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munity Type and Stand Structure of the Korean Pine(Pinus koraiensis) Natural Forest in Seoraksan National Park

설악산 국립공원 잣나무 천연림의 군락유형 및 임분구조

  • Published : 2006.03.0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tain the fundamental data for the ecological management in the Pinus koraiensis natural forest in Seoraksan National Park. The community types of the P. koraiensis forest were divided into Ainsliaea acerifolia group and Rhododendron schlippenbachii group. A. acerifolia group was subdivided into Acer tschonoskii var. rubripes subgroup and Calamagrostis arundinacea subgroup. The importance value of major species showed higher value in the order like Pinus koraienses, Abies nephrolepis, Acer barbinerve, Betula ermani, Acer pseudo-sieboldianum, Sorbus commixta and Quercus mongolica. The value of species diversify ranged from 0.44 to 0.86, and showed stronger competition in the interspecific association than in the intraspecific one. The number of individuals of P. koraiensis below 10 centimeters in the 15 study sites was 35, and it was considered that the population of P. koraiensis could be succeeded to the other species in the present situation because of lower frequency in the low layer though the canopy of tree layer was dominated with P. koraiensis. The radial growth patterns of P. koraiensis individuals were mainly fluctuated for the entire life time, which was considered to be caused by frequent disturbance.

잣나무 천연림의 생태적 관리를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설악산 대청봉 일대의 잣나무 천연림을 대상으로 본 연구를 수행하였던 바 설악산 잣나무 천연림의 군락유형은 잣나무군락에서 단풍취군과 철쭉군으로 분류되었고, 단풍취군은 시닥나무소군과 실새풀소군으로 세분되어졌다. 본 조사지의 중요치 결과를 보면 잣나무, 분비나무, 청시닥나무, 사스래나무, 당단풍, 마가목, 신갈나무 순으로 중요치가 높게 나타났다. 본 조사지역의 종다양도의 범위는 0.44에서 0.86이고, 종내경쟁보다는 종간의 경쟁이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5개 매목조사구에서 DBH 10cm이하의 잣나무는 35개체로 거의 나타나지 않고 있었으며, 잣나무가 현재 상층임관을 점하고 있으나 하층목의 우점도가 낮아 그대로 방치하면 차대림은 다른 종으로 천이될 것으로 사료되었다. 또한 본 조사지의 잣나무 개체는 직경생장에 있어서 느린 생장과 빠른 생장의 시기가 교대로 나타났으며, 이는 주기적인 교란이 발생하였음을 반영하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기상청(2005) http://www.kma.go.kr/kor/weather/climate/climate_03_01.jsp 기후통계자료
  2. 마상규(1974) 환경인자의 수량화에 의한 잣나무림 수확량추정과 임목생장에 관한 연구. 임업시험장연구보고 21:41-88
  3. 문현식(2001) 덕유산 아고산지대의 산림식생구조에 관한 연구. 농업생명과학연구 35:47-54
  4. 산림청(2004) http://www.foa.go.kr/ 통계연보
  5. 윤영일(2002) 설악산 전나무 고목림의 자연성 판단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환경생물학회지 20(4):287-293
  6. 이경재, 조현서, 한봉호(1997) 설악산국립공원 저항령계곡 식물군집구조. 환경생태학회지 10(2):251-269
  7. 이도형, 황재우(2000) 팔공산 잣나무천연림의 입지 및 식생 구조에 관한 연구. 자원문제연구논문집 19(1):68-76
  8. 이일엽(2003) 설악산식생의 시간적 변화와 식생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미소환경요인. 카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3쪽
  9. 이종영(1976) 잣나무의 생장과 토양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4:9-17
  10. 이창복(2003) 원색대한식물도감. 향문사 (상), 914쪽
  11. 이창복(2003) 원색대한식물도감. 향문사 (하), 910쪽
  12. 임주훈(1989) 잣나무 천연임분의 생태적 특성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5쪽
  13. 정동준(1988) 설악산 천연생 잣나무림의 식물사회학적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쪽
  14. 홍성천, 김삼식, 변수현(1987) 원색한국수목도감. 계명사, 310쪽
  15. Bazzaz, F. A.(1979) The physiological ecology of plant succession. Ann. Rev. Ecol. Syst. 10:351-371 https://doi.org/10.1146/annurev.es.10.110179.002031
  16. Braun-Blanquet, J.(1964) Pflanzesoziologie Grundzuge der Vegetation der Vegetation 3. Auf, Springer-Verlang. Wien, N. Y., 865pp
  17. Brower, J. E. and J.H. Zar.(1977) Field and laboratory method for genoral ecology. Wm. C. Grown Co. Publ., Zowa, 194pp
  18. Curtis and Mcintosh R. P.(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Ecology 32:476-496 https://doi.org/10.2307/1931725
  19. Ellenberg, H.(1956) Grundlagen der vegetationsgliederung. I. Aufgaben und Methoden der Vegetatiohskunde. In : Walter, H.(Hrsg.) Einfuhrung in die Phytologie IV. 136pp. Stut-tgart
  20. Herlbert, S. H.(1971) The nonconcept of species diversity: a critique and alternative parameters, Ecology 52:577-586 https://doi.org/10.2307/1934145
  21. Krebs, C. J.(1985) Ecology, 3rd edition, Haber & Row, Publishers, Inc. pp. 3-14
  22. Odum, E. P.(1969) The strategy of ecosystem development. Science 164:262-270 https://doi.org/10.1126/science.164.3877.262
  23. Shannon, C. E. and W. Weaver.(1963)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 of Illinois Press, Urbana. 117pp
  24. Whittaker, R. H.(1965) Dominance and diversity in land plant communities. Science 147 : 250-259 https://doi.org/10.1126/science.147.3655.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