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Media on Taking Plastic Surgery

미디어 노출이 성형 행동에 미치는 영향

  • Yun, Chong-Hee (Dept. of Fashion Industry, Daegu Catholic University) ;
  • Sung, Su-Kwang (Dept. of Fashion Industry, Daegu Catholic University) ;
  • Jin, Ki-Nam (Dept. of Health Administration, Yonsei University)
  • 윤종희 (대구가톨릭대학교 패션산업학과) ;
  • 성수광 (대구가톨릭대학교 패션산업학과) ;
  • 진기남 (연세대학교 보건행정학과)
  • Received : 2005.11.24
  • Published : 2006.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media on plastic surgery experiment. Firstly this study try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exposure to media and other intervening factors(e.g., body image, self-esteem, fashion attitude). The data collected for this study was gathered through questionnaire survey with 443 female students in Seoul. The results are as follows: Using ANOVA, we found that those prefer the magazine over TV or Internet had positive body image, higher self-esteem, and positive fashion attitude(e.g., personality/self-expression, fashion leadership, sexual attraction). Using regression analysis, we found that the we found that the factors influence plastic surgery behavior are the exposure to magazine and the factors influence plastic surgery planning are the clothing attitude (especially fashion leading power, sexual attraction).

Keywords

References

  1. 권수현 . 이정희 . 이준원 (1996) 외모가꾸기에 대한 여성학적 분석-20대 여성의 성형수술 사례를 중심으로. 이화여대 대학원 연구논집, 30
  2. 경향신문 (2002) 차별없는 사회로 10. 7
  3. 김재숙 . 이미숙 (2001) TV 미디어가 청소년의 신체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5(5), 957-968
  4. 목영숙 (1996) 여자 중고등학생의 의복구매 의사결정 유형과 관련변인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박은아 (2001) 광고모델과 소비자의 신체이미지 차이에 따른 광고효과.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박은아 . 성영신 (2001) 광고모델에 대한 소비자 지각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신체이미지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 . 광고, 2(1), 87-115
  7. 박종희 . 김상용 (2002) 성형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소비자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301-304
  8. 배정주 (1989) 유행선도력 척도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성영신 . 박은아 . 우석봉 (1999) 광고에 나타난 신체가치관 연구. 광고연구, 43, 29-55
  10. 송경자 . 김재숙 (1999) 신체이미지 . 신체왜곡 및 자아존중감이 의복행동에 미치는 영향 -태도적 . 지각적 신체이미지 측정을 중심으로. 복식문화연구, 7(5), 68-79
  11. 신미영 (1996) 대중매체가 여성의 다이어트와 섭식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 강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심정은 (1997) 청소년기의 자의식 및 체중조절 행동과 의복행동과의 관련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심정은 . 고애란 (1997) 청소년기의 자의식 및 체중조절행동과 의복행동과의 관련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0(8) , 1334-1345
  14. 안재훈 . 김용운 . 백무현 . 김승홍 . 민대홍 . 이영식 . 이철원 (1993) 성형수술환자들의 정신 의학적 측면에 관한 연구(II). 대한성형학회지, 20, 945
  15. 오상화 . 나은영 (2002) 대중매체 소비가 여대생의 신체변형에 대한 태도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그 매개과정.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 . 광고, 3(2) , 141-160
  16. 유영천 . 이두형 . 장충현 (1994) 미용성형수술을 받은 환자들의 태도조사(I). 대한성형외과학회지, 21(3), 452-459
  17. 이가영 (1997) 선세대 의복행동에 나타난 TV의 영향에 관한 연구 -중 .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이경숙 (2002) 일부지역 여성의 미용성형수술, 자아존중감과 신체상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이미숙 (2000) TV 미디어가 청소년의 신체이미지와 의복행동 및 연예인 모방행동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 이선재 (1991) 한,미 대학생 및 교포 대학생 간의 의복태도에 관한 비교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5(2), 173-187
  21. 이수경 (1998) 여고생의 의복행동과 자기효능감 및 감각추구성향과의 관련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이시원 (2004) 공적 . 사적 자기의식에 따른 바디이미지와 외모관리 행동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이연희 (1996) 유행선도력과 의복 및 신체만족도와 상관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이은정 (1999) 청소년 소비자의 물질주의 성향에 관한 연구; 준거집단 영향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이인자 . 이경희 . 신효정 (2001) '의상심리' 교문사, 서울
  26. 이화연 (1987) 유행선도력 예측변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임숙자 . 이미현 . 이승희 . 선효정 (2000) '바디이미지' 교문사, 서울, p.9,54,79,83
  28. 임인숙 (2002) 한국사회의 몸 프로젝트 : 미용성형 산업의 팽창을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36(3), 183-204
  29. 정형식 . 이승희 . 김영심 (2005) 소비자의 지각된 위험과 동료압력이 성형행동에 미치는 영향. 마케팅관리연구, 10(1), 165-184
  30. 지경환 . 이상익 (2001) 미용성형 수술 환자의 심리적 특성과 미용수술이 이에 미치는 영향. 신경정신의학, 40(4), 559-568
  31. 하정희 . 송영선 (2005) 미용성형수술 환자의 수술 전, 후 신체상 및 삶의 만족도. 간호과학, 17(1), 59-69
  32. 한상준 . 안재훈 . 백무현 . 김승홍 . 민대홍 (1991) 성형수술 환자들의 정신의학적 측면에 관한 연구. 대한성형외과학회지, 18(6), 1015
  33. 홍혜은 . 나수임 (1999) 청소년의 TV 미디어 스타에 대한 의복동조성에 영향을 미 치는 요인 -서울시내 여자 중 .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복식문화연구, 7(6), 28-40
  34. Baron, R.M. and Kenny, D.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 173-1183
  35. Cash, T.F. (1990) The Multidimensional Body-Self Relations Questionnaire. In Appendix. Body Image Disturbance. Assessment and Treatment (Thompson, J. K.), Peramon Press, 246-321
  36. Coopersmith, S. (1967) 'The Antecedents of Self-Esteem'. San Francisco; W.H. Greenman & Co
  37. Darden, L.A. (1975) Personality Correlates of Clothing Interest for a Group to Non-Incarcerated and Incarcerated Women Ages 18 to 30. Unpublished Doctorial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38. Featherstone, M. (1982) The body in consumer culture, theory. Culture & Society, 1, 18-33 https://doi.org/10.1177/026327648200100203
  39. Kaiser, S. B. (1990) 'The Social Psychology of Clothing'. Macmillan, NY
  40. Myers, P. and Biocca, F. (1992) The elastic body image: The effect of television adverrtising and programming on body image distortions in young women. Journal of Communication, 42, 108-133 https://doi.org/10.1111/j.1460-2466.1992.tb00802.x
  41.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341-367
  42. Rudd, N.A. and Lennon, S.J. (2001) Body image: Liking aesthetics and social psychology of appearance. Clothing and Textile Research Journal, 19(3), 120-133 https://doi.org/10.1177/0887302X0101900303
  43. Shim, S.Y. and Bickle, M.C. (1994) Benefit segments of the female apparel market: Psychographies, shopping orientation, and demographics.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ournal, 12(2), 1-12
  44. Williams, S.J. and Bendelow, G. (1998) 'The Lived Body:Sociological Themes'. Embodied Issues, Routledge, pp.34-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