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Travel Time Estimation Algorithm using Transit GPS Probe Data

Transit GPS Data를 이용한 링크통행시간 추정 알고리즘 개발

  • 최기주 (아주대학교 환경건설교통시스템공학부 교통공학) ;
  • 홍원표 ((주)유신코포레이션 교통연구실) ;
  • 최윤혁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건설교통공학과)
  • Received : 2006.03.13
  • Accepted : 2006.04.17
  • Published : 2006.09.30

Abstract

The bus probe-based link travel times were more readily available due to bus' fixed route schedule and it was different from that of taxi-based one in its value for the same link. At the same time, the bus-based one showed less accurate information than the taxi-based link travel time, in terms of reliability expressed by 1-RMSE(%) measure.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develop a heuristic algorithm for mixing both sources-based link travel times. The algorithm used both real-time and historical profile travel times. Real-time source used 4 consecutive periods' average and historical source used average value of link travel time for various congestion levels. The algorithm was evaluated for Seoul urban arterial network 3 corridors and 20 links. The results based on the developed algorithm were superior than the mere fusion based link travel times and the reliability amounted up to 71.45%. Some limitation and future research agenda have also been discussed.

Transit GPS Probe를 이용하여 통행 시간을 산출함에 있어서 Bus Probe는 Taxi에 비해 상대적으로 조밀한 주기당 통행 시간 정보를 생성하였으나, 링크별 근소한 신뢰수준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Bus Probe는 Taxi에 비해 평균적으로 낮은 신뢰 수준을 나타냈다. 따라서, 두 수집원의 운행특성을 고려한, 연속적이고 신뢰성 있는 링크통행시간 정보를 생성할 필요성이 있는 바, Bus Probe와 Taxi Probe의 통행시간 비율을 주기당 변수로 생성하여 실시간 (Real-Time) 데이터와 과거(Historical)자료로 보정하는 휴리스틱한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본 알고리즘에서 Real-Time 데이터는 4주기, Historical 데이터는 혼잡도별 평균값이 입력변수로 설정되었으며, 각 설정값은 통계적 기법을 기반으로 도출되었다. 알고리즘의 평가는 서울시내 주요 3개축 구간의 20개 링크를 대상으로 6시간의 실측자료와 동일주기 Transit GPS 데이터의 신뢰도를 사용하였다. 알고리즘 적용 결과 대상링크의 전체평균 신뢰도(71.45%)가 향상되었고, 수집원간 단순 합성한 기존 방법에 비해 모든 링크에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동환(2000) 혼잡교통류에서 GPS/GIS를 활용한 링크통행시간 및 정지지체 추정기법 개발, 석사학위논문, 아주대학교
  2. 신강원(2003) 도착시간과 검지기 고툥량을 이용한 링크통행시간 추정, 석사학위논문, 아주대학교
  3. 정연식(1999) GPS Probe 및 루프검지기 자료의 융합을 통한 통행시간추정 알고리즘 개발, 석사학위논문, 아주대학교
  4. 정재영(2001) GPS Probe를 이용한 정지지체 산정 및 혼잡지표 개발, 석사학위논문, 아주대학교
  5. Wall, Z. and Dailey, D. J. (1999) An Algorithm for Predicting the Arrival Time of Mass Transit Vehicles Using Automatic Vehicle Location Data, TRB 78th Annual Meeting
  6. Dailey, D. J. (1999) Irregularly Sampled Transit Vehicles used as a Probe Vehicle Traffic Sensor, U.S DOT FHWA
  7. Bae, Sanghoon (1995) Dynamic Estimation of Travel Time on Arterial Roads by Using Automatic Vehicle Location Bus as a Vehicle Probe, Ph.D. Virginia Polytechnic Institute and State University
  8. Hall, R. W. (1997) Orange County Transit Probe Evaluation,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Los Angeles, Californ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