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Architectural Planning on the Spacial Configuration of Public Libraries - Focused on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Selected Designs in Competition and Final Executed Designs -

공공도서관의 공간구성에 관한 건축계획적 연구 - 현상설계 당선안과 실시설계안을 중심으로 -

  • 전한종 (한양대학교 건축대학 건축학부) ;
  • 김승필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 Published : 2006.01.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atively analyze the designs selected in the competition and those executed actually for the public libraries and thereupon, check if competition winner architects' original intentions were maintained or not, and thereby, review the details of changed designs and their causes, and thus, provide some basic data useful to architectural planning and design of future public libraries. For this purpose, researcher sampled 5 public libraries designed and constructed through competition in Seoul and Gyeong-In area since 2000, and thereupon, comparatively analyzed the selected designs and executed ones to review the details and causes of changed designs and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tial planning for the public libraries.

Keywords

References

  1. 김연응, 김승제, 공공도서관의 공간구성 및 전용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20권 제2호, 2000
  2. 송민희, 이상호, 공공도서관의 공간구성 및 변화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22권 제2호, 2000
  3. 윤소희, 전한종, RFID 도입에 의한 공공도서관의 열람공간의 변화에 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004
  4. 이진영, 공공도서관 운영론, 아세아문화사, 2001
  5. 한국도서관협회, 한국도서관연감, 계문사, 2004
  6. 한국도서관협회, 공공도서관 표준모형개발에 관한 연구, 문화부, 1992
  7. 한화진, 박승화, 최무혁, 공공도서관 이용자공간의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제20권 제4호,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