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f the Traffic Noise Measurement Plans of 'Apartment Complexes' - A Case on the North Riverside Expressway in Seoul -

'아파트단지' 교통소음측정방안에 관한 연구 - 강북 강변도로 사례를 중심으로 -

  • 강준모 (홍익대학교 공과대학 도시공학과) ;
  • 이성경 (홍익대학교 일반대학원 도시계획과)
  • Received : 2004.12.14
  • Accepted : 2004.12.28
  • Published : 2006.01.31

Abstract

This study conducts a theoretical research on road traffic noise. Also, the domestic road noise forecast models were compared each other and analyzed with advanced countries' models to indicate the application possibility and problems. For the establishment of a general formula, we compared the forecasted value with the actual value applied in the formula proposed by the National Environment Institute, and examined the necessary improvement of the domestic road traffic noise forecast model. Also, a regression model was built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raffic factors and noise. The traffic volume and speed are the main traffic factors used in this formula to affect the noise. From the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speed had a closer relationship with the noise rather than the traffic volume. Therefore, to decrease road noise, it is more important to control traffic speed. The spatial effect of road traffic noise within the apartment complexes was used in the case study to derive location-specific adjustment values. We surveyed the road traffic noise of three apartment complexes, and found that the road traffic noise within each complex was affected at plane level as well as at three-dimensionally. In other words, as the distance from the sound origin grows farther, noise level decreases. Also, it was found that noise increases as heigt goes up, but drops when the height goes beyond a certain level, and that the effect of noise decreases if there are obstacles along the path of the noise direction. Therefore, apartment site design should be done with consideration of the effects of noise in the future.

본 연구에서는 소음에 대한 이론적 연구와 도로교통소음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그리고 국내의 도로소음예측모델을 다른 선진국의 모델과 비교 분석하여 예측인자의 적용현황 및 적용상의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일반식 정립을 위한 사례연구에서는 국립환경연구원에서 제안한 식에 적용한 예측치와 실측치를 비교하여 국내의 도로교통소음 예측모델의 개선점을 살펴보았다. 또한 소음에 대한 통행량과 속도의 관계를 고찰해보기 위해서, 이 식에서 주요 요인으로 사용한 통행량과 속도의 두 요인 중에서 무엇이 더 큰 영향을 가지는지를 회귀분석을 통하여 속도가 통행량보다 더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도로소음을 줄이기 위해서는 차량의 통행량의 고려도 중요하지만 차량의 속도 규제가 더욱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지구보정치 도출을 위한 사례연구에서는 도로교통소음이 단지내에 공간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세 아파트 단지의 도로교통소음을 측정하여 비교 분석함으로써 도로교통소음은 단지내에 평면적 입체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즉, 소음원에서 거리가 멀어질수록 소음의 크기가 적어지고, 높은 위치로 올라갈수록 소음의 크기는 증가하다가 어느 정도 높이 이상에서는 다시 소음의 크기는 줄어들고, 소음의 방향에 장애물이 있을 경우 소음의 영향이 줄어들었다. 따라서 단지내에 소음이 미치는 영향을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여 공간적으로 파악한 단지 설계를 해야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2001) 공동주택의 소음측정기준 건설부고시 제463호
  2. 고바야시이학연구소(1994) 도로교통소음의 예측과 대책
  3. 김재수 외 5(2001) 건설소음 . 진동
  4. 박창수 외 1 (2002) 도시교통공학론
  5. 박창수(2003) 도시교통운영론
  6. Blunden 외3(1994) 교통과 도시계획
  7. 박창호(2000) 교통공학개론, 영지문화사
  8. 삼성건설(1996) 일본도로교통소음의 예측식 개발에 관한 최근 연구동향
  9. 서울지방경찰청, 2002(2003) 서울시 교통량 조사자료
  10. 이승일(2001) 환경친화적 도시공간구조를 위한 도로교통소음계산 연구, 국토연구 제31권
  11. 이내형 외2(2001) 환경영향평가시 도로교통소음예측에 관한 개선 방안 연구, 환경영향평가, 제 10권
  12. 안주희(2002) GIS를 이용한 도로교통소음예측 및 오염공간분석, 석사학위논문, 공주대학교
  13. 한국소음진동공학회(1995) 소음 . 진동편람
  14. 한국소음진동공학회지(1997) 도로교통소음 저감방안
  15. 한국소음진동공학회(1999) 육상교통소음의 전파 및 예측기법 환경부(2001 ) 소음 . 진동환경개선 중 . 장기 계획(2002-2010)
  16. 환경부 (2001) 소음.진동환경개선 중.장기 계획(2002-2010)
  17. FHWA (1978) NCHRP 78/117/114/174
  18. Jeffrey, D. F., Paul A. Bell, and Andrew, B. (1978) Environmental Psychology
  19. National Resoruces Planning Board (1941) Land Classification in the United States. Washington: Ted States Government Printing Office p.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