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urvey of Korean Housewives' Perception on the Commercial Korean Basic Side Dishes in Busan Area

시판 밑반찬에 대한 부산지역 주부의 인식조사

  • Lyu, Eun-Soon (Faculty of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Lee, Dong-Sun (Dept. of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Kyungnam University) ;
  • Chung, Sun-Kyung (Dept. of Confectionery & Baking, Changwon College)
  • 류은순 (부경대학교 식품생명공학부) ;
  • 이동선 (경남대학교 식품생명학과) ;
  • 정순경 (창원전문대학 제과제빵과)
  • Published : 2006.04.01

Abstract

The perception of Korean housewives was investigated on commercial Korean basic side dishes.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464 housewives in Busan area. According to the survey, the housewives preferred discount stores (44.1%) to purchase basic side dishes. The reasons for purchasing them were convenience (54.6%) and readiness in small amount (23.1%). The housewives had high perception scores on saying cooking time (4.90/5.00), the possibility of purchasing when they need (3.93/5.00), and convenient use (3.85/5.00). However, they doubted the propriety of making use of chemical seasoning (2.15/5.00), the original place of raw food materials (2.21/5.00), and shelf life control (2.44/5.00). The satisfaction scores on the commercial basic side dishes were 3.06/5.00 in braised perilla leaves, 2.98/5.00 in braised soybean, 2.96/5.00 in pickled garlic, and 2.96/5.00 in stir-fried/muchim dried fish. The priorities on the improvement demand for the basic side dishes were appeared in order of the sanitary preparation, the consistent tastes, the proper amounts of chemical seasonings, and sanitary distribution systems.

본 연구는 부산지역 주부들의 시판 밑반찬에 대한 인식을 구입 장소에 따른 차이를 조사함으로써 앞으로 시판 밑반찬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들 제품의 품질을 개선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시판 밑반찬의 구입 현황에서 시판 밑반찬 구입 장소는 대형 할인점에서 가장 많이 구입하였고 구입하는 이유는 간편해서 54.6%, 소량 필요해서 23.0%이었고, 1회 구입량은 한 끼 식사분량이 50.2%이었다. 시판 밑반찬에 대한 인식점수는 시간이 절약됨이 가장 높았고 조미료 사용의 적절함이 가장 낮은 점수를 나타냈다. 반찬가게가 대형할인점보다 가격이 저렴함과 가정에서의 조리보다 경제적인 면에서 유의적(p<0.01)으로 높은 점수를 보였고, 재래시장이 대형할인점보다 유통기간의 신뢰함이 유의적(P<0.01)으로 낮은 점수를 보였다. 시판 밑반찬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는 $2.95{\sim}3.06$점으로 보통인 것으로 나타났다. 깻잎류에서 반찬가게의 맛(3.38점)이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고 재래시장의 위생(2.80점)이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다. 콩조림류는 재래시장이 대형할인점과 반찬가게보다 가격 면에서 유의적 (p<0.01)으로 높은 점수를 보였고 마늘장아찌류는 반찬가게가 재래시장보다 맛(p<0.01), 보관 및 판매 상태 (p<0.05), 유통기간(p<0.05)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점수를 보였다. 건어물볶음/무침류는 맛에서 반찬가게와 대형할인점이 재래시장보다 유의적 (p<0.05)으로 높은 점수를 보였다. 전반적으로 만족도에서 맛에 대해서는 3.00점을 나타냈으나 가격, 위생, 원재료, 유통기간에 대해서는 만족도가 낮았다. 시판 밑반찬을 구입 할 때 중요하게 고려하는 사항의 순위는 위생>맛>유통기간>가격>인공>조미료 사용량>원 재료의 순으로 나타났다. 시판 밑반찬에 대한 개선 필요성에 대한 순위는 위생적인 조리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재래 시장과 반찬가게가 대형할인점보다 가격 인하에 대한 필요성이 유의적 (p<0.01)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상을 살펴 볼 때, 시판 밑반찬에 대해서 시간이 절약되고 종류가 다양하며 편리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나 만족도는 낮고 위생적인 조리는 중요시 여기며 개선되어야 할 과제로 나타났다. 따라서 시판 밑반찬의 위생에 대한 철저한 관리를 수행해야 하는 것은 물론이고 위생에 대해 소비자가 신뢰할 수 있는 체계적이고 제도적인 유통 장치가 마련되어야 하겠다. 또한 구입 장소에 따라서 만족도, 구입시 중요시 여기는 부분, 개선 요망사항 등에 차이가 나타나 밑반찬을 시판하는 장소에서는 자신들의 장점을 계속 발전시키고 약점은 보완하는 정책을 펼치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문화재보호재단. 1999. 한국음식대관 제2권. 한림출판사, 서울. p 499-505
  2. 외식경제신문. 2005. 3월 17일자 외식면
  3. Yoon GS. 1995. A study on the knowledge and utilization of Korean traditional basic side dishes (I). Korean J Dietary Culture 10: 457-463
  4. Yoon S, Sohn KH, Kwak TK, Kim JS, Kwon DJ. 1998. Consumer trends on dietary and food purchasing behaviors and perception for the convenience food. Korean J Dietary Culture 13: 197-206
  5. Yoon GS, Song YS. 1996. A study on the knowledge and utilization of Korean Traditional basic side dishes (II). Korean J Dietary Culture 11: 593-600
  6. Pearson JM, Capps O, Axelson J. 1986. Convenience food use in households with male food preparers. J Am Diet Assoc 86: 339-345
  7. Sloan E. 2004. Gourmet & specialty food trends. Food Technol 58: 32-38
  8. 중앙일보. 2002년 10월 24일자 경제면
  9. 조선일보. 2004년 10월 19일자 경제면
  10. Kwak TK, Lee KA, Lyu ES. 1993. Consumer demands for prepared frozen or refrigerated foods and industry's response to consumer demands. Korean J Soc Food Sci 9: 230- 238
  11. Song JE, Han JS. 1995. A survey on perception and purchase about marketed kimchi of housewives in Daegu area. J Korean Home Economics Assoc 33: 121-128
  12. Lee IN, Kim HY, Kim EJ. 2004. A survey on the commercial poggi kimchi and consumer acceptance test prepared in the various region. Korean J Culture 19: 460-467
  13. Moon SJ, Yoon HJ, Kim JH, Lee YJ. 1998. A study on the perception and consumption pattern of convenience foods by Korean college students. Korean J Dietary Culture 13: 227-239
  14. Lee JM, Choi SE. 2001. A survey on the status of utilization and consumers' opinions for commercial soup stock. Korean J Dietary Culture 16: 65-72
  15. Jang EJ, Lee YK, Lee HG. 1996. The study for conscious-ness, dietary life behaviors on Korean traditional food. Korean J Dietary Culture 11: 179-206
  16. Nunnally JC. 1967. Psychometric theory. McGraw-Hill Book Co., NY. p 55
  17. Kwak TK, Lee KE, Park HW, Ryu K. 1997. The survey of housewives' perception for the development of refrigerated convenience foods for Koreans. Korean J Dietary Culture 12: 391-400
  18. Cho JH, Koh BK. 2003. A survey on the rice-based processed food consumption of the housewives at Daegu.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9: 300-307
  19. Um HJ, Kim DM, Choi KH, Kim GH. 2005. A survey on consumer's perception of fresh-cut agri-food products for quality enhancemen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1566-1571 https://doi.org/10.3746/jkfn.2005.34.10.1566
  20. Han MY, Ahn MS. 1998. A study on the purchase action of processed foods and the recognition for food additives of urban housewives. Korean J Dietary Culture 13: 119- 126

Cited by

  1. IDENTIFICATION OF HURDLES FOR IMPROVING STORAGE STABILITY OF BRAISED KIDNEY BEANS, A KOREAN SEASONED SIDE DISH vol.33, pp.1, 2009, https://doi.org/10.1111/j.1745-4549.2008.00235.x
  2. Effectiveness of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in preserving a prepared ready-to-eat food vol.21, pp.7, 2008, https://doi.org/10.1002/pts.821
  3. 서울지역 유통 반찬류의 나트륨, 칼륨 함량 및 식중독균 오염도 조사 vol.32, pp.1, 2017, https://doi.org/10.13103/jfhs.2017.32.1.35
  4. A Study of Consumer Experience Purchasing Pickles an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Based on the Selection Attributes vol.35, pp.1, 2006, https://doi.org/10.9724/kfcs.2019.35.1.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