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xploring Delays of The Mega Construction Project: The Case of Korea High Speed Railway

대형 건설사업의 공기지연분석: 경부고속철도 건설사업을 중심으로

  • 한승헌 (연세대학교 공과대학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
  • 윤성민 (연세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 이상헌 (한국철도시설공단)
  • Received : 2006.03.23
  • Accepted : 2006.07.26
  • Published : 2006.09.30

Abstract

Korea has become the 5th country to own and operate the high speed railroad in 2004. However, there were many difficulties until Koreans enjoy the first bullet train service with the average hourly speed of 300km. The high speed railroad requires elevated quality standards differently from the traditional railways. In addition to the technical difficulties, the construction project itself was an unpleasant case with huge delays and cost overruns mainly due to the lack of experiences, deficiency of owner$^{\circ}{\O}$s role, and increase of public resistances triggered by environmental concerns. This paper analyzes the reasons for delays on this mega-project. With respect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whole project level, it is very complicated/linear project, whose total length is around 412 km with the composition of various sections in the route of the railway which have basically different conditions. For that reason, the analysis is performed in both macro and micro level. First, macroscopic analysis is performed to find critical subdivisions in the railway route that induces the significant delay in the opening due date. Then, microscopic analysis is followed to quantify the causes and effects of delays focused on these critical subdivisions in more detailed way. Finally, this paper provides lessons learned from this project to avoid the decisive delays in performing the similar large-scaled projects.

공기지연이 발생하게 되면 그에 대한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하게 되어 사업비의 증가를 초래하기 때문에 발주자와 시공자의 분쟁을 유발하는 중요한 원인이 된다. 공기지연으로 인해 발생한 분쟁의 원활한 해결을 위하여 공기지연분석에 대한 다양한 연구들이 수행되어져 왔으나, 기존의 공기지연 분석방법들은 주로 소규모 건축공사와 같은 단순하고 반복적인 공정들에 적용되는 연구들이 대부분이어서 경부고속철도와 같은 대규모의 선형적인 복합 건설공사에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전통적인 공기지연분석방법을 대규모 토목공사에 적용할 수 있도록 보완하여 대형 건설공사의 공기지연을 전체 프로젝트 관점에서 입체적으로 분석하였다. 먼저, 거시적 차원에서 공정진척도(S-curve)의 비교분석 등을 통해 공기 지연이 가장 많이 발생한 공구(공사구간)를 찾는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어서 거시적 분석으로 도출된 지연공구의 일정공정표를 분석하여 지연원인과 그에 따른 영향분석을 실시하였고, 지연원인의 책임소재에 따른 분석과 구조물 특성에 따른 분석도 병행하여 공기지연의 특징을 입체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러한 다면적인(multilateral) 공기지연분석을 통해 경부고속철도의 개통일정을 지연시킨 가장 주된 구간은 서울~천안의 "2-1공구"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약 5년의 공기지연 중 4년여의 공기지연이 이 공구에서 발생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주요 공기지연 원인으로는 최초 설계시 고속철도 교량의 동적거동을 고려를 하지 못해 재설계와 재시공으로 공기가 지연되었으며 또한 불충분한 지질조사로 시공 중에 폐광이 발견되어 노선변경을 했던 것에 크게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경부고속철도에 대한 공기지연분석을 통하여 이와 유사한 대형 국책 사업의 계획에 있어서 고려해야할 사항을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기동(2004) 경부고속철도 사업관리의 성과. 대한토목학회지, 대한토목학회, 제52권 제4호, pp. 18-22
  2. 이재섭(1999) 건설공사의 공기연장분석기준 : CPM 공정표에 의한 공기지연 분석을 중심으로, 연구보고서, 한국건설산업연구원
  3. 한국고석철도건설공단(2000) 경부 고속철도 건설사 : 태동기에서 시험운행 개시까지
  4. 碇義朗(1994) 고속철도로 가는 길: 일본신간센의 경험(원제:고속철에 도전한다), 한국고속철도건설공단
  5. Arditi, D., Akan, G. T., and Gurdamar, S. (1985). Reasons for delays in public projects in Turkey. J Constr. Mgmt. and Econ.. UK., Vol. 3, No.2, pp. 171-181 https://doi.org/10.1080/01446198500000013
  6. Assaf, S. A., Al-Khalil, M.,and AI-Hazmi, M. (1995). Causes of delay in large building construction projects. J. Mgmt. in Engrg. ASCE., Vol. 11, pp. 45-50 https://doi.org/10.1061/(ASCE)0742-597X(1995)11:2(45)
  7. Bubshait, A. A., and Cunningham, M. J. (1998). 'Comparison of delay analysis Methodologies, J Constr. Engrg. and Mgmt., ASCE., Vol. 124, No.4, pp. 315-322 https://doi.org/10.1061/(ASCE)0733-9364(1998)124:4(315)
  8. Chan, D. W. M., and Kumaraswamy, M. M. (1997). A comparative study of causes of time overruns in Hong Kong construction projects, Int. J Proj. Mgmt., Vol. 15,No. 1, pp. 55-63 https://doi.org/10.1016/S0263-7863(96)00039-7
  9. Chan, D. W. M., and Kumaraswamy, M. M. (1995). A study of the factors affecting construction durations in Hong Kong, J. Constr. Mgmt. and Econ.. UK., Vol. 13, pp. 319-333 https://doi.org/10.1080/01446199500000037
  10. Elinwa, A. U., and Joshua, M. (2001). Time-overrun factors in Nigerian construction industry, J Constr. Engrg. and Mgmt., ASCE., Vol. 127, No.5, pp. 419-425 https://doi.org/10.1061/(ASCE)0733-9364(2001)127:5(419)
  11. Kumaraswamy, M. M. and Chart, D. W. M. (1995). Determinants of construction duration. J Constr Mgmt. and Econ., UK., Vol. 13, pp. 209-217 https://doi.org/10.1080/01446199500000025
  12. Li, S., (1996). New approach for optimization of overall construction schedule, J Constr Engrg. and Mgmt., ASCE., Vol. 122, No.1, pp. 7-13 https://doi.org/10.1061/(ASCE)0733-9364(1996)122:1(7)
  13. Majid, M. Z., and McCaffer, R. (1998). Factors of non-excusable delays that influence contractors' performance. J Mgmt. in Engrg., ASCE., Vol. 14, No.3, pp. 42-49 https://doi.org/10.1061/(ASCE)0742-597X(1998)14:3(42)
  14. Okpala, D. C; and Aniekwu, A. N. (1998). Causesof high costs of construction in Nigeria. J. Constr. Engrg. and Mgmt., ASCE., Vol. 114, No.2, pp. 233-244 https://doi.org/10.1061/(ASCE)0733-9364(1988)114:2(233)
  15. Shi, J. J., Cheung, S. O., and Arditi, D. (2001). Construction delay computation method. J. Constr. Engrg. and Mgmt.. ASCE., Vol. 127, No. 1, pp. 60-65 https://doi.org/10.1061/(ASCE)0733-9364(2001)127:1(60)
  16. Williams, T. (2003). Assessing extension of time delays on major projects. Int. J Proj. Mgmt., Vol. 21, No.1, pp. 19-26 https://doi.org/10.1016/S0263-7863(01)0006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