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령기 아동의 컴퓨터게임 이용 양상과 정신병리

COMPUTER GAME PLAYING PATTERNS AND PSYCHOPATHOLOGY IN SCHOOL-AGE CHILDREN

  • 임성후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소아청소년정신과학교실) ;
  • 정성심 (서울시립아동병원 정신과) ;
  • 박정환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소아청소년정신과학교실) ;
  • 김지혜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정신과학교실) ;
  • 홍성도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소아청소년정신과학교실)
  • Lim Seoung-Hu (Division of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Department of Psychiatry,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Jeong Seoung-Shim (Department of Psychiatry, Seoul Metropolitan Children's Hospital) ;
  • Park Jeone-Hwan (Division of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Department of Psychiatry,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Kim Ji-Hae (Department of Psychiatry,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Hong Sung-Do (Division of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Department of Psychiatry,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발행 : 2006.03.01

초록

목 적 : 본 연구는 학령기 아동들의 컴퓨터 게임 이용실태를 조사하고 컴퓨터게임 중독과 관련된 정신병리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서울시 강동구 소재 1개 초등학교 4, 5, 6학년 533명을 대상으로 하여 컴퓨터게임 이용실태에 대한 설문지를 이용하여 일반적인 이용실태를 조사하였고, 인터넷게임중독 척도를 이용해 컴퓨터게임 중독 위험군을 선정하였다. 또한 대상 아동들의 부모에게 아동 청소년행동평가척도(Korean-Child behavior checklist)를 작성하게 하여 이 척도의 하위척도인 사회능력 및 문제행동증후군 척도 점수와 컴퓨터게임 중독과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결 과 : 응답자의 10.2%는 초등학교에 들어오기 전부터, 67.2%는 초등학교 저학년때 부터 컴퓨터 게임을 시작했으며 주당 게임 하는 일수는 평균 3.66일이었고 하루에 게임 하는 시간은 평균 1.89시간이었다. 컴퓨터 게임을 하는 이유로는 "단순히 재미있어서"라고 응답한 경우가 40.8%로 가장 많았으며 평균 컴퓨터게임중독 점수는 39.95였다. 남학생은 여학생과 비교했을 때 컴퓨터 게임을 시작한 시기, 주당 게임 하는 일수, 하루에 게임 하는 시간, 게임을 하는 이유, 그리고 컴퓨터게임 중독 점수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컴퓨터게임 중독 척도 점수가 아동 청소년행동평가척도의 하위척도들 중 학업수행, 신체증상, 주의집중문제, 내재화 문제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로짓회귀분석을 시행했을 때에는 주의집중 문제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컴퓨터게임 중독 위험군 여부를 예측할 수 있는 변인이었다. 결 론 :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들이 어릴 때부터 컴퓨터게임을 접하여 평소 많은 시간 게임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여러 관련 변인 중 주의집중력문제가 학령기 아동에서 컴퓨터게임 중독과 유의미한 관련성을 보이고 있었다.

Objectives :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computer game playing patterns and psychopathologies related to computer game addiction in school-age children. Methods : The subjects were 533 elementary school students (4th to 6th grade) in Kangdonggu, Seoul. We evaluated computer playing patterns of all subjects using computer game playing pattern questionnaire, and determined the risk group of computer game addiction by internet game addiction scale score. We evaluated subscale score of K-CBCL from parents of all subjects, and conducted correlation analysi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between computer game addiction and subscale score of K-CBCL. Results : In 488 responders, 10.2% of started playing computer game in preschool age, and 67.2% started at low grade of elementary school. The mean frequency of computer game play per week was 3.66 days. Mean time spent playing computer games per day was 1.89 hours. 'Simply for fun' was the most common reason far playing computer games (40.8%). Male subjec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of starting computer game, frequency of computer game play per week, reasons for playing computer game and computer game addiction scale scores.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computer game addiction scale scores and academic performance, somatic complaints, attention problems, and internalizing problems in K-CBCL. But In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nly attention problems among K-CBCL subscales showed significant predictability to computer game addiction. Conclusion : Upper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experienced computer game playing at the very early age, and spend much time in playing computer games.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and predictability between computer game addiction and attention problem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