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thods Used in Determining Enumeration Districts in the 2005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2005년 인구주택총조사의 조사구 설정 방법

  • 이명진 (국민대학교 사회학과) ;
  • 서우석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사회학과) ;
  • 변미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도시정보센터) ;
  • 이건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사회학과)
  • Published : 2006.03.01

Abstract

This paper describes how the National Statistics Office Prepared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in 2005. We focus on the methods of identifying living quarters and determining the enumeration districts. In the absence of the supports of the regional administrative offices, caused by the regulation change in 1999, the NSO devised several new techniques, such as using previous census DB, administrative records, GIS, and etc.. However, not-well-organized administrative system of the regional offices, particularly in terms of the use of IT technology, becomes one of the major bottleneck for identifying living quarters. In order for better preparation of Census, we seem to concern about not only the NSO's efforts to improve survey methods, but also the administrative system of the regional offices. This may indicates that we are at the stake of moving towards a more networked administrative system beyond the present organizational boundaries.

그동안 인구주택총조사의 조사결과에 대한 연구와 정보는 많았으나 총조사를 어떻게 준비하는지에 대한 조사방법 관련 논의가 없었다. 이 글은 이러한 논의를 활성화하기 위해 2005년 인구주택총조사를 준비하는 2년여 과정에서 거처를 파악하고 조사구를 설정하는 방법을 소개하였다. 특히 1999년 읍 면 동의 통계기능축소를 보완하기 위해 개발된 여러 방법들을 기술하였다. 주요한 방법으로는 과거 인구주택총조사 DB, 행정자료, 수치지도의 활용 등이 있다. 이들은 대체로 IT 기술을 기반으로 개발된 조사방법들이다. 한편, 취약한 지방자치단체의 행정자료관리체계는 IT 기술 활용의 제약이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