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the Pre-father Education Program - Based on Developmental Approach and Narrative Therapeutic Perspective -

예비아버지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발달적 접근과 이야기 치료적 관점을 중심으로-

  • Choi Hyun-Sook (Dept. of Marriage and Family Therapy, Silla University) ;
  • Lee Ki-Sook (Dept. of Marriage and Family Therapy, Silla University)
  • 최현숙 (신라대학교 가족상담학과) ;
  • 이기숙 (신라대학교 가족상담학과)
  • Published : 2006.04.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rogram which aims at providing a better understanding of parenthood, establishing a desirable value of being a parent and preparing for being a good father positively affecting children, and determine effects of the program on unmarried men who are in the so-called stage of 'not belonged youth'. The program consisted of 5 sessions titled 'My father, 'I will be a father, too', 'Being a good father I', 'Being a good father II' and 'I will be a respectable father'. 7 unmarried men surveyed here were asked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held at B church located in Busan from Oct. 3 to Nov. 7, 2004, with 1 session a week and 120 minutes per session bas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ests were carried out with the father acceptance-rejection scale and the scale of confidence in father's role'. For each of the sessions, a process evaluation was performed.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re- and post-tests with the father acceptance-rejection scale showed some changed recognition that father's attitude of child raising would be more acceptable and unrejectable. This indicates that the program made some achievements in relation to understanding and reestablishing relations with father. Secon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confidence in father's role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Especially, anxiety about father's role as a sub-area of such confidence was most considerably reduced. In conclusion, such objectives of the program as removing vague anxiety about father's role, establishing a desirable view of fatherhood and improving confidence about being a father proved to be achievable through getting skills of child understanding with the concept of developmental perspective and narrative therapy based.

Keywords

References

  1. 강경옥(2002). 영아기 부모교육에 대한 아버지의 요구 및 인식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 김미숙.김종숙.김현주.김혜경.박옥희.원영희.이경아.이선미.이선이.이선주.이여봉.장화경.함인희(2002). 가족의 사회학적 이해. 학지사
  3. 김숙영(2004). 아버지교육 프로그램이 의사소통과 가족응집성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4. 김우영(1999). 유치원의 아버지 참여수업에 대한 교사와 아버지의 인식 비교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5. 김유숙(2000). 가족상담. 학지사
  6. 김유숙(2002). 가족치료 이론과 실제. 학지사
  7. 김정옥(1990).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아버지 역할인식과 역할수행 기대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정원(1999).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정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9. 김현정(2001). 예비부모교육의 수강여부가 아버지의 자녀양육태도와 역할지각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10. 박상영(2000). 유아교육과정에 따른 아버지교육 프로그램의 요구 조사. 신라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1. 소복희(2001). 유아교육기관의 아버지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신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2. 송정아(2001). 발달심리학. 학지사
  13. 신혜영(1996). 예비부모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박사학위 논문
  14. 오제은(2005). 커플관계 치료에 있어서 '어린시절의 상처' 치료의 중요성: 이마고 커플관계치료와 내면아이치료 모델을 중심으로. 한국상담학회지, 6(3), 1055-1070
  15. 이원영(1985). 부모교육론. 서울: 교문사
  16. 이재연.김경희(1989). 부모교육. 서울: 양서원
  17. 전영주.김유숙.김수연(2003). 가족평가핸드북. 학지사
  18. 전효숙(1990). 유치원자녀를 둔 아버지 역할에 관한 연구. 이화 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9. 정문자.이현수.김연희(2002). 가족생활주기별 내담자의 문제와 가족치료기법분석. 생활과학논집, 16, 83-96
  20. 최한순(1995). 아버지의 자녀양육 참여도와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1. 탁진희(2002). 중년기 여성의 위기와 성숙성에 대한 이야기심리학의 접근.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2. Barnhill. L, G. Rubenstein, and N Rocklin(1979). From generation: Father-to-be in transition. Family Coordinator, 8, 229-235
  23. Erikson, E. H.(1950). Childhood and society. New York: W. W. Norton
  24. Fein, R. A.(1976). Men's entrance to parenthood. The Family Coordinator, 25, 338-345
  25. Gearing, J.(1978). Facilitating the birth process and father-child bonding. The Counseling Psychologist, 7(4), 53-55 https://doi.org/10.1177/001100007800700413
  26. Nichols, Michael P. Schwartz, Richard C(김영애 외 역, 2004). 가족치료 : 개념과 방법. 시그마프레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