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the Actual State of Direction Guidance System on Road Traffic Signs in Urban Area -Centering around Suwon City-

도시부 도로안내표지의 지명정보 전달체계 실태분석 - 경기도 수원시를 중심으로 -

  • 윤효진 (경기대학교 첨단산업공학부 도시.교통공학) ;
  • 박미소 (경기대학교 첨단산업공학부 도시.교통공학)
  • Published : 2006.03.31

Abstract

There are increasing needs to provide sufficient information on road directions through road signs for expanding cities and traffic networks. Improving efficiency of direction guidance information from road signs not only requires criteria for but also systematic approach to selecting place names that appear on road signs. As such, this paper looks at road direction information from existing road signs that leads to Suwon and investigates whether the current system of road signs provides efficient, systematic and continuous direction information for road users to easily reach their destination. In this paper, Suwon's city hall is set up as the final destination, which is linked from five other cities, Anyang, Osan, Ansan, Yongin and Seongnam. The paper attempts to find out whether there is continuity and suitable number of road signs for direction information by analyzing the road signs between these 5 cities and Suwon with respect to direction, direction advance notice and direction guidance. It is found that drivers cannot easily find the needed information on their destination from the existing road signs and that continuity of selected place names that systematically appear on road signs is insufficiency. In addition, direction guidance on road signs is problematic, because the appearance frequency of road signs is not adequate and the continuity of road signs is not effective. Moreover, there is insufficient information on local direction guidance for immediate destinations on road signs with respect to turning left or right or going straight.

도시지역의 확산과 교통망의 발달로 도로안내표지의 효율적 정보제공이 요구되고 있고 안내체계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안내지명의 선정원칙과 안내체계가 절실하다. 따라서 현재 수원시의 도로표지 안내정보의 실태를 파악하고 이용자들이 목적지를 찾아감에 있어 적절한 정보들을 제공받고 있는지 또한 제공된 정보들은 체계적인 연속성을 가지고 있는지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도로이용자가 찾고자하는 한 지점을 중심으로 도로표지판의 안내정보의 적절성과 연계성 및 출현빈도에 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즉 수원시청을 최종목적지로 하여 주변도시 접경부 안양시, 오산시, 안성시, 용인시, 성남시 등지에서 수원시청까지 6개의 간선도로에 설치된 도로표지판 중 방향예고표지와 방향표지, 시설안내표지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로표지규정의 안내지명선정 원칙에 의한 랜드마크나 1등급으로 분류되는 지명들은 상대적으로 찾기가 다소 용이하나 그 외의 이용자가 원하는 지명을 알아내는데 상당히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안내지명만으로 현 위치를 파악하기가 어렵고 제시된 안내지명이 직진방향에서 만날 수 있는 지명뿐 아니라 좌회전 혹은 우회전을 해야만 만날 수 있는 지명일 경우 방향을 알 수가 없어 비효율적인 정보가 제공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게다가 선정된 안내지명마저도 출현빈도의 적정성에 문제가 있고, 표지간의 연계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아 도로이용자에게 많은 불편을 주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 (2003). '도로표지관련규정집'
  2. 대한교통학회 (1996). '도로표지 개선 연구 용역 최종보고서'
  3. 수원시 (2002). '수원 도시기본계획'
  4. 시정개발연구원, '교통안전시설 설치 및 관리업무'
  5. 최기주 (2001). '도로표지 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6. 최기주 (2003). '지방도 도로표지의 안내체계의 개선'
  7. 최종길 (1997). '교통안전표지의 표준화'
  8. 최재성 (2002). '시지각 원리를 이용한 토로표지 여백비율 산정에 관한 연구'
  9. Robert dewar (1160) Critical for the Design and Evaluation of Traffic Sign Symol, Transportation Research Record
  10. U.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Federal Highway Administration (1988) Manual on Uniform Traffic Control Devi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