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Bio-Silverlite^{(R)}$ on Performance, Weight of Organ, Intestinal Villus and Intestinal Microbial in Broiler Chicks

브로일러 사료에 $Bio-Silverlite^{(R)}$의 첨가가 사양성적, 장기중량, 소장 Villus 및 장내 미생물 성상에 미치는 영향

  • Kim C.H. (College of Animal Life Scienc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Lim K.C. (Silverlite Co. Ltd.) ;
  • Hwang J.H. (Department of Invention/Patent, Youngdong University) ;
  • Ra C.S. (College of Animal Life Scienc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Pak J.I. (College of Animal Life Scienc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김창혁 (강원대학교 동물생명과학대학) ;
  • 임경천 ((주) 실버라이트) ;
  • 황재효 (영동대학교 발명특허학과) ;
  • 라창식 (강원대학교 동물생명과학대학) ;
  • 박재인 (강원대학교 동물생명과학대학)
  • Published : 2006.03.01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feeding effect of $bio-silverlite^{(R)}$ on growth performance, organ phenomenon and cecum microflora in broiler chicks. The $bio-silverlite^{(R)}$ was made by an ion exchange between illite and $silver(Ag^+)$. There were four treatment groups: negative control group(non-treatment), antibiotic supplement group (positive control), 0.5% $bio-silverlite^{(R)}$ supplment group and 1.5% $bio-silverlite^{(R)}$ supplement group. Total 200 birds was assigned for this five replication tests, allocating 10 birds into each treatment. Experimental diets were formulated on isocalories and isonitrogen for the whole experimental period. Body weight gain was higher in antibiotic supplementation (+C) and $bio-silverlite^{(R)}$ supplement groups(S 0.5% and 51.5%) than the negative control group(-C), and feed efficiency was significantly enhanced with increase of the level of $bio-silverlite^{(R)}$ supplement. The length of small intestine was longer in +C than in -C and $bio-silverlite^{(R)}$ supplement groups (P<0.05), and the weight of small intestine was proportional to the level of $bio-silverlite^{(R)}$ supplement. Crop weight was lower in $bio-silverlite^{(R)}$ supplement group than in -C and +C groups (P<0.05), and the cecum weight was heavier in $bio-silverlite^{(R)}$ supplementation group. Intestinal villi height was longer in 51.5% group at 3 weeks and 6 weeks of age than in -C and +C groups. With the respect of the formation of intestinal microflora, TBC and CBC was not affected by age and feed additive. However, the number of LAB was slightly higher in $bio-silverlite^{(R)}$ supplement group than in -C and +C groups.

본 연구는 브로일러 사료에 일라이트와 은을 이온 결합시킨 $bio-silverlite^{(R)}$의 첨가가 육계의 육성 성적, 장기 변화 및 장내 미생물 성상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실시하였다. 처리구는 negative control과 항생제 첨가구에 속하는 positive control, 사료에 0.5(S 0.5%) 및 1.5%(S 1.5%)를 첨가구인 4처리구 5반복으로 반복당 10수씩 총 200수로 시험하였다. 증체량은 항생제 첨가구, S 0.5%구 및 S 1.5%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높았으며, 사료 효율은 $bio-silverlite^{(R)}$ 첨가 수준이 높을수록 우수하게 나타났다(p<0.05). 소장 길이는 +C구가 -C나 $bio-silverlite^{(R)}$ 처리구(S 0.5% 구와 S 1.5% 구)에 비하여 높았으나(p<0.05), 소장 무게는 $bio-silverlite^{(R)}$ 첨가 수준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다(p<0.05). 근위 중량은 $bio-silverlite^{(R)}$ 첨가구가 -C구와+C구에 비하여 낮았으며(p<0.05), 맹장 무게는 $bio-silverlite^{(R)}$ 처리구가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Villi의 길이는 S 1.5%구가 3주와 6주 후에도 -C구 및 +C구에 비하여 길었다. TBC와 CBC는 주령 및 사료 첨가제의 첨가 형태에 따른 변화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LAB는 negative 대조구인 -C 구에 비하여 +C 구 및 S 0.5% 및 S 1.5% 처리구에서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Keywords

References

  1. Cera KR, Mahan DC, Cross RF, Reinhart GA, Whitmover RE 1988 Effect of age, weaning and postweaning diet on small intestinal growth and jejunum morphology in young swine. J Anim Sci 66:574-584 https://doi.org/10.2527/jas1988.662574x
  2. Harms RH, Darmron RH 1973 The influence of various dietary fillers on the utilization of energy by poultry. Poult Sci 52:2034(abstr.)
  3. Kenworthy R 1976 Observations on the effects of weaning in the young pig: clinical and histopathological studies of intestinal function and morphology. Res Vet Sci 21:69-75
  4. Kondo J, Wagai B 1968 Experimental use of clinoptilolite-tuff as dietary supplements for pigs. YotInkai May 1-4
  5. Martin SA 1994 Potential for manipulating the gastrointestinal microflora : A review of resent progress in biotechnology in the feed industry. TP Lyons and Jacques KA ed. Nottingham Univ. Press, Loughborough, Leicestershire, England. p.15
  6. Newman K 1994 Mannan-oligosaccharides: natural polymers with significant impact on the gastrointestinal microflora and the immune system in biotechnology in the feed industry. TP Lyons and Jacques KA ed. Nottingham Univ. Press, Loughborough, Leicestershire, England. p.167
  7. Nunez MC, Bueno JD, Ayudarte MV, Almendros A, Rios A, Suarez MD, Gil A, 1996 Dietary restriction induces biochemical and morphometric changes in the small intestine of nursing piglets. J Nutr 126:933-944 https://doi.org/10.1093/jn/126.4.933
  8. SAS 1995 SAS/STAT Software for PC. Release 6.11, SAS institute, Cary, NC, USA
  9. 강수원 조창연 김준식 안병석 정하연 서국현 2002 한우 송아지에 대한 황토, 일라이트, 올리고당, 활성탄 및 크롬급여가 성장발육 및 면역기능에 미친는 영향. 동물자원과학회지 44:531-540
  10. 강환열 정명주 정영기 2000 금속 은으로 제조한 $Ag^+ $용액의 항균효과와 안정성. 한국생물공학회지 15:521-524
  11. 김재황 2005 생균제, Illite 및 활성탄의 첨가가 돈육의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농업생명과학연구 39:61-69
  12. 김지연 김성은 김재은 이종찬 윤제용 2005 은 이온과의 비교를 통한 나노 은 입자의 항균 특성 연구. 대한환경공학회지 27:771-776
  13. 김창혁 라창식 채병조 송영한 2000 Extrusion 가공 처리한 계분의 대체 급여가 브로일러의 육성성적, 도체성적 및 수익성에 미치는 영향. 동물자원과학회지 42:315-324
  14. 김창혁 박재인 2003 톳추출 Fucoidan이 병아리 장내 Villi 및 Salmonella 균주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금학회지 30:41-47
  15. 김창혁 송영한 채병조 이영철 2001 동분-남은음식물 혼합 Extrusion 사료의 급여가 브로일러의 사양성적, 체조성 및 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 동물자원과학회지 43:91-100
  16. 김천제 이의수 송민석 조진국 2000 황토성분(Illite) 첨가 급여가 비육돈의 육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축산식품학회지 20:152-158
  17. 문윤영 남궁환 장문백 백인기 1991 사료중 죠라이트와 칼슘 및 인의 상호작용이 육계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사료영양학회지 15:133-144
  18. 손장호 2002 성장중인 닭에 있어서 맹장내의 혐기성 미생물 수와 맹장 길이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가금학회지 29:255-258
  19. 오재현 김미성 1991 영동산 일라이트에 의한 산업폐수 처리. 한국자원공학회지 28:168-173
  20. 조경환 박수길 2004 초음파법으로 제조된 은 나노입자의 항균특성 연구. 공업화학회지 15:952-955
  21. 추창호 2001 일라이트의 광물학적 특성과 그 응용. 광물과 산업 14:29-37
  22. 하홍민 김재황 김삼철 김영민 고영두 2001 육성.비육돈에 대한 일라이트의 첨가급여 효과. 동물자원과학회지 43: 663-6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