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nalysis of the Fallow Potential in Agricultural Area by Multi-logistic Model - A Case Study of Ibang-myeon, Changnyeong-gun, Kyungsangnam-do -

다중 로지스틱 모형에 의한 농경지 휴경잠재성 분석 - 경상남도 창녕군 이방면을 대상으로 -

  • Park, In-Hwa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Coll. of Agr.,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Jang, Gab-Sue (Dept. of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Research, Chungnam Development Institute) ;
  • Seo, Dong-Jo (Dept. of Computer Engineering, Seoul Digital University)
  • 박인환 (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조경학과) ;
  • 장갑수 (충남발전연구원 환경생태연구부) ;
  • 서동조 (서울디지털대학교 컴퓨터공학부)
  • Received : 2005.11.09
  • Accepted : 2006.02.01
  • Published : 2006.02.28

Abstract

Topographic condi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things in farming activities. The topographic condition didn't matter for farming in the past because agricultural products had competitive power in the market. So farmers tried to extend their farms without any concern of topographic condition. We need less labor-consuming farming as industrial structure has been changed and the competitive power of the farming has been getting weak. This study analyzed the fallow potential in agricultural area by topographic condition so that we have got results as follows. Maps of elevation, slope, distance from roads and water resources were made for getting a fallow probability model in farms, and these 4 factors were used as independent variables while a variable on whether it is fallow or not is a dependent variable in logistic regression model. In an analysis of the fallow potential depending on farm land types, the fallow probability in fallow orchard showed the highest value of farm lands, 0.973. Cultivated orchard had 0.730 and upland had 0.616 of the fallow probability. The fields having high fallow potential had high elevation, steep slope, and long distance from water resources and roads. Especially, fields having a probability over 0.99 appeared in orchards, fallow uplands and single cropping uplands, which were recognized to have several disadvantages related to the fallow like as high elevation, steep slope, and long distance from water resources and roads. With the logistic analysis, the suitable farm lands appeared at 16.45m of the mean elevation, 1.89 degree of the mean slope, 39.91m of the average distance from water resources, and 32.39m of the average distance from roads. On the contrary, non-suitable land appeared at 114.7m of the mean elevation, 24.9 degree of the mean slope. The distance from roads was more important variable than the distance from water resources for analyzing suitable farm land.

Keywords

References

  1. 강병화, 심상인, 마경호, 2003, 휴경 연차에 따른 휴경군락내 식생 특성, 한국환경농학회지, 22(1), 53-59
  2. 건설교통부, 2003, 토지적성평가 가이드, 국토연구원
  3. 국토연구원, 2002, 국토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토지적성평가 방안 공청회, pp. 1-68
  4. 계기석, 최 수, 1997, 대도시주변지역 관리방안연구: 토지이용변화와 관리정책 방향, 국토연구원, pp. 1-40
  5. 국용인, 박태동, 권오도, 2002, 논 휴경 경과 년수에 따른 잡초생태특성 변화, 한잡초지, 22(2), 137-146
  6. 김동수, 엄기철, 윤성호, 윤순강, 황선웅, 1994, 논, 왜 지겨야 하는가, 서울: 도서출판 따님, pp. 1-87
  7. 김태연, 1995, EU 공동농업정책의 구조정책 변화에 관한 연구: 직접소득보조정책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 38-40
  8. 나영은, 노기안, 이상범, 한민수, 박무언, 1996. 휴경답 생태계의 토양특성 변화와 식생의 생태 천이, 한국토양비료학회지, 29(2), 199-206
  9. 농림부, 2001, 조건불리지역 밭농업 직접지불제 추진방향
  10. 농림부, 2004, 농업.농촌 종합대책, pp. 16-20
  11. 박영임, 1996, 인공위성영상자료를 이용한 북한산 국립공원 전이지대 식생 분석, 서울대 환경대학원 석사논문
  12. 박인환, 장갑수, 서동조, 2005, 상습침수 농경지의 토지평가를 위한 고도별 침수잠재성 분석, 한국조경학회지, 33(2), 71-82
  13. 박종화, 명수정, 박영임, 1995, GIS 및 원격탐사기법을 이용한 북한산 국립공원 주변부의 추이대 탐지. 한국GIS학회지, 3(2), 91-102
  14. 박헌주, 진정수, 서형탁, 1999, 준농림지역의 토지 이용실태 분석 및 제도개선 방안, 국토연구, 28, 79-92
  15. 창녕군, 2002, 창녕군 통계연보, 창녕군
  16. 송인주, 전유리, 2003, 환경친화적인 도시계획수립을 위한 공간생태평가의 적용방향, 국토연구, 39, 3-18
  17. 오내원, 2000, 조건불리지역 농업의 특성과 직접지불제 도입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18-27
  18. 이정전, 1985, 토지개발론과 토지보전론, 국토연구, 4, 123-137
  19. 이한방, 2000, 과소농촌지역의 휴경화 현상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 12-22
  20. 이한방, 2001, 과소농촌지역의 휴경요인과 유형: 경북 상주시 사벌면 덕가리의 사례연구, 한국지역지리학회지, 7(3), 74-90
  21. 장갑수, 2004, 지속가능한 농촌경관자원 관리를 위한 토지평가, 경북대학교 박사학위청구논문
  22. 정필균, 1983, 토양유실량 예측을 위한 강우인자의 분석, 한국토양비료학회지, 16(2), 112-118
  23. 채미옥, 정희남, 2002, 토지이용규제제도와 환경규제제도의 연계성 확보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pp. 1-31
  24. 채미옥, 지대식, 2001, 국토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토지적성평가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원, pp. 1-11
  25. 채미옥, 2003a, 토지적성평가체계의 구축 및 향후 발전방향, 경기도 공무원 교육교재
  26. 채미옥, 김정훈, 2003b, 토지적성평가제도의 개선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pp. 1-32
  27. 천대윤, 2002, 종합SAS 통계분석, 서울: 교우사, pp. 348-356
  28.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998, 조건불리지역 및 환경보전에 대한 직접지불제도 조사연구, pp. 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