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토목시설물 공사관리 시각화를 취한 4D시스템 적용방안

Development of 4D System based on New Methodology for Visualizing Construction Schedule Data for Civil Engineering Projects

  • 투고 : 2005.09.20
  • 심사 : 2005.12.05
  • 발행 : 2006.01.31

초록

수치적 공정정보들을 시각적 정보로 표현하는 기능은 4D시스템 활용목적 중의 하나로서 기본적 기능에 속한다. 기존의 4D시스템은 수직적으로 공정이 진행되는 건축물공사에 적합한 활용성을 갖고 있으나, 이러한 기본적 기능들이 도로나 철도 시설과 같이 수평적으로 공사가 진행되고 자연지형 조건하에서 작업이 진행되는 토목공사에 직접적으로 적용될 때는 제약점을 갖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토목공사 시설물에 적용 가능한 4D시스템 개발을 위한 새로운 방법론들을 구성하며, 이러한 방법론에 근거하여 토공사, 터널공사 등의 수평적 시설물의 4D객체 구현이 가능한 4D시스템 개발을 시도하고 있다. 특히 연구에서는 자연지형 조건하에서 작업이 진행되는 성토, 절토작업 등의 토공 작업을 일정과 연동된 4D객체로 구현하기 위해 몰핑기법을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독자적 구성 방법론들로서 토목공사의 4D시스템 적용을 활성화하기 위한 도구로서 적용이 기대된다.

One of the main functions of the 4D system includes visualizing numerical schedule data in construction. The existing 4D tools have an excellent function for simulating building projects that all activities are progressed according to vertical work zone. However, it is not easy to implement all of it in the civil engineering project because the construction activities of highway and railway projects are progressed on the horizontal work zone and the 4D simulation for those projects should include earthwork objects that depend on the natural ground condition. This study suggests a new methodology for improving those limitations of 4D system for the civil engineering project and develops a new system by the suggested methodology. To verify the developed system, this study attempts to simulate 4D object for horizontal elements such as earthwork, paving work and tunneling work. The morphing and multi-texturing techniques developed in the study can be new approaches to simulate 4D object for the earthwork such as cutting and banking whose activities are progressed on the natural ground condition. The research results can be expected as a draft function for improving the application of 4D system in civil engineering projects.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인석 외(2003) 웹기반 통합데이터베이스에 의한 건설공종정보 관리방안 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3권 제4-D호
  2. 강인석 외(2004) 공통정보운영방식에 의한 40 CAD시스템의 정보관리 개선방안 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 24권 제5-D호
  3. 강인석 외(2005) 토목시설 지형정보의 4D시스템 구현을 위한 객체속성별 삼각망 구축기술,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한국건설 관리학회
  4. 강인석(2002) 건설관리분야 4D시스템의 기능분석을 통한 활용성 개선방안, 대한건축학회논문집, 대한건축학회, 제18권 10호
  5. 권오성, 박우열, 조훈희, 강경인(2001) 초고층 복합시설물의 40 CAD 모델링 사례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187-192
  6. 대림산업(1997) 공동주택의 공정관리를 위한 CAD기반 시뮬레이션 개발에 관한 연구, 건설교통부 최종보고서
  7. 벤틀리시스템즈코리아(주) 홈페이지(2005) http://www.bentley.co.kr
  8. 엘콘시스템(주) 홈페이지(2005) http://www.elconsystem.com
  9. 이재철(2004) 4D 시뮬레이션 및 일정별 물량정보검색을 위한 3D 모델 정보 활용/Application of the 3D CAD Model,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한국건설관리학회, 5권 4호, p. 107
  10. 조훈희, 권오성, 서장우, 김재엽, 강경인(2001) 4차원 CAD 기반의 지하공사 간섭관리시스템 개발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대한건축학회, 제17권 9호 pp. 225-232
  11. Agterberg, F. P. (1997) Recent developments in geomathematics, Geo-Processing, Vol. 2, pp. 1-32
  12. Dawood, N. etc. (2002) Development of an Integrated Resources Base for 4D/VR Construction Processed Simulation, Automation in Construction
  13. DDR소프트(주) 홈페이지 (2005) http://www.ddrsoft.co.kr
  14. Fischer, M. (2000) Benefits of Four-Dimensional (4D) Models for Facility Owners and AEC Service Providers, Proceedings of the Congress, ASCE, pp. 990-995
  15. Kang, L. S. etc. (2004) Aufbaustruktur der 4D-Planungsmethode, Computer Spezial (Software fur Architekten Ingenieure Bauun-ternehmen), Bauverlag
  16. Kang, L. S. etc. (2004) Simplified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ology to Link 2D/3D Objects in 4D Systems foR Civil Engineering Projects, 4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Application of Virtual Reality, ADDETI/ISCTE
  17. Koo, B. (2000) Martin fischer, feasibility study of 4D CAD in commercial constructio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ASCE, Vol. 126, No.4, pp. 251-260 https://doi.org/10.1061/(ASCE)0733-9364(2000)126:4(251)
  18. Michael, C. T. (1998) Experimentation with Fractals Digital Elevation Models, The University of Calgary, Department of Surveying Engineering, ENSU 500-Survey Project
  19. Midtbo, T. (1993) Spatial Modeling by Delaunay Networks of Two and Three Dimensions, Dr. Ing. Thesis, Norwegian Institute of Technology, University of Trondheim, pp. 71-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