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Aviation Case Law -Focusing on the Application of Treaties for the International Carriage by Air-

항공판례의 연구 -국제항공운송조약의 적용문제를 중심으로-

  • Published : 2006.06.30

Abstract

This paper studied and introduced the aviation law cases in applying the treaties of the Warsaw System to the liability of the international air carrier by categorizing four main sections. Firstly, this paper handled the cases regarding the defining an international flight, exclusivity of the treaties as international air carrie's liability Convention, determining treaty relationship between the countries which one country has ratified only the Hague Protocol, an amended version of the Warsaw Convention, while the other has ratified only the original, unamended Warsaw Convention. Annotation assisted the case if it needed. Secondly, the cases relating to the issues of actual and contracting carrier, successive carrier, agents and servants of the carrier and others were studied. Thirdly, the issues relating to the accident in the course of any operations of embarking or disembarking of passengers, the occurrence during the transportation by air of baggage or goods and delay in the transportation by air of passengers, baggage or goods in addition to the cancellation of the flights were studied according to the applicable range. Fourthly, I studied the time issue with effective date of the treaties. Conclusively, it is not excessive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cases in Aviation Law like all other legal areas, therefore, a full-dress future reaserch of aviation cases is expected in here Korea with this paper as a foundation although it studied and introduced only a part of numerous aviation law cases.

본 논문은 국제항공운송인의 책임에 관한 조약의 적용문제에 관한 항공판례를 1) 공간적 적용문제, 2) 인적 적용문제, 3) 물적 적용문제, 4) 시간적 적용문제로 크게 4 부분으로 나누어 연구하였다. 첫째, 공간적 적용문제와 관련하여서는 (1) 국제선 구간에서의 적용의 해석에 관한 판례, (2) 조약의 배타적 적용에 관한 판례, (3) 원 조약 체결국과 개정조약 체결국간의 적용문제에 관한 판례를 살펴보았는데 특히 각각 다른 Legal Instrument에 가입하여 문제된 판례는 평석을 곁들였다. 둘째, 인적 적용문제와 관련하여서는 그 적용대상에 따라 (1) 계약운송인, 실제운송인, (2) 순차운송인, (3) 이행보조자, (4) 기타의 경우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셋째, 물적 적용문제는 적용범위에 중점을 두어 (1) 항공기 승강중의 사고, (2)항공운송중의 사고, (3) 운항취소 및 운송지연의 경우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넷째, 시간적 적용문제는 조약의 발효일 문제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다른 모든 법률분야와 마찬가지로 항공법 분야에서도 판례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다고 할 수 없다. 따라서 비록 본 논문이 방대한 항공판례 중 그 일부를 연구 소개하지만 앞으로 이것이 계기가 되어 우리나라에서도 제대로 된 본격적인 항공판례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