과학환경부(김범성 옮김)(2004). 이공계 살리기. 사이언스북스
  2. 최미리 (2001). 미국과 한국대학의 교양교육비교. 서울 : 양서원
  3. Conrad, C. F. & Wyer, J. C. (1980). Liberal Education in Transition. Higher Education Research Report No.3: American Association for HigherEducation
  4. Harvard Committee.(1945). General Education in a Free Society : Report of the Harvard Committee. Cambridge, MA. : Harvard University
  5. Rosovsky, H.(1990). The University : An Owner's Manual. NY : W.W. Norton & Co
  6. Weaver, F. S.(1991). Liberal Education: Critical Essays on Professions, Pedagogy, and Structure. New York: Teachers College, Columbia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