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CED: 건설분야의 그리드 기술 활용

  • Published : 2006.05.01

Abstract

본 글에서는 최근 건설분야에 대한 적용이 적극적으로 모색되고 있는 그리드 기술에 대한 기존의 연구와 현재 국내에서 진행되고 있는 연구를 정리하고 소개하였다. 그리드 기술은 자원의 공유와 연계활용이라는 장점을 바탕으로 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창출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특히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실험 및 해석을 병행하여 검증을 거쳐야 하는 경우가 많은 건설분야에서 시도되고 있는 하이브리드실험 및 분산실험 등의 연구는 그리드 기술이 제공하는 분산협업 환경을 활용함으로써 새로운 연구 형태로의 변화로 이어지고 있다. 그리고 국내건설업체에서도 마찬가지지만, 건설 및 계측현장이 전세계적으로 분산되고, 설계 및 시공의 전문가들 역시 분산되어 있는 상황이 빈번하게 발생할 경우, 전국 어느 곳에서나, 넓게는 세계 어느 곳에서나, 필요한 경우 협업이 가능하고 모든 필요 정보와 자원의 공유가 가능하도록 한다는 것은 지금까지의 독립적이고 제한적인 연구와는 차원이 다른 형태의 연구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그리드 기술 및 그 활용기술의 개발은 이러한 새로운 형태의 연구를 보다 효과적이고 실효성 있게 진행하게 해줄 핵심기술로 기대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진행되고 있는 건설교통부의 '분산공유형 건설연구인프라 구축사업'은 건설/토목 분야 기술개발을 가속화시킬 수 있음은 물론 타 분야의 연구 활동에 변화를 촉진시킴으로써 우리나라 전체 과학 기술 발전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사업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Dolenc, M., Stankovski, V., and Turk, Z., 'Grid technology in civil engineering,' CC2005, Rome, Italy, 30 August-2 September 2005
  2. NEESgrid (http://it.nees.org)
  3. G-civil (http://www.soton.ac.uk/-gcivil/)
  4. InteliGrid (http://www.InteliGrid.com)
  5. AcessGrid (http://www.AcessGrid.org)
  6. KOCED (http://www.koced.net)
  7. Mosqueda, G., Stojadinovic, B., and Mahin, S. 'Implementation and accuracy of continuous hybrid simulation with geographically distributed substructures,' EERC, UC Berkeley, UBC/EERC 2005-02, November 2005
  8. Zhang, Y. 'Smart structural systems with a focus on civil infrastructure applications,' Lehigh University, Report No. SSL 2004-01, July 2004
  9. 분산공유형 건설연구인프라 구축사업 추진연구단, 'KOCED 6개 대형실험시설 기본설계 보고서', 2004 8월
  10. 분산공유형 건설연구인프라 구축사업 추진연구단, 'KOCED 2단계 대형실험시설 기본설계 보고서', 2005 2월
  11. 분산공유형 건설연구인프라 구축사업 추진연구단, 'KOCED 2단계 후 추가실험시설 수요조사 및 기획연구 보고서', 2005 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