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atial Structure and Seasonal Variation of Temperature and Salinity in the Early Stage of Reclaimed Brackish Lake (Hwaong Reservoir)

간척호 (화옹호) 생성 초기의 수온과 염분의 공간적 구조와 계절적 변화

  • Shin, Jae-Ki (Korea Institute of Water and Environment,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KOWACO)) ;
  • Yoon, Chun-Gyeong (Department of Environmental Science, Konkuk University) ;
  • Hwang, Soon-Jin (Department of Environmental Science, Konkuk University)
  • 신재기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연구원) ;
  • 윤춘경 (건국대학교 환경과학과) ;
  • 황순진 (건국대학교 환경과학과)
  • Published : 2006.09.30

Abstract

In order to evaluate the change of aquatic environment in the reclaimed Hwaong Reservoir, situated in the early stage after construc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measure the change of precipitation, temperature, and salinity from June 2002 to January 2006. The range and mean of temperature was $-0.7{\sim}33.4^{\circ}C$ and $13.6^{\circ}C$, respectively. Temperature of upstream part rapidly changed during the transitional period; from spring to summer and from fall to winter. It showed abrupt decrease with high discharge from the streams temporarily. While, hypolimnetic temperature of upstream happened to be somewhat higher than that of surface or downstream. The range and mean of salinity was 0.3${\sim}$32.3 psu and 25.3 psu, respectively. Vertical difference of salinity was marked, and the change in the surface water was much higher than middle or bottom layers. It showed the marked difference at all stations, except for the bottom layer of upstream into which Namyang Stream flows, indicating that vertical gradient of salinity is strongly sustained in the reservoir. Salinity was changed markedly during the storm period (June${\sim}$October), and freshwater with low salinity was expanded from upstream to downstream along the surface layer. The surface of the reservoir was totally covered by the stream discharged water with a large amount of silt and low salinity during this period. The difference of temperature and salinity between the surface and bottom layer ranged $-10.6{\sim}9.7^{\circ}C$ and $-27.1{\sim}30.0$ psu, respectively. The big difference of salinity appeared with a large discharge of freshwater from the streams or large input of seawater through the gate. Salinity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emperature, indicating the influence of monsoon storm events on the salinity under the whole watershed scale of this brackish reclaimed reservoir.

본 연구는 간척호 조성 초기 단계에 있는 화옹호를 대상으로 수환경의 변화를 파악하고자 2002년 6월부터 2006년 1월까지 수행하였다. 화옹호는 해양환경을 담수화시키는 과정에 있으므로 다양한 환경요인 중에서 강수량, 수온 및 염분도의 월 변동을 중심으로 하였다. 수온의 범위와 평균값은 각각 $-0.7{\sim}33.4^{\circ}C$, $13.6^{\circ}C$이었다. 상류부의 수온은 봄철${\sim}$여름철과 여름철${\sim}$가을철로 전이될때 빠르게 증가 또는 감소하였으나 하천 유입량이 많은 시기에는 일시적으로 다소 급감하는 현상을 보이기도 하였다. 반면에, 겨울철에는 상류부 저층의 경우 표층이나 하류부보다 수온이 다소 높은 양상을 보이기도 하였다. 염분의 범위와 평균값은 각각 0.3${\sim}$32.3 psu, 25.3 psu이었다. 염분은 수층에 따른 상하 수직적 차이가 현저하여 중층과 저층보다 표층에서 증감 변동이 매우 심하였다. 남양천이 유입되는 상류부의 저층을 제외하고는 전 정점에서 현격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것은 저수지내 염분의 수직적 구배가 뚜렷하게 유지되고 있음을 의미하였다. 염분은 여름철 강우기에 해당하는 6${\sim}$10월에 변동폭이 매우 컸고, 표층의 경우 저염수가 상류에서 하류로 확장되는 현상이 뚜렷하였다. 이 시기에 표층의 수색은 황토색으로서 하천으로부터 유입 후 공급 이동된 저염수의 탁수층(turbidity plume)으로 뒤덮는 양상이 전개되었다. 저수지내 수온의 상 ${\cdot}$ 하 차이에 대한 범위는 $-10.6{\sim}9.7^{\circ}C$이었다 또한, 표층과 저층의 염분 차이는 $-27.1{\sim}30.0$ psu 범위이었다. 염분 농도의 차이가 큰 경우는 담수의 유입량이 크거나 배수갑문의 조작에 의한 해수유입이 많은 상태에서 나타났다. 수온과 염분의 관계는 음의 상관성을 보여, 즉 수온이 높을수록 염분 농도가 낮은 특성을 보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경기도. 2002. 화옹호 수질개선대책
  2. 고석구. 1998. 시화호 수질관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46: 13- 18
  3. 고철환. 2001. 한국의 갯벌 - 환경, 생물 그리고 인간. 서울대학 교 출판부, 서울. pp. 645-951
  4. 김미아, 김영희, 이홍근, 황대호, 김지영. 2004. 화옹호의 부영양 화 방지를 위한 영양염류 삭감률 산정. 한국물환경학회지 20: 589-596
  5. 김은수, 김경태, 조성록. 1998. 시화호 해수 및 표층 퇴적물의 생지화학적 연구. 해양연구 20: 237-250
  6. 김종구, 김준우, 조은일. 2002. 시화호의 배수갑문 운용에 따른 수질변화. 한국환경과학회지 11: 1205-1215
  7. 농업기반공사 농어촌연구원. 2000. 화옹지구 간척지 개발사업 담수호 수질개선대책 조사보고서 I (화옹담수호수질개선대 책안)
  8. 농업기반공사 농어촌연구원. 2001. 화옹지구 간척지 개발사업 담수호 수질개선대책 조사보고서 II (기본조사 보고서)
  9. 박용철, 박준건, 한명우, 손승규, 김문구, 허성회. 1997. 시화호 산화-환원 환경하의 용존 유∙무기 화합물의 생지화학적 연구. 바다(한국해양학회지) 2: 53-68
  10. 신재기, 김동섭, 조경제. 2000a. 시화호에서 해수유입 전∙후의 수환경 요인과 식물플랑크톤 동태. 한국환경과학회지 9: 115-123
  11. 신재기, 김동섭, 조경제. 2000b. 시화호에서 무기영양염과 식물 플랑크톤 동태. 육수지 33: 109-118
  12. 신재기, 황순진, 김동섭, 강창근. 2003. 시화호 유역에서 배수시 스템별 하천수의 비옥도 비교. 육수지 36: 381-388
  13. 신재기. 2003. 평택호에서 수환경과 식물플랑크톤의 계절적 동 태. 한국조류학회지 18: 145-156
  14. 유명진, 홍대벽, 조용균, 권은미, 구윤회. 2000. 새만금 유역의 강우시 오염물질 유출 특성. 대한환경공학회지 22: 1609- 1616
  15. 이기영, 성현찬, 송미영, 이상협, 황순진. 1999. 화옹호 오염원 및 부영양화 평가와 수질개선을 위한 종합연구. 경기개발 연구원 연구보고서. 176p
  16. 이봉훈. 2006. 비점오염포럼: 농업용수 수질개선대책 추진방향. 서울대학교, 서울. pp. 45-66
  17. 이상호, 최현용, 손영태, 권효근, 김영곤, 양재삼, 정해진, 김종구. 2003. 하계 서해안 새만금 연안역 주변 저염수와 순환. 바다(한국해양학회지) 8: 138-150
  18. 이효재. 1999. 시화호의 실패.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지방포럼 1: 86-88
  19. 장재호, 윤춘경, 정광욱, 김형철. 2006. 화옹유역 남양천의 수질 관리를 위한 QUAL2E 적용과 위해성 평가. 육수지 39: 110-118
  20. 정광욱, 윤춘경, 장재호, 김형철. 2006. 유역의 토지이용과 오염 원 현황이 수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육수지 39: 41-51
  21. 정미희, 김호섭, 최청일, 황순진. 2004. 화옹호의 식물플랑크톤 과 환경요인. 육수지 37: 193-204
  22. 정종철. 2000. 시화호 갑문조절을 통한 수질개선 효과 분석. 한국물환경학회지 16: 1-8
  23. 정회수, 최강원, 김동선, 김채수. 1997. 한국 서해안 시화호의 오염 현황과 환경개선 방안. 해양정책연구 12: 123-163
  24. 조홍연. 2005. 시화호 배수갑문 조작에 의한 염도 및 탁도변 화. 한국해양과학기술협의회 공동학술대회 초록집, pp. 642
  25. 최정훈, 김계영, 홍대벽. 2000. 배수갑문 운용에 따른 시화호의 수온과 염분 변화. 한국지구과학회지 21: 541-552
  26. 홍사욱, 조현영, 나규환. 1976. 아산호의 육수학적 연구. 육수지 9: 55-59
  27. 황순진. 2002. 화옹호 조성에 따른 수질오염도 및 생태계 변화 추이(I). 안산환경기술개발센터 조사보고서
  28. 황순진. 2003. 화옹호 조성에 따른 수질오염도 및 생태계 변화 추이(II). 안산환경기술개발센터 조사보고서
  29. APHA. 1997. Standard methods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19th ed.,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Washington, D.C., USA
  30. Choi, C.I., Y.H. Chung, I.S. Wui, S.K. Baik, J.B. Lee and S.I. Yang. 1985. Limnological studies on Lake Yongsan, Korea. Korean J. Limnol. 18: 15-26
  31. Han, M.W. and Y.C. Park. 1999. The development of anoxia in the artificial Lake Shihwa, Korea, as a consequence of intertidal reclamation. Marine Pollution Bulletin 38: 1194-1199 https://doi.org/10.1016/S0025-326X(99)00161-7
  32. Hwang, S.J., H.S. Kim, M.H. Chung and C.I. Choi. 2003. Water quality and chlorophyll-a at the birth stage of a large reclaimed estuarine lake in Korea (Lake Hwaong). Korean J. Limnol. 36: 455-462
  33. Kalff, J. 2002. Limnology-Inland Water Ecosystems. Prentice- Hall, Inc. USA. pp. 202-217
  34. Ketchum, B.H. 1983. Estuarine characteristics. In: Ketchum, B.H. ed. Ecosystems of The World 26- Estuaries and Enclosed Seas. Elsevier Scientific Publishing Company, Amsterdam, Netherlands. pp. 1-14
  35. Kishi, M.J. 2000. Coastal lagoon ecosystems: a case study in lakes Nakaumi and Shinji, Japan. Journal of Marine Systems 26: 115-116 https://doi.org/10.1016/S0924-7963(00)00047-6
  36. Kremer, J.N. and S.W. Nixon. 1978. Ecological Studies 24- A Coastal Marine Ecosystem: Simulation and Analysis. Springer-Verag Berlin∙Heidelberg, Germany. pp. 5- 13
  37. Lenz, J. 1977. Hydrographic conditions. In, Rheinheimer, G. ed. Ecological Studies 25- Microbial Ecology of a Brackish Water Environment. Springer-Verag Berlin∙ Heidelberg, Germany. pp. 12-25
  38. Medina-Gomez, I. and J.A. Herrera-Silveira. 2003. Spatial characterization of water quality in a karstic coastal lagoon without anthropogenic dusturbance: a multivariate approach. Estuarine. Coastal and Shelf Science 58: 455-465 https://doi.org/10.1016/S0272-7714(03)00112-4
  39. Newton, A. and S.M. Mudge. 2003. Temperature and salinity regimes in a shallow, mesotidal lagoon, the Ria Formosa, Portugal. Estuarine. Coastal and Shelf Science 57: 73-85 https://doi.org/10.1016/S0272-7714(02)00332-3
  40. Nixon, S.W. and J.N. Kremer. 1977. Narrangansett Baythe development of a composite simulation model for a New Englend estuary. In: Hall, C. and J. Day. (eds.). Ecosystem Modelling in Theory and Practice: An Introduction with Case Histories. Wiley, New York. pp. 622- 673
  41. Simpson, J.H., C.M. Allen and N.C.G. Morris. 1978. Fronts on the continental shelf.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83: 4607-4614 https://doi.org/10.1029/JC083iC09p04607
  42. SPSS. 2003. SPSS 12.0 base user's guide. SPSS, Chicago, USA
  43. Wetzel, R.G. 2001. Limnology: Lake and River Ecosystems. 3rd Edition. Academic Press, California, USA. 1006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