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Beauty Make-up Using Computer Graphics

뷰티 메이크업을 위한 컴퓨터 그래픽스 활용에 관한 연구

  • Kwon, Hyun-Ah (Dept. Fashion.Product Design, Dankook University)
  • 권현아 (단국대학교 패션.제품디자인학과)
  • Received : 2006.03.22
  • Published : 2006.04.30

Abstract

Computer graphics mean a reproduction of various information through image processing or the technology that is widely thought in makeup areas also, recently. Especially, Adobe Illustrator, unlike Adobe Photoshop used in image editing and correction, is software suitable for image drawing and reproducing beauty makeup. Beauty makeup is a work adorning human body to fit to the aesthetic standard in that period, and is a plastic art expressing shapes, colors and textures using design elements. Adobe Illustrator is a 2D graphics designing images using shapes having plane colors. In this study I studied techniques reproducing each element of contours and colors of beauty makeup through Adobe Illustrator CS. In other words, I have prepared a reference data by studying techniques reproducing beauty makeup using Adobe Illustrator CS. In this study, though, I couldn't try various things, because I limited facial contour and skin color to only one kind. Therefore, I hope, in the future, others can expand the ethnics of using Adobe Illustrator in more enriched ways by working on various facial contours and skin colors.

Keywords

References

  1. 강근영 . 이숙영 . 오인영 (2003) 'Makeup Design' 훈민사, 서울, p.13
  2. 강은주 (2005) 눈썹화장이 얼굴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패션뷰티학회지, 3(2), 31-38
  3. 구자명 (2003) 헤어와 메이크업 일러스트레이션 기법 연구. 한국패션뷰티학회지, 1(1), 65-78
  4. 김광숙 . 박미정 . 양진희 . 이종란 . 구자명 (2003) 'Make-up & Coordination'. yelim, 서울, pp.72-116
  5. 김선형 (2005) 무대분장의 디자인 요소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메이크업디자인학회지, 1(1), 15-18
  6. 김태원 . 강용수 (2005) 메이크업 제품의 기술동향과 전망. 대한화장품학회지, 24(2), 80-99
  7. 김혜숙 (2005) '매혹의 기술'. 나무한그루, 서울, p.32
  8. 김효숙 . 강인애 (2001) Make-up Coordination의 Simulation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9(12), 65-77
  9. 나해윤 . 조고미 (2005) 퍼스널 컬러 진단 결과에 다른 Warm Type 분석. 한국메이크업디자인학회지, 1(1), 39-40
  10. 변영희 . 채금석 (2004) 현대 메이크업에 표현된 추 이미지에 관한 연구 -색채 표현을 중심으로-. 한국복식학회지, 54(5), 27-39
  11. 변정원 (1998) 컴퓨터 그래픽스를 활용한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브리태니커 편집부 (1998)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21권'. 한국브리태니커회사, 서울, p.394
  13. 이미애 . 김용선 (2005) 인상학에 근거한 성격분장에 관한 연구. 한국패션뷰티학회지, 3(2), 1-11
  14. 이연희 . 이운영 (2002) '현대인의 이미지 메이킹'. 청구문화사, 서울, p.11
  15. 정유진 . 정인희 (2004) 미적 범주를 적용한 20세기 메이크업 분석 -영화 속 여배우를 중심으로-. 한국복식학회지, 54(5), 41-57
  16. 조은별 (1996) 20세기 화장문화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허순덕 (2005) 얼굴형에 따른 이미지 메이크업이 인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메이크업디자인학회지, 1(1), 9-10
  18. Kevyn A. (2000) 'Face Forward'. Little Brown and Company, Boston, New York, London
  19. www.4mizi.com
  20. www.colorlab.co.kr
  21. www.naver.com
  22. www.yaho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