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rangement Methods of Pattern and Weaving Types of Fabrics During 16~17th Century - Centering Flower Patterned Fabrics of Exhumed Clothing in Chosun Dynasty -

16~17세기 직물유형과 문양의 배치구도에 관한 연구 - 조선시대 출토복식에 나타난 화문직을 중심으로 -

  • Park, Mun-Young (Dept. of Fashion Design & Merchandising, Kyungsung University) ;
  • Kim, Ho-Jung (Dept. of Fashion Design & Merchandising, Kyungsung University) ;
  • Park, Ok-Lyun (Dept. of Fashion Design & Merchandising, Kyungsung University)
  • Received : 2006.02.23
  • Published : 2006.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of arrangement methods and weaving types of fabrics during 16-17 century. Research was done through the references of exhumed clothing in Chosun Dynesty. Seeing the waving types of fabrics of flower patterned fabrics of total 108 items, satin damask(Dahn) was 71items, took the majority. And the next order was twill(Neung) and plain(Ju). It means Dahn was the most popular fabric among the upper classes. It was regarded as one of the noble textiles, because of its luxurious appearance and pleasant touch. Flower patterned plain fabric(Munju) was found only 9items, even though the plain fabric was the most common used type. Assumed for the reason, Chosun government had restrict to extravagance of the people. In terms of the arrangement of flower pattern, it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methods. The most common arrangement method was Arabesque type, followed by open order shaped type and scattering shaped type. In the repetition of pattern, there were brick-shaped pattern and half drop pattern which were spread flower pattern all over the surface of fabric.

Keywords

References

  1. 경기도 박물관 (1991) 조선의 옷매무새 -광주 고읍 의원군 일가 출토복식-. 민속원
  2. 경기도 박물관 (2003) 동래정씨묘 출토복식 조사보고서 -서울 사당동 흥곡공파 일가-. 경기사
  3. 경기도 박물관 (2004) 심수륜묘 출토복식 -용연출토청송심씨 정이공파- 경기사
  4. 국립민속 박물불관 (1995) 한국복식 2000년. 신유
  5. 김성련 (2005) '피복 재료학'. 학문사, 서울, pp.331-333
  6. 김주영 (2003) 조선시대 철릭의 피륙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민길자 (2000) '한국 전통직물사 연구'. 한림원, 서울, pp.140-142
  8. 서울 박물관 (2003) 조경묘출토유의 -풍양조씨기증-. 박물관
  9. 석주선 기념박물관 (2001) 조선시대 피륙 무늬. 단국대학교
  10. 심연옥 (1998) '중국의 역대 직물'. 한림원, 서울, pp.120-125
  11. 심연옥 (2002) 한국 견직물 제직의 기원과 발전. 한국잠사학회지, 44(1) 20-23
  12. 윤애정 (2000) 16세기 상의류의 구성적 특정에 관한 고찰-안동 고성 이씨가 분묘출토복식을 중심으로-. 안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3. 이정인 (1999) 조선시대 문직물에 나타난 문양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임현주 (2003) 조선시대 16-17세기 출토복식의 직물유형 및 문양에 관한 연구. 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장현주 (1999) 조선시대 견직물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장현주 (2002) 조선시대 출토 견직물의 특성. 복식문화연구, 10(5), 532-541
  17. 장현주 (2004) 직물에 나타난 구름분양의 유형과 특성. 한국의류산업학회지, 6(2), 169-176
  18. 장현주 . 권영숙 (1993) 20C 전반기 한국견직물의 유형과 특성 -주자직물과 익직물을 중심으로-. 복식, 21, 61-74
  19. 조효숙 (2003) 파평 윤씨 모자 미라 출토직물에 관한 연구. 파평 윤씨 모자미라 종합연구 논문집. 고려대학교 박물관
  20. 조효숙 . 임경화 . 김지연 (2003) 조선시대 출토복식 중 포류에 사용 된 직물유형연구. 복식, 53(4), 113-129
  21. 한국전통복식연구회 (2000) '전통복식'. 경춘사, 서울, pp.79-81
  22. B. J. Collier. P. G. Tortora (1997) 'Understanding Textiles'. Prentice Hall, p.2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