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Study on Determination of Benefit Factor as Constructing Traffic Facilities Using ANP

ANP기법을 이용한 교통시설 건설사업의 편익항목 선정에 관한 연구

  • 김만경 (부산발전연구원 교통연구부) ;
  • 정헌영 (부산대학교 도시공학과) ;
  • 이상용 (부산대학교 도시공학과)
  • Received : 2005.10.28
  • Accepted : 2005.11.16
  • Published : 2006.01.31

Abstract

The construction of traffic facilities has generated a variety of problems in the equality and efficiency when it would be planed and evaluated. One of the reasons for these phenomena isn't the definition of an objective standard about benefit items. Thus, results of evaluation couldn't give a demonstration of confidence. But, the traffic facility construction and its operation costs are securely appeared. Therefor, it will be demonstrated to decide the benefit items in this study. Before deciding the items, user's satisfaction evaluation and economic analysis would be carried. We find out subway user's satisfaction higher than load traffic mode user in satisfaction evaluation, while subway's economic feasibility is lower than load facility, as a result of B/C analysis. In this inconsistent results, we found out that the benefit value is a little lower because of indefinite standard of it's items as comparing Busan Metropolitan City's population with subway's modal split ratio. Accordingly, we enumerate some benefit items in the case of feasibility evaluation as constructing traffic facility. And each of evaluation items' weight is estimated by using ANP. We found out that the weight value of accessibility has the highest one, that of punctuality has second, that of travel time has third, and benefit items according to improvement of user's traffic condition have much more important than those which were considered in the existence economic analysis.

교통시설 건설사업을 기획하고 평가하는 단계에서 형평성 및 효율성에 많은 논란이 제기되고 있는 사업들이 존재하고 있다. 그 이유 중의 하나는, 사업의 타당성을 평가함에 있어서 소요되는 비용은 명백히 드러나지만 사업실시에 따른 편익항목의 종류와 기준은 애매모호한 부분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편익항목을 설정하는 기준을 명확히 하기 위하여 우선적으로, 부산광역시의 도로 및 도시철도의 시설이용자에 대한 만족도 평가와 함께 교통시설에 있어 기존의 경제성 분석방법으로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이용자들은 도시철도 이용에 대한 만족감이 도로이용보다는 높게 나타났으나 경제성 분석 방법인 B/C분석을 행한 결과, 도시철도시설이 대상도로에 비해 경제적 타당성이 상당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모순적인 사실은 현재 부산광역시의 인구에 대비한 지하철 수단분담율에 비춰볼 때 편익항목에 대한 설정 기준이 맞지 않아 편익의 값이 다소 적게 산출된 결과라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교통시설 건설타당성 평가를 실시할 경우에 고려되어야 할 편익항목들을 열거하고 ANP기법을 통하여 각각의 항목에 대한 가중치를 산정하였다. 그 결과 접근성, 정시성, 주행시간 순으로 높은 가중치를 가지고 있었으며, 기존의 경제성 분석시 고려되는 편익항목보다는 주민의 교통여건향상에 따른 편익항목이 더욱 높은 중요도를 가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경기개발연구원(2000) 경기도 지역의 혼잡비용산정에 관한 연구
  2. 교통개발연구원(1998) 공공투자사업의 할인율 분석
  3. 김광식 (1989) 교통시설 투자평가에 있어서의 이용자편익 측정, 대한국토계획학회지, 국토계획, 제24권 제3호, pp. 29-45
  4. 시정개발연구원(1993) 도로투자 무선순위 결정기법에 관한 연구
  5. 양지청 (2002) 사회간접 자본투자의 효과측정 : 지역SOC의 Network화에 따른 국가적 투자효과 또 다른 접근, 한국응용 경제학회, 응용경제
  6. 양지청 (2003) 대규모 공공투자 사업이 국가 및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측정방안, 대한국토계획학회지, 국토계획, 제38권 제4 호, pp. 137-148
  7. 원제무, 박용훈 (1989) 서울시 지하철 3,4호선 건설에 따른 개발 이익 산정에 관한 연구, 대한교통학회지, 대한교통학회, 제7권 제 2호, pp. 53-69
  8. 전경수, 조중래 (1992) 도로개선사업의 지역개발 효과분석, 대한교통학회지, 대한교통학회, 제10권 제3호, pp. 123-140
  9. 한국개발연구원 (1993) 예비타당성 조사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연구
  10. 道路投資の評價に關する指針檢討委員會 (1998) 道路投資の評價に關する指針檢討
  11. 都市鐵道整備效果硏究會 (1993) 都市鐵道の整備效果に關する硏究
  12. 北村隆一, 森川高行 (2002) 交通行動の分析とモデリング, 技報堂出版
  13. 運送經濟硏究センタ- (1998) 鐵道プロジェク卜の費用對效果分析マニュアル 97
  14. English, Donald, B. K. (2000) calculating confidence intervals for regional economic impacts of recreation by bootstrapping visitor expenditures. Journal of Regional Science, Vol. 40, No.3, pp. 523-549 https://doi.org/10.1111/0022-4146.00186
  15. FHWA (1997) FHWA Study Tour for Road Safety Audits
  16. Kenneth, A. S. (1992) Urban Transportation Economics
  17. Pickrell, D. H. (1990) Urban Rail Transit Projects: Forecast Verse Actual Ridership and Costs, U.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18. Saaty, T. L. (1996) The Analytic Network Process, RWS Publication, Pittsburgh
  19. TCRP Report 20 (1996) Measuring and Valuing Transit Benefits and Disbenefits,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