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덕산의 식물상과 식생

Flora and Vegetation of Mt. Daedeok

  • 발행 : 2006.04.01

초록

본 연구는 대덕산에 분포하는 식물자원의 종류를 조사하고 자생지 식생을 파악하여 종다양성 보존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대덕산에 분포하는 양치식물 이상의 관속식물은 81과 206속 358종 69변종 14품종 1아종으로, 총 442 분류군이 자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한국특산식물은 17분류군이었으며, 희귀식물은 홀아비바람꽃, 너도바람꽃, 등칡, 태백제비꽃, 금강제비꽃, 가시오갈피, 지리산오갈피나무, 대성쓴풀, 토현삼, 도라지모시대, 솔나리, 말나리, 나도개감채, 노랑무늬붓꽃, 개불알꽃 등 15 종류이었고, 귀화식물은 총 16분류군이었으며 귀화율은 3.6%로 낮았다 한편 생활형 조성은 $H-D_4-R_5-e$ type으로 나타났으며, 식물의 유용도는 식용식물이 43.2%로 가장 높았으며, 목초용 41.0%, 약용 식물 32.8%, 관상용 12.6%의 순으로 나타났다. 식생은 신갈나무 군락군(Quercus mongolica community)과 가래나무 군락(Juglans mandshurica Community)으로 대표되며, 신갈나무 군락군은 사스래나무-신갈나무 군락(Betula ermanii-Quercus mongolica community)과 전형하위 군락(typical community)으로 세분되었다.

Vascular plants of Mt. Daedeok were composed of 81 families, 266 genera, 358 species, 1 subspecies, 69 varieties and 14 forma, totaling 442 taxa. Seventeen species among the 442 species were Korean endemic and 15 rare plants such as Anemone koraiensis, Eranthis stellata, Aristolochia manchuriensis, Viola albida, Viola diamantiaca, Acanthopanax senricosus, Acanthopanax chiisanense, Anagaltidium dichotomum, Scrophularia koraiensis, Adenophora grandiflora, Lilium cernuum, Lilium medeoloides, Lloydia triflora, Iris odaesanensis and Cypripedium macranthum were also investigated. The naturalized plants were 6 families, 15 genera, 16 species, totaling 16 taxa. Life form spectra was $H-D_4-R_5-e$ type and the use of plants were composed edible 43.2%, pasture 41.0%, medical 32.8%, ornamental 12.6%, respectively. The forest vegetation of Mt. Daedeok was classified Quercus mongolica community group with Betula emanii-Quercus mongolica community and typical community and Juglans mandshurica community.

키워드

참고문헌

  1. Braun-Blanquet, J. 1964. Pflanzensoziologie. 3ed. Aufl. pp. 865 Springer, Wien
  2. Good, R. 1964. The geography of the Flowering Plants. Wiley and Sons, New York
  3. Kim, J. W. 1990. A syntaxonomic schrme for the deciduous oak forests of South Korea. Abstracta Botanica 14: 51-81
  4. Lee, T. B. 1976. Vascular plants and their uses in Korea. Bulletion of the Kwanak Arboretum College of Agricul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 Suwon
  5. Melchior, H. and E. Werderman, 1954. A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Gebruder Borntraeger. Berlin. I Band. pp. 367
  6. Melchior, H. 1964. A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Gebruder Borntraeger. Berlin. II Band. pp. 666
  7. Nakai, T. 1952. A Synoptical Sketch of Korean Flora. Bull. Nat. Sci. Mus.,Tokyo, 31
  8. Raunkiaer, C. 1934. The life form of plants and statistical plant geography. Oxford Clarendon Press
  9. 강원도. 1997. 강원도 자연환경보존계획, 강원도
  10. 김철남, 오영주, 이우철. 2002. 함백산(강원도)의 식물상과 식생. 한국생물상연구지 7: 83-108
  11. 백원기. 1994. 한국특산식물의 실체와 분포 조사. 한국자연보존협회 연구보고서. 13: 5-84
  12. 산림청. 1997. 희귀 및 멸종 위기 식물도감. 서울
  13. 송은경, 백원기, 이우철. 2001. 백운산(강원도)의 식물상과 식생. 한국생물상연구지 6: 37-74
  14. 이우철. 1987. 태백산의 식물상. 자연보존협회연구보고서 25: 43-57
  15. 이우철. 1996a. 원색한국기준식물도감. 아카데미서적. 서울
  16. 이우철. 1996b. 한국식물명고. 아카데미서적. 서울
  17. 이우철, 백원기. 1984. 대성산의 식물상. 식물분류학회지 14: 109-132
  18. 이우철, 임양재. 1978. 한반도 관속식물의 분포에 관한 연구. 한국식물분류학회지 8(부록): 1-33
  19. 이은복, 전의식. 1996. 귀화생물에 의한 생태계 영향 조사(1), 귀화식물분야.국립환경연구원. pp. 5-74
  20. 이창복. 1969. 우리나라의 식물 자원. 서울대학교 논문집. pp. 89-228
  21. 이창복. 1980.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서울
  22. 이창복. 2003. 원색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서울
  23. 임양재. 1990. 대성산, 대덕산의 식생. '90자연생태계 지역조사(대성산,대덕산 조사). 환경처
  24. 정태현. 1956-57. 한국식물도감 상, 하. 신지사. 서울
  25. 환경처. 1990. '90자연생태계 지역조사-대성산, 대덕산 조사. 환경부
  26. 환경부. 1994. 특정 야생 동 . 식물 화보집. 환경부. pp. 69-2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