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are Earth Element Contents of the Ginsengs and their Soils, Keumsan area

금산 인삼과 토양의 희토류 원소 함량관계

  • Song, Suck-Hwan (Dept. of Environmental Health, Joongbu University) ;
  • Min, Ell-Sik (Dept. of Environment and Forest Product, Joongbu University) ;
  • Yoo, Sun-Kyun (Dept. of Oriental Medicine and Food Biotechnology, Joongbu University) ;
  • Lee, Yong-Gyoo (Div. of the Social Welfare Children, Woosong Technical College)
  • 송석환 (중부대학교 환경보건학과) ;
  • 민일식 (중부대학교 환경임산학과) ;
  • 유선균 (중부대학교 한방건강식품학과) ;
  • 이용규 (우송공업대 사회복지아동계열)
  • Published : 2006.03.01

Abstract

Ginsengs(1-3 years old) from the Keumsan were analysed for the rare earth element(REE) contents and compared with their soils from the biotite granite(CR), phyllite(PH) and shale(SL) areas. In the soils, high REE contents and correlations were found in the SL. In the ginsengs, high element contents were shown in the SL. High correlations were found in the 3 year. In the upper parts, the 2 year of the GR was mainly high. Comparing with the same aged ginsengs, high elements were shown in the SL. Positive correlations were dominated and high correlations were shown in the 3 year ginsengs. In the root parts, the GR was high in the 2 year while the PH and SL were high in the 3 year. Comparing with the same ages, high elements were shown in the SL. High correlation relationships were found. Comparing between upper and root parts, the upper parts were mainly high, LREE showed big differences and relative ratios of the 2 year were mainly high. Comparing between soils and ginsengs, the soils were mainly high. Ratios between soils and root parts(soils/root part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upper parts. Ratios of the LREE showed big differences relative to those in the HREE and the ratios increased with ages. Overall results suggested that ginsengs of the SL were similar to those of soils and those of the PH showed big differences.

풍화 토양에서 셰일 지역이 높고 화강암 지역이 낮았으며, 셰일 지역이 화강암 및 천매암 지역에 비해 더욱 많은 원소에서 유의성이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인삼의 평균값에서 셰일 지역이 높고, 천매암 지역이 낮았다. 지역적 비교에서 셰일 지역이 높았고, 3년생이 많은 원소에서 유의성이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는데, 이는 인삼이 연생이 증가함에 따라 토양으로 부터 필요한 만큼의 원소를 흡수하고 있음을 암시한다 인삼의 연생 차이별 비의 비교에처 화강암과 천매암 지역은 2년생이, 셰일은 3년생이 높았다. 지상부에 대한 연생 차이별 비교 시 화강암 지역은 2년생이, 천매암 지역은 1년생이 높았다. 동일 연생 비교 시 셰일지역이 높고 천매암 지역이 낮았다. 대부분 원소 쌍에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3년생이 높은 유의성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뿌리에 대한 연생 차이별 비교 시 화강암 지역은 2년생이, 천매암 및 셰일 지역은 3년생이 높았다. 동일 연생 비교에서 셰일 지역이 높고 천매암 지역이 낮았다. 지상부에 비해 높은 유의성의 상관관계를 보였는데 이는 뿌리 부분에거 흡수되는 원소들 사이에서 좋은 상관성이 있음을 암시한다. 지상부와 뿌리 부분의 비교에서 지상부가 높은 원소 함량을 보이고,이 경향은 천매암 지역의 2년생에서 가장 높았다. 지상, 지하부의 비에서 LREE가 HREE 보다 커서 지상, 지하부의 차이가 LREE에서 컸음을 암시하고, 2년생이 대체로 높아 2년생의 지상부가 뿌리에 비해 높음을 암시한다. 토양과 인삼 함량과의 비교에서 거의 대부분 원소가 인삼에 비해 토양에서 높았고, 토양/지상부 비보다 토양/지하부비가 컸다. HREE의 비율 차이가 커서 HREE가 더욱 토양의 조성과 차이를 보임을 암시한다. 2년에서 3년생으로 갈수록 비율 차이가 커져 토양과 인삼의 조성차이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커짐을 암시한다. 전체적인 결과들은 셰일 지역의 인삼이 제일 토양의 조성에 가까웠고 천매암 지역에서 가장 차이가 컸음을 암시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송석환, 강영립, 김일출: 금산의 화강암 및 함탄질 셰일 지역 토양내 식물체의 중금속 함량. 한국자원식물학회지, 18(2), 251-259 (2005)
  2. 한국 인삼사 편찬위원회: 한국인삼사 (2002)
  3. 이인호, 육창수, 한강완, 박찬수, 박현석, 남기열: 인삼포지의 토양특성이 인삼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고려인삼학회지 4(2), 175-185 (1980)
  4. 김영호, 이장호, 오승환, 유인현, 이인호: 폐포지 인삼생육과 인삼생육에 미치는 요인. 고려인삼학회지 17(1), 45-51 (1993)
  5. 이종철, 변정수, 안대진, 조재성: 양식묘포 토양의 물리성이묘삼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고려인삼학회지 19(3), 287-290 (1995)
  6. 이종화, 남기열, 최강주: 고려인삼의 부위별 년근별 성분함량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과학학회지 10(2), 263-268 (1978)
  7. 장진규, 이광승, 권대원, 오현근: 고려인삼의 부위별 성분함량. 고려인삼학회지 11(1), 84-89 (1987)
  8. 박채규, 전병선, 양재원: 고려 인삼의 화학성분. 식품산업과 영양 8(2), 10-23 (2003)
  9. 이용규, 송석환: 금산지역 토양의 화학적 특성과 토양수의 주요 용존 성분. 한국 환경관리학회지, 8(4), 443-449 (2002)
  10. 송석환, 이용규, 민일식: 금산 인삼의 전이원소 특성. 한국자원 식물학회지, 16(1), 25-33 (2003)
  11. 송석환, 민일식: 금산 지역 토양별 인삼내 비호정성 원소 특성. 고려 인삼 학회지, 28(1), 52-59 (2004)
  12. 중부대학교 산학연: 금산 인삼 생약의 특성조사와 활용방안. 중소 기업청 지원 특정분야조사사업 (2002)
  13. Rollinson, H. R.: Using geochemical data: Evolution, Presentation and Interpretation. Longman Scientic and Technical, New York. p. 352 (1996)
  14. Hoffaman, E.L.: Instrumental neutron activation in geoanalysis. J. Geochem. Explor. 44, 297-319 (1997) https://doi.org/10.1016/0375-6742(92)90053-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