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차원 디지털 모형을 이용한 양악 치조골 전돌자의 치열궁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dental arch characteristics of bialveolar protrusion patients using a three-dimensional digital model

  • 이수경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교정학교실) ;
  • 성재현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교정학교실) ;
  • 권오원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교정학교실)
  • Lee, Soo-Kyung (Department of Orthodontics, School of Dentist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Sung, Jae-Hyun (Department of Orthodontics, School of Dentist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Kwon, Oh-Won (Department of Orthodontics, School of Dentist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06.02.28

초록

최근 안모의 심미성이 중요시되면서 구순 돌출로 인한 비심미성을 해소하고자 내원하는 양악 치조골 전돌자의 수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이러한 환자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으며 특히 모형을 이용한 연구는 극히 적다. 모형을 이용하는 연구는 주로 손으로 직접 계측하거나 2차원 평면에서 컴퓨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나 근래에 3차원 레이저 스캐너가 도입되면서 모형을 이용한 연구를 좀 더 빠르고 간편하면서도 정확하게 할 수 있게 되었다. 이 연구는 3차원 디지털 모형을 이용하여 양악 치조골 전돌자의 치열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양악 치조골 전돌자 20명과 정상교합자 20명을 대상으로 치아 크기, 치열궁 폭경 및 치열궁 길이, 치열궁과 구개의 형태를 비교하여 본 결과 양악 치조골 전돌자는 정상교합자보다 치아 크기가 크고, 하악 견치간 폭경 및 제1소구치간 폭경이 크며 치열궁 길이가 길었다. 그리고 치열궁 형태와 구개 형태에서 정상교합자와 차이를 보였다.

Recent beauty trends have caused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bialveolar protrusion patients seeking treatment of lip protrusion. But studies of these patients are not common. Studies using their dental models are especially rare. Dental models have been measured manually or through a computer by digitizing two dimensional images of models. Nowadays, we are able to study dental models more easily and accurately by utilizing the three-dimensional (3-D) laser scanner in dentistry. An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ntal arch in a bialveolar protrusion group in comparison with a normal group using 3-D digital models. The normal group was composed of 20 subjects who were selected from students of the School of Dentist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The bialveolar protrusion group was composed of 20 subjects who visited for treatment at the Department of Orthodontic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Tooth size, arch width and arch length were measured digitally, and arch shape and the shape of the palate were draw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differences of the arch characteristics in the bialveolar protrusion group were that the size of the teeth was larger, mandibular canine width and 1st premolar width were wider, and arch length was longer than in the normal group. And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arch shape and the shape of palate between the bialveolar protrusion and normal groups.

키워드

참고문헌

  1. 손병화. 치아 및 두개골에 대한 두부 방사선 계측학적 연구. 대치교정지 1975;5:53-63
  2. 이과희, 유영규. 정상교합자에 있어서 Steiner씨 및 Tweed씨 분석법에 의한 교정학적 표준치에 관한 연구. 대치교정지 1983;13:83-94
  3. 곡덕부, 박동옥, 경희문, 권오원, 성재현. 경북대학교 병원 교정과에 내원한 부정교합환자의 분포 및 변동추이. 대치교정지 1989;19:35-48
  4. 유형석, 유영규, 이장열. Y대학교 치과대학병원 교정과 내원환자의 지역분포와 부정교합 분류에 관한 연구. 대치교정지 1999;29:267-76
  5. Moyers RE. Handbook of orthodontics, 4th ed, Chicago: Year Book Medical Publishers Inc; 1988. p. 420
  6. Bonwill WGA. Gecmetric and mechanical law of articulation. Penn: Tr Odont Soc; 1884. p. 119-33
  7. Hawley GA. Determination of the normal arch and its application to orthodontia. Dental Cosmos 1905;47:541-52
  8. Gianelly AA. Arch width after extraction and nonextraction treatment.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2003;123:25-8 https://doi.org/10.1067/mod.2003.57
  9. 이승미, 윤영주, 김광원. 소구치 발치에 의한 교정치료후의 치열궁 형태 및 크기에 관한 연구. 대치교정지 1998;28:1-15
  10. Currier JH. A computerized geometric analysis of human dental arch form. Am J Orthod 1969;56:164-79 https://doi.org/10.1016/0002-9416(69)90232-2
  11. Sondhi A, Cleall JF, BeGole EA. Dimensional changes in the dental arches of orthodontically treated cases. Am J Orthod 1980;77:60-74 https://doi.org/10.1016/0002-9416(80)90224-9
  12. 권용철, 성정옥, 권오원, 성재현, 정상교합자의 치열궁 형태. 대치교정지 1989:19:95-105
  13. 대한치과교정학회 부정교합백서발간위원회. 한국성인 정상교합자의 석고 모형 계측연구 결과보고서. 2000
  14. 고상덕, 차경석. 3차원 레이저 스캐너를 이용한 한국인 영구치의 순, 협측 치관 굴곡도에 관한 연구. 대치교정지 2002;32:275-91
  15. Moorrees CFA. The dentition of the growing child: a longitudinal study of dental development between 3 and 18 years of age. Cambridge: Harvard Univ Press: 1959
  16. Graber TM. Orthodontics: Principles and practice, 3rd ed. Philadelphia: WB Saunders Co; 1972. p, 115
  17. 손병화. 한국인 6-17세 아동의 성장과 발육에 관한 준종단적 연구. 대치교정지 1996;26:225-239
  18. Andrews LF. Straight wire: The concept and appliance. LA: Wells; 1986. p. 13-8
  19. Keating PJ. Bimaxillary protrusion in the Caucasian: a cephalometric study of the morphological features. Br J Orthod 1985;12:193-201 https://doi.org/10.1179/bjo.12.4.193
  20. Lamberton CM, Reichart PA, Triratanarmit P. Bimaxillary protrusion as a pathologic problem in the Thai. Am J Orthod 1980:77:320-9 https://doi.org/10.1016/0002-9416(80)90085-8
  21. 심은주, 황현식, 문재동. 치아크기 계측오차에 관한 연구. 대치교정지 1999;29:491-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