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erification of Landslide Hazard using RS and GIS Methods

RS와 GIS 기법을 활용한 산사태 위험성의 검증

  • Cho, Nam-Chun (Department of Satellite Information Science,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Choi, Chul-Uong (Department of Satellite Information Science,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Jeon, Seong-Woo (Korea Environment Institute) ;
  • Han, Kyung-Soo (Department of Satellite Information Science,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조남춘 (부경대학교 위성정보과학과) ;
  • 최철웅 (부경대학교 위성정보과학과) ;
  • 전성우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 한경수 (부경대학교 위성정보과학과)
  • Received : 2006.02.22
  • Accepted : 2006.06.07
  • Published : 2006.06.30

Abstract

Korea Forest Service made the landslide hazard map for all mountainous districts over the country in May 2005. In this study, we selected landslide areas occurred in Jeonbuk from 02 August 2005 to 03 August 2005 as the study area. We extracted landslide areas using images taken by PKNU 3 System, which was developed by PE&RS Laboratory in Dept. of Satellite Information Science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and verified the accuracy of landslide hazard map by overlaying landslide hazard areas extracted by PKNU 3 images. And we analyzed characteristics of an altitude, a gradient, an inclined direction, a flow length, a flow accumulation for landslide areas using mountainous terrain analysis and Stream Network analysis of ArvView 3.3.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unitage(%) by the class and to modify and improve the score table for prediction of landslide-susceptible area forming the foundation of making the landslide hazard maps.

2005년 5월 산림청에서 전국 산지를 대상으로 산사태 위험지도를 제작하였다. 본 연구는 산사태 위험지도의 정확성 검증을 위하여 2005년 8월 2~3일 전북지역에서 발생된 산사태 지역을 대상으로 부경대학교 위성정보과학과 PE&RS Lab에서 개발한 PKNU 3호 시스템으로 촬영한 영상을 이용하여 산사태 발생 지역을 추출한 후 산사태 위험지도와 중첩해서 산사태 위험지도의 정확도를 검증하였다. 또한 ArcView 3.3의 산지 지형 분석과 하계망 분석을 통해 산사태 발생 지역의 고도, 경사도, 경사방향, 하천장, 유역면적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산사태 위험지도의 등급별 단위 %량의 조정이 필요하며 산사태 위험지도 작성에 기본이 되는 산사태 위험 판정표에 대한 수정 보완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