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derstanding of Classroom Culture of Gifted Youths in Secondary Mathematics

중등수학영재아들의 교실문화 이해

  • Published : 2006.09.30

Abstract

This research intends to understand classroom culture of gifted youths in secondary mathematics. For this purpose, we have observed ethnographically the mathematics classes of gifted youths for eight months at two Science Education Centers for Gifted Youths. We have collected qualitative data using the methods, participation observation, interviewing, video taping, recording, collecting assistant materials. And these data were closely connected and analyzed synthetically. From this, we found the followings; First, gifted youths in mathematics evaluate the academic abilities as the best standard for their friendship. Second, the gifted youths in secondary mathematics are under an obsession that they should act like gifted youths. Third, even though they know the merits of class type of inquiry and discussions, they didn't participate actively in those types of class. Forth, main differences of classes between Gifted Education Centers and general middle school come from the difference of class type, the roles of teachers and students.

이 연구의 목적은 수학영재아들의 교실문화를 이해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두 영재 교육원에서 진행된 수학수업을 지속적으로 관찰하여 그들의 교실문화를 형성하는 요소들이 무엇인지를 찾고자 하였다. 수업과정에서 관찰된 내용을 확인하거나 보완하기 위해서 수시로 면담이 실시되었다. 이런 과정을 거쳐 수집된 정성적 자료는 그때그때 분석되어 수학영재아들의 교실문화를 구성하는 요소들로 주제화 되었다. 이 주제들로 범주화된 자료는 다시 통합적으로 분석되었는데, 그 결과로 다음을 확인하였다; 첫째, 수학영재아들은 학업능력을 최고의 가치기준으로 삼는다. 둘째, 수학영재아들은 영재교육원에서 영재아다운 모습을 보여야 한다는 강박관념을 갖는다. 셋째, 수학영재아들은 탐구, 토론형 학습의 장점을 잘 이해하면서도 토론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는다. 넷째, 영재교육원과 일반학교 교실문화의 차이는 수업형태, 교사와 학생의 역할 차이에서 연유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