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진국의 2050년 온실가스 저감 시나리오에 관한 연구 동향과 시사점

Review on Studies about Greenhouse Gas Reduction Scenarios toward 2050 in Developed Countries and Implications

  • 박년배 (에너지관리공단 기후대책실)
  • 발행 : 2006.09.30

초록

2013년 이후의 온실가스 의무저감에 대한 참여국 및 배출목표에 대한 논의가 진행중인 지금, 5년 단위의 단기 접근방식과는 별도로 2050년 장기 온실가스 저감 시나리오에 대한 연구가 유럽 국가들을 중심으로 활발히 진행 중이다. 본 논문에서는 영국, 독일, 프랑스, 네덜란드 등 유럽 국가들의 2050년 장기 온실가스 저감 시나리오 수립의 배경, 온도 목표, $CO_2$ 농도 목표, 국가 배출량 목표, 접근방식 등을 중점적으로 검토하였다. 그리고 선진국들과 우리나라의 경제활동 및 배출량 관련한 지표들을 비교하고, 우리나라의 장기 온실가스 저감 시나리오 수립에 갖는 시사점을 살펴보았다. 기후 변화의 과학적 불확실성으로 인하여 온실가스 저감활동을 지연하기보다는, 기후변화의 영향과 기술개발의 불확실성 역시 고려하여 저감활동을 일찍부터 장려할 필요가 있으며, 2050년 장기 저감목표의 설정을 통하여 기후변화 대응에 대한 우리 사회의 비전과 정부정책 방향을 경제주체들에게 분명히 제시하고, 이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Now post 2012 greenhouse gas reduction commitment being discussed, studies about long-term GHG reduction scenarios toward 2050 have actively been worked separately from 5 years short-term approach. In this paper, background, temperature target, $CO_2$ concentration target, national emission target, and approach of long-term reduction scenarios toward 2050 particularly in European countries such as UK, Germany, France, Netherlands et al. are reviewed. After comparing GDP and emission indices between Developed (European) countries and Korea, some implications of long-term GHG reduction scenarios are deduced. Acting early owing to uncertainty in climate change impact and technology development rather than delaying reduction activity owing to scientific uncertainty in climate change is needed. Providing our society's vision of climate change and government's explicit direction through long-term GHG reduction target setting toward 2050 and economic units' preparing for those are needed.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