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뮬라크르 관점에서 문화컨텐츠산업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캐릭터를 중심으로-

A Study on Promotion plans of the Cultural Contents Industry from a Perspective of Simulacre - Focused on Characters -

  • 전정숙 (한국폴리텍대학 컴퓨터애니메이션학과) ;
  • 손영범 (성균관대학교 예술학부 디자인학)
  • 발행 : 2006.11.30

초록

21세기 산업에서 승부처는 문화산업이다. 따라서 한국은 문화콘텐츠산업에 많은 기대와 투자를 하고 있으며, 그 발전 가능성은 (1)정보통신 인프라, (2)디지털 컨버전스, (3)풍부한 문화유산과 정부의 정책의지에서 엿볼 수 있다. 그러나 한국의 문화콘텐츠산업은 미국과 일본과 같이 균질화 되지 않고, 부분적 고도성장을 하여 안정적이지 못하여, 단기적인 성장은 가능하나 장기적으로 지속적인 발전을 기대하기 어렵다. 따라서 이를 보다 효과적으로 문화콘텐츠산업을 활성화 방안의 하나가 장보드리야르의 시뮬라크르 이론이다. 그리고 장보드리야르가 말하는 가장 완벽한 시뮬라크르의 형태인 디즈니랜드 등을 통하여, 한국의 문화콘텐츠산업에 필요한 궁극적인 시뮬라크르를 고찰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In the 21st century, a nation's industrial success will depend on her cultural industry. Thus, Korea has been investing much in the cultural contents industry, expecting high. A nation's potential in the industrial contents industry will be determined by 1) IT infrastructure, 2) digital convergence, 3) rich cultural heritage and 4) government's effective policies. Nevertheless, our cultural contents industry is not as much homogeneous as that of the United States or Japan, but only some parts of it have grown much. So, our cultural contents industry is not very stable, which means that it would grow in a short term but not in a long term. One of the ways to promote the cultural contents industry effectively may be derived from Jean Baudrilliard's theory of simulacra.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ultimate simulacra required of our cultural contents industry, focusing on Disneyland which Jean Baudrilliard emphasizes as the most perfect simulacra.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