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attress/Filter 채움재의 공극률에 따른 하천수질 개선효과

Effects of Water Quality Improvement by Porosity of Fill Materials in Mattress/Filter System

  • 고진석 (영남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 이승윤 (구주대학교 토목공학과) ;
  • 허창환 (영남대학교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 지홍기 (영남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투고 : 2005.09.14
  • 심사 : 2005.10.01
  • 발행 : 2006.01.31

초록

산업활동으로 인해서 발생하는 제강슬래그와 최근 선진국에서 환경개선 및 오염방지를 위한 용도로 활용하고자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제올라이트 등의 다공성 재료를 오염된 하천의 정체수역에 설치하여 저비용으로 수질을 개선시킬 수 있는 기법은 폐기물의 재이용 측면과 하천수질개선 측면에서 매우 필요하다. 현재 제철소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인 제강슬래그의 화학적성분은 주로 CaO, $SiO_2$, $Al_2O_3$, $Fe_2O_3$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침전유발물질 및 흡착성물질이 함유되어 있다. 제강슬래그는 다공질 형태의 비표면적을 가지고 있어서 정화용 필터나 흡착재로 이용하기에 좋은 이점을 지니고 있다. 그리고 제올라이트는 양이온 교환특성, 흡착특성, 촉매특성, 탈수 및 재흡수특성 등의 이점을 지니고 있어서 축산농가의 환경개선, 도시의 생활하수의 처리, 공업폐수 처리, 음료수 수질개선, 방사성폐기물 처리 및 방사성 물질의 오염방지 등에 응용되고 있다. 그러므로 제강슬래그나 제올라이트를 Mattress/Filter의 채움재 및 수질정화용 여재로 활용함으로써 수질개선 등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제강슬래그와 제올라이트가 정체수역에 설치되는 Mattress/Filter시스템의 채움재로 활용할 때 공극률에 따른 수질개선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공극률을 38.6%인 P1, 45.8%인 P2 및 49.8%인 P3로 변화시켜 각각의 유입수와 유출수의 pH, DO, T-N, T-P 등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수질개선에 사용된 Mattress/Filter시스템은 오염된 하천수가 Mattress/Filter시스템의 공극사이를 통과하면서 채움재에 형성된 다공질에 의한 여과작용과 생물막에 의한 접촉작용, 흡착작용 및 생물분해작용 등을 촉진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제강슬래그 및 제올라이트를 채움재로 사용한 Mattress/Filter 시스템은 쉽게 생물막을 형성시키고 유기물의 흡착을 촉진시켜 오염물질을 정화하는데 필요한 자정작용의 효과를 증대시키고 수질개선을 촉진시킬 수 있는 자연환경에서 하천정화에 이용될 수 있는 시스템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Water quality improvement in mattress/filter system using porous material like slag from industrial activity and zeolite that has been studied for environment improvement and pollution abatement is very useful in polluted stagnant stream channel. Slag is consisted of CaO, $SiO_2$, $Al_2O_3$ and $Fe_2O_3$. Slag with large specific surface area of porosity has been used such as sludge settling and adsorptive materials. Because slag is porous, it can be used for purification filter. As slag is used as filled materials of mattress/filter system and the system has good advantages for the waste water treatment, water recycling, and the improvement of water quality at the same time and so on. Because zeolite has much advantage of cation exchange, adsorption, catalyst and dehydration characteristics, It is used for environment improvement of livestock farms, treatment of artificial sewage and waste water, improvement of drinking water quality, radioactive waste disposal and radioactive material pollution control. In this study, according to verifying effects of water quality improvement of fill materials by porosity that 38.6%, 45.8% and 49.8% respectively in the stagnant stream channel, water quality monitoring of inflow and outflow was conducted on pH, DO, BOD, COD, SS, T-N and T-P. Mattress/filter system was able to accelerate water quality improvement by biofilter as waste water flows through gap of mattress/filter fill materials and by contact catalysis, absorption, catabolism by biofilm. Mattress/filter system used slag and zeolite forms biofilm easily and accelerates adsorption of organic matter. As a result, mattress/filter system increases water self-purification and accelerates water quality improvement available for stream water clean-up.

키워드

참고문헌

  1. 고진석, 송시훈, 배상수, 권혁문, 지홍기(2003) Mattress/Filter-용 수중슬래그의 2차오염 평가기법.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논문개요집, 한국수지원학회, pp. 589-592
  2. 고진석, 이승윤, 허창환, 지홍기(2004) Mattress/Filter에 의한 수중수질개선 Monitoring시스템 평가 기법. 2004년 공동추계학술발표회 논문개요집, 대한상하수도학회 . 한국물환경학회, pp. 310-315
  3. 고진석, 이영민, 이승윤, 지홍기(2004) Mattress/Filter에 의한 수질개선 효과분석. 2005년 공동춘계 학술발표회 논문개요집. 대한상하수도학회 . 한국물환경학회, pp. 669-6 72
  4. 고진석, 임기석, 송시훈, 지홍기(2003) Mattress에 의한 수중수질 개선 시스템 구축공법 개발. 2003년 공동추계학술발표회 논문개요집, 대한상하수도학회 . 한국물환경학회, pp. 225-228.
  5. 고진석, 전지영, 허창환, 지홍기(2005) MattressIFilter를 이용한 수질개선시스템 표준화. 2005 한국습지학회 학술발표회 논문개요집, 한국습지학회, pp. 275-278
  6. 고진석, 최은혁, 지홍기, 이순탁(2004) Mattress/Filter에 의한 수중수질개선 Monitoring시스템 운영 기법. 대한토목학회 학술발표회 논문개요집, 대한토목학회, pp. 4952-4955
  7. 김응호, 조진규, 허순철(1997). 제강전로슬래그로 고화처리된 하수슬러지 중금속의 용출특성. 한국물환경학회 논문집 Vol.14 No.3, 한국물환경학회, pp. 315-32 1
  8. 김태희(2000) 제강슬래그 특성을 이용한 오폐수 처리장치개발. 광호개발(주)
  9. 노진환(2003) 천연제올라이트의 수환경 개선용 기능성 소재로의 활용에 관한 연구 (I) 한국광물학회지 Vol. 16 No.2, 한국광물학회, pp 135-149
  10. 배상수, 이경욱, 지홍기(2002) Mattress/Filter를 이용한 하천수질 개선 기법. 2002년 공동추계학술발표회 논문개요집, 대한상하수도 . 한국 물환경학회, pp .93-96
  11. 서정윤(2002) 제올라이트 칼럼에 의한 인공생활하수처리. 한국환경농학회지 Vol. 21 No.3, 한국환경농학회지, pp. 178-188
  12. 양홍모(2003) 하천고수부지 수절정화 여과습지의 초기운영단계 질소제거. 한국환경농학회지 논문집 Vol. 22 No.4, 한국환경농학회, pp. 278-283
  13. 정동양(2004) 제강 슬래그를 여재로 사용한 자연정화 하수처리장의 인(P)제거 효과. 한국환경복원녹화학회 논문집 Vol.7 No.2, 한국환경복원녹화학회, pp. 68-74
  14. 진서형(1995) 다공질 여재에 부착한 샘물막의 기질 제거특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15. 한기현(1998) 제강슬래그 자원화 기술,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연구 보고서
  16. Komlos, J. Cunningham, A.B. Warwood, B. and James, G (1998) Biofilm Barrier Formation and Persistance in Variable Saturated Zones, Conference on Hazardous Waste Research
  17. Kim, T.H. (1997). Biological Wastewater Treatment Properties of Porous Ceramic Filter Media, Bull.of Ind. Tech. Res. Inst., vol. 4, pp. 93-99
  18. River Restoration Center (1999) Manual of River Restoration Techniques, Revetting and Supporting River Bank
  19. EPA (2000) Manual : Constructed Wetlands Treatment of Municipal Wastewaters, Office of Research and Development, Cincinnati, Ohio, pp .930-9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