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Construction and Application of Administrative Boundary

행정경계 구축 및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최윤수 (서울시립대학교 지적정보학과) ;
  • 권재현 (서울시립대학교 지적정보학과) ;
  • 이임평 (서울시립대학교 지적정보학과) ;
  • 박지혜 (서울시립대학교 지적정보학과)
  • Published : 2006.06.01

Abstract

Currently, 1/5,000 Digital Topographic Map covers the whole country with administrative boundary of Gu, while some region has already been constructed with 1/1,000 digital topographic map has legal boundary of Dong. Here, Dong in 1/1,000 scale represents the legal boundary which is used in the address most of time. Therefore, there is no administrative-Dong yet although it is very useful in various fields. In this study, we suggested a method to construct the administrative boundary extending to the level of Dong empirically. In addition,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the administrative boundary in GIS is discussed. Two methods are applied to construct the administrative boundary to the level of administration-Dong; using the edited cadastral map and the digital topographic map. When the edited cadastral map is used, some problems such as boundary discordance to superordinate administrative area is appeared. On the other hand, using digital topographic map showed simple construction processes and easy connection with other framework data.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hat the digital topographic map should be used in the construction of the administrative boundary. It would be useful as framework data in various industries and public operations.

현재 전국을 일괄적으로 포괄하는 1/5,000 수치지형도에서는 행정경계가 구 지역까지 구축되어 있고, 1/1,000 수치지형도가 구축된 지역에 한해 법정동까지 구축되어있다. 그러나 활용가치가 높은 행정동의 경우는 수치지형도 어느 곳에도 구축이 되어있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는 행정경계를 일괄 구축하기 위한 방안으로 행정경계의 현황을 분석하고, 기본지리정보로써의 행정경계를 일괄 구축하기 위한 합리적인 방안을 제안함과 동시에 활용방안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기본지리정보의 행정경계를 행정동 단위까지 구축하기 위해 편집지적도와 수치지형도를 기본으로 하는 2가지 방법을 사용하였다. 편집지적도를 이용하여 구축한 결과 상위 행정구역에 대한 경계불일치가 나타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반면 수치지형도를 사용시에는 구축 과정이 용이하고 타 기본지리정보와의 연계가 가능하다. 기본지리정보로의 활용면과 구축의 효율성 측면에서 수치지형도를 이용하는 방법이 더 효율적이었다. 수치지형도를 기반으로 한 행정경계 구축은 기본지리정보로써 관련 산업에서 활용도가 높을 것이므로 행정경계 구축을 통하여 국가 공공재로 널리 활용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국가기본지리정보추진위원회, 국가기본지리정보 2002년 추진 계획, 2001. 12
  2. 국가지리정보체계(NGIS)의 주제도 표준, 한국정보통신기술협 회, 1999. 5
  3. 기본지리정보 데이터 생산사양-행정경계분야, 국토지리정보원, 2004, 12
  4. 기본지리정보구축 연구 및 시범사업, 국토지리정보원, 2001. 12
  5. 기본지리정보구축 추진전략 수립연구, 국토지리정보원, 2002. 12
  6. 나각순 (1985), 서울특별시 동행정변천고(洞行政變遷考), 향토 서울 43권, pp. 117
  7. 나각순 (1988), 서울특별시 구행정변천고(區行政變遷考), 향토 서울 46권, pp. 143-153
  8. 내무부, 지방행정구역발전사(地方行政區域發展史), 1979, pp. 9
  9. 내무부, 한국지방행정사(韓國地方行政史), 1966, pp. 246
  10. 노원구 (1989), 노원구통계연보, pp. 22-24
  11. 노원구 (1990), 노원구통계연보, pp. 24-25
  12. 노원구 (1991), 노원구통계연보, pp. 33
  13. 노원구 (1992), 노원구통계연보, pp. 25
  14. 노원구 (1994), 노원구지, pp. 17
  15. 유병찬 (1991), 지적법, pp. 188-196
  16. 조석곤 (2003), 한국 근대 토지제도의 형성, 도서출판 해남, pp 45-48
  17. 종로구 (2005), 2005 구정현황
  18. 지형 . 지번도 및 행정구역도 제작, 국토지리정보원, 1999. 11
  19. 토지관리정보체계 완료보고서, 건설교통부, 2003. 6
  20. 토지관리정보체계 완료보고서, 건설교통부, 2003. 6
  21. 행정자치부 (2003), 지방행정구역편람
  22. 행정자치부 (2003), 한국토지정보시스템 개발지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