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Applicaton and Performance on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 In the place of Busan·Kyungnam area -

물류정보시스템 활용도 제고에 관한 연구 - 부산·경남지역을 중심으로 -

  • 최양원 (영산대학교 교통물류시스템학과) ;
  • 이시복 (영산대학교 교통물류시스템학과)
  • Received : 2005.10.10
  • Accepted : 2005.11.02
  • Published : 2006.01.31

Abstract

The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has been recently attracting a great deal of attention for its importance in the national economy. It should be noted, however, that the degree of the system utilization differs by the capabilities of the logistics firms such as logistics management skills, robustness of the organization, technical sophistication, and administrative abilities. A survey was conducted in the Busan and Kyungnam area for 174 companies in the logistics and manufacturing industr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the degree of utilization of the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varies depending upon business-type details. Secondly, utilization of the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is equally important for both manufacturing and logistics companies. Thirdly, it was found that the executives of the companies with logistics management skills can play a key role in utilizing the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Finally, the degree of utilization has positive relationships with the logistics performance as the companies benefit from the system not just for saving costs, but more importantly for providing higher-quality services for their customers.

근래 물류정보시스템의 중요성은 특히 강조되어 지고 있으며 물류정보시스템의 활용도는 물류관리의 능력, 물류처리의 기술수준, 물류체계의 강화, 물류정책의 수행력과 같은 기업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회사의 물류정보 시스템의 활용도를 조사하기 위해 부산 경남지역에 소재한 상장, 등록, 외감법인 중 174개 제조업체와 유통업체를 대상범위로 한정시켰다. 다음은, 본 연구의 결론으로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업의 특정종류에 따라 물류정보시스템 활용도는 차이가 있었다. 둘째, 제조업체와 유통업체들의 각 입장에서 볼 때, 물류정보시스템의 활용도에 대한 중요성은 쌍방업체간에 크게 다르지 않음을 나타내고 있다. 셋째, 물류시스템의 할용도는 물류관리능력을 가진 경영자의 유무에 따라 좌우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넷째, 물류정보시스템의 활용도는 물류성과와 긍정적인 관계를 가지며, 또한 이러한 활용도는 단순한 물류비용 감소보다는 물류전문가로 하여금 고객들에게 보다 고급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Keywords

References

  1. 전국경제인연합회(2004) 동북아 물류중심지 건설과 국내물류체계 효율화과제, pp. 302-338
  2. 최양원(2004) 김해지역 유통시설 조성을 위한 적정규모 산정을 위한 검토 보고서, 양산대학 산업기술연구센터, pp. 14-17
  3. 김해시 (2003, 2004), 통계연보
  4. 최양원(2003) 우리나라 기업의 물류아웃소싱 활성화에 관한 연구, 양산대학 제12논문집, pp. 95-109
  5. 최양원(1999) 우리나라 업종별 물류종합능력 평가에 관한 연구, 양산대학 제8논문집, pp. 217-239
  6. 김성수, 변의석(2001) 물류정보시스템, 대영사, p. 118
  7. 한국전산원(1998) 국가정보화백서, p. 253
  8. 교통개발연구원(1998) 제1차 전국 물류현황 조사 - 총괄부문 p.208
  9. 교통개발연구원(1998) 물류정보망의 종합연계체계 구축방안, p 10
  10. 문상원(1994) 불류의사결정을 위한 계량모형의 현황과 발전방향, 경영과학, Vol. 11, pp. 99-131
  11. Lynagh, P.M. and Poist, R.F. (1984) Managing physical distribution/marketing interface activities : Cooperation or conflict, Transportation Journal, Vol. 23, No.3, p. 35
  12. Moynihan, T. (1992) What chief executives and senior managers want from their IT departments, MIS Quarterly, Vol. 16, March, pp. 15-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