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A Proposal of Description for Archival Objects

행정박물 자료의 정리기술 표현에 관한 비교 분석

  • 라일옥 (전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대학원) ;
  • 김포옥 (전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Published : 2006.12.30

Abstract

Objects which has been used for administration is a part of archives that holding merit of history, merit of evidence and merit of administration. But it does not be treated carefully as archival material also, it can not be found a study for the archival objects. Thus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description of the objects for management the objects appropriately. To derive a conclusion, this paper made a comparative by using the archival description of other nations such as General International Standard for Archival Description, Rules for Archival Description also refer to the cataloging rules which used for a long time to management materials at library such as Anglo-American Cataloging Rules, Korean Cataloging Rules. We divided the section into 7 area such as identity statement area, context area, content and structure area, condition of access and use area, allied material area, note area, and description control area for suggest a description for archival objects.

행정박물은 증거적 가치, 역사적 가치, 행정적 가치를 지닌 기록물의 한 종류이다. 그러나 이러한 행정박물에 대한 연구가 미비 되어 있고 소홀히 관리되어 오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박물자료의 체계적인 관리를 위해 행정박물의 기술요소(안)을 제시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행정박물의 기술요소안의 제시를 위해서 기록물 기술규칙이 마련되어 있는 국가의 기술규칙인 RAD와 기록물 표준 기술규칙인 ISAD(G)와 도서관계에서 사용되어 오던 기술규칙인 AACR2와 KCR4의 비교, 분석을 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행정박물에 대한 기록물 기술규칙을 제시해 보았다. 행정박물에 대한 기술요소 제시(안)은 식별영역, 배경영역, 내용과 구조영역, 열람과 이용조건 영역, 연관자료 영역, 주기영역, 기술통제영역으로 구분하여 제시하고 박물관에서 사용하는 분류체계의 내용요소를 참고하여 그에 따른 하위 요소별 내용요소들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영관 외. 2001. '博物館 資料의 蒐集과 管理 - 遺物管理論'. 서울: 서경문화사
  2. 이내옥. 1996. '문화재 다루기 유물 및 미술 품 다루는 실무 지침서'. 서울: 悅話堂
  3. 이보아. 2002. '박물관학 개론 : 박물관 경영의 이론과 실제'. 서울: 김영사
  4. 오츠카 카즈요시 저. 2004. '박물관학'. 서울: 白山出版社
  5. 조지 앨리스 버코 저. 2001. '큐레이터를 위한 박물관학'. 서울: 김영사
  6. 이소연 외. 2002. 'ISAD(G)를 적용한 한국기록물기술규칙 개발에 관한연구'. 한국 국가기록연구원
  7. 이난영. 2001. '博物館學入門'. 서울: 三和出版社
  8. 국가기록원 제도혁신팀. 2005. '주요외국의 기록관리 현황'. 행정자치부 국가기록원
  9. 김미연. 2005. 'ISAD(G)를 기반으로 한 동영상기록물 기술요소에 관한 연구 : 영화와 비디오 자료를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제3 회 학술논문집
  10. 이영배. 2003. 사진기록물의 기술요소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체 3회 학술 논문집'
  11. 박재혁. 2001. 비도서자료의 서지기술을 위한 종합적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8
  12. 이영숙. 2003. 기록기술 (Archival Description)에 대한 고찰 한국국가기록원. '기록보존'. 16: 265-280
  13. 윤주범. 2000. 기록물의 정리와 記述한국국가 기록원. '기록보존', 13: 159-204
  14. 윤주범. 1999. 외국의 기록물 記述制度 한국국가기록원. '기록보존'. 12: 189-208
  15. 한국도서관협회. 2002. '한국목록규칙 제4판'.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16. ALA. 2002. Anglo-American Cataloging Rules,2nd ed. 2002 re.v. Chicago: ALA
  17. SAA. 1994. Standards for Archival Description: A handbook
  18. lCA. General International Standard for Archival Description
  19. Canadian Council of Archives. 2003. Rules for Archival Description
  20. 유네스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