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Developing the Modern Fashion Design with the Application of Plasticity of Patchwork Wrapping Cloth

조각보의 조형성을 응용한 현대복식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 Kim Jeong-Mee (Major in Fashion Design,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김정미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대학 디자인학부 패션디자인)
  • Published : 2006.04.01

Abstract

This study aims to prove that traditional patchwork wrapping cloth can be a creative motive for modem fashion, and the application of it can be a way of expressing not only the pride in our cultural heritage but also the originality of fashion design. The analysis of the plasticity of 108 patchwork wrapping clothes has come up with the following findings: Firstly, the plane structure consists of 41 basic forms and 67 applied ones. Secondly, 61 contrast color harmony and 47 similarity color harmony. Thirdly, the fabric consists of 88 silk clothes, 19 ramie clothes, and 1 silk and ramie cloth. Fourthly, 47 unlined clothes and 61 lined ones. The study also expresses the analyzed plasticity of patchwork wrapping cloth for fashion with the following findings: Firstly, basic plane structures, contrast color harmony, silk cloth and the press flower coating technique become one piece dress to express splendid and elegant image. Secondly, application plane structures, similarity color harmony of natural dyeing method using persimmon, ramie cloth and the press flower coating and over lock technique become a jacket and a blouse to express calm and dynamic image. Thirdly, the needling and over lock technique used to patch clothes has become a desirable way to express fabric with unique surface effects. Fourthly, the press flower coating which modernizes embroidery in patchwork wrapping. cloth has become a new technique which can create high values with its extended the visual effects of the material. Fifthly, Patchwork wrapping cloth in Chosun Dynasty has now become a motive for modem fashion design to express tradition and creation.

Keywords

References

  1. 국립민속박물관. (1983). 한국전통보자기. 서울: 삼화출판사
  2. 금기숙. (1988). 조선시대 복식에 표현된 한국인의 미의식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3. 금기숙. (1999). 패션디자인을 위한 전통복식의 활용현황에 관한 연구. 복식, 43, 69-81
  4. 김민자. (1990). 한국패션의 고유디자인에 대한 발전적 모색. 산업디자인 110, 21, 25
  5. 김민자. (1990). 조각보의 조형성을 응용한 복식디자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6. 김성희. (1979). 조선조 후기 조각보에 대하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7. 김영숙. (1988). 한국복식사에 나타난 전통색의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8. 김찬주, 장인우. (1999). 한국 현대패션에서의 한국적 디자인 전개과정 분석과 세계 화를 위한 제안. 복식, 48, 5-24
  9. 김현호. (1984). 조선후기 보에 나타난 색채에 관한 고찰.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0. 데이비스, 마리안. (1990). 복식의 시각디자인. 이화연, 손미영, 노희숙 옮김(1990). 서울: 경춘사
  11. 마릴린 혼, 루이스 구렐. (1981). 의복: 제2의 피부. 이화연, 민동원, 손미영 옮김 (1988). 서울: 까치
  12. 윤일주. (1978). 색채학 입문. 서울: 미진사
  13. 이경자, 홍나영. (1996). 이화사진일기-한국의 옛 보자기-.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4. 임동권. (1982). 한국민속학론. 서울: 집문당
  15. 진숙미. (1984). 조선조 보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6. 최세완. (1992). 현대패션에 표현된 한국복식의 전통미.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7. 한글학회. (1957). 큰 사전 3권. 서울: 을유 문화사
  18. 한상수. (1974). 이조의 자수. 서울: 수림원
  19. 허동화. (1986). 한국의 전통 보자기. 서울: 국립민속박물관
  20. 허동화. (1988). 옛 보자기. 서울: 한국자수박물관 출판부
  21. 허동화. (1997). 우리가 정말 알아야할 우리규방문화. 서울: 현암사
  22. Delong, M. R. (1987). The way we look. Ames: Iowa State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