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 INTERNET ADDICTION AND DEPRESSION, IMPULSIVITY, AND OBSESSIVE-COMPULSIVITY

청소년 인터넷 중독과 우울, 충동성, 강박성과의 연관성

  • Lee Dae-Hwan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Inje University Sanggye Paik Hospital) ;
  • Choi Young-Min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Inje University Sanggye Paik Hospital) ;
  • Cho Soo-Churl (Division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Lee Jung-Ho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Inje University Sanggye Paik Hospital) ;
  • Shin Min-Sup (Division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 Lee Dong-Woo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Inje University Sanggye Paik Hospital) ;
  • Kim Bong-Seog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Inje University Sanggye Paik Hospital) ;
  • Kim Boong-Nyun (Division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이대환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상계백병원 신경정신과) ;
  • 최영민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상계백병원 신경정신과) ;
  • 조수철 (서울대학교병원 신경정신과학교실 소아청소년분과) ;
  • 이정호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상계백병원 신경정신과) ;
  • 신민섭 (서울대학교병원 신경정신과학교실 소아청소년분과) ;
  • 이동우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상계백병원 신경정신과) ;
  • 김봉석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상계백병원 신경정신과) ;
  • 김붕년 (서울대학교병원 신경정신과학교실 소아청소년분과)
  • Published : 2006.03.01

Abstract

Objective :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 the relations of internet addiction to depression, impulsivity, and obsessive-compulsivity in adolescents. Methods : 1410 high school students (male=611, female=799 : mean age=$16.2{\pm}0.7$)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items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internet use pattern. We assessed the level of internet addiction using Young's internet addiction scale (IAS) Barratt impulsiveness scale (BIS) and Maudsley obsessive compulsive inventory (MOCI) were also self-rated. In this study, We defined upper 25% of IAS as 'addiction group' and lower 25% as 'non-addiction group'. Results :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Male students had significantly higher mean scores on Internet addiction scale than females and there was significantly higher rate of male students in addiction group. 2) The addiction group spent more time for internet use, especially for games than non-addiction group. 3) The addiction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total scores on BDI, BIS, and MOCI than non-addiction group. 4) Significant associations have been found between the level of internet addiction and depression, impulsivity, and obsessive-compulsivity, respectively. Conclusion : Depression, impulsivity, and obsessive-compulsivity could be significant factors predicting internet addiction. Especially, direct effect of impulsivity could be the most significant to explain internet addiction. Adolescents with high impulsivity may be vulnerable to internet addiction.

연구목적 :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인터넷 중독과 우울, 충동성, 강박성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경기도 남양주시 소재의 인문계 고등학교 1, 2학년 학생 1410명(남자 611, 여자 799)을 대상으로 하였다. 인터넷 사용 형태에 관한 설문과 인터넷 중독여부는 Young의 인터넷 중독척도(Internet Addiction Scale, IAS)를 사용하였고, 우울증상의 평가는 Beck 우울 척도(Beck Depression Inventory, BDI)를 사용하였다. 충동성 측정을 위하여 Barratt의 충동성 척도(Barratt Impulsiveness Scale, BIS)를 사용하였으며, 강박성은 모즐리 강박 척도(Maudsley obsessive compulsive inventory, MOCI)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인터넷 중독 척도 상위 25%를 중독군으로 하위 25%를 비중독군으로 분류하였다. 결 과 : 1)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인터넷 중독 점수에서 유의미하게 높았고, 중독군에 포함되는 비율도 더 높았다. 2) 중독군이 비중독군보다 하루 평균 인터넷 사용시간이 유의미하게 많았고, 사용분야에서는 게임에 몰두하는 경향이 있었다. 두 군 간의 인터넷 사용기간의 차이는 없었다. 3) 인터넷 중독군이 비중독군에 비해 우울정도, 충동성, 강박성 점수가 유의미하게 더 높게 나타났다. 4) 인터넷 중독 점수는 우울정도, 충동성, 강박성 점수들과 각각 의미 있는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 론 : 우울정도, 충동성, 강박성 모두 인터넷 중독을 설명하는 변인이었으며, 그 중 충동성의 직접효과가 인터넷 중독을 가장 잘 설명하는 변인이었다. 청소년에서 높은 충동성이 인터넷 중독의 위험 인자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침전물이 전반적으로 관찰되었다. Tensile strength는 NaOCl군에서 다른 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증가를 보였으며 (p < 0.05). elongation rate는 3 종의 소독제 모두 대조군에 비해 유의성 있는 증가를 보였으나 (p < 0.05), 특히 ChloraPrep군에서 가장 큰 증가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 3 종의 소독제 모두 근관충전 전 가타파차 콘의 rapid sterilization을 위해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