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ase Study of Complex-Cultural-Space Development by Importing the PM

PM이 적용된 복합문화공간 개발사례 연구

  • 마은주 (동서대학교 IT&디자인대학원) ;
  • 박부미 (동서대학 디자인학부 스페이스)
  • Published : 2006.11.30

Abstract

Modern cities' paradigm is rapidly changing to evolve into multi-functional spaces including living space, culture, welfare and environment. Therefore, upon these changing needs, the cultural images and the quality control became major issues in this area. This thesis will examine cultural contents development, a successful case-study, and the analysis of complex space development plan. Thereby each development case in cultural contents area will be extracted and it will seek to find out how they could make a complex cultural space. Moreover, the role and boundary of each Project Management case and Project Manager will be analyzed. The analysis showcases the importance of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management system. As a result, along with the recognition of the strong ground for Project Management and Project Manager, comprehensive planand the most effective management system for various complex cultural space development plans would be PM application which is expected to be new alternatives to improve complex space development quality.

현대 도시공간은 단순주거환경에서 문화, 복지, 환경을 포괄하는 다기능 충족공간으로 급격하게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으며, 이러한 요구에 따라 문화적 이미지의 가치 창출에 대한 필요성과 질적인 성장관리가 중요한 이슈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복합공간개발계획에 있어 문화콘텐츠를 개발 도입한 성공사례의 연구 분석을 통해 각 개발 사례별로 문화콘텐츠영역을 추출하여 문화콘텐츠와 공간이 어떻게 연계되어 새로운 복합문화공간으로 조성될 수 있는지 살펴본다 또한 각 개발사례별 PM(Project management)과 PMr (Project Manager)의 범위와 역할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통합적이고 체계적인 관리시스템의 중요성을 인식한다. 따라서 이러한 PM과 PMr의 타당성에 대한 인식과 더불어 다양한 복합문화공간개발에 있어서 통합적 계획과 관리시스템으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인 PM의 적용이 향후 복합공간개발의 질적인 향상을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대안의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