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ophic State and Water Quality in Major Lakes of the Sumjin and Youngsan River Systems

섬진강 ${\cdot}$ 영산강 수계 주요 호소의 수질 동향과 영양상태 조사

  • Yi, Sang-Hyon (Division of Ocean System Engineering, Mokpo National Maritime University) ;
  • Chang, Nam-Ik (Youngsan-River Environment Research Laboratory,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 Kim, Jong-Min (Youngsan-River Environment Research Laboratory,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 Kim, Hyun-Ku (Youngsan-River Environment Research Laboratory,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 Cho, Young-Gwan (Water Quality Research Institute of Waterworks) ;
  • Jeong, Jin (Water Quality Research Institute of Waterworks) ;
  • Sin, Yong-Sik (Division of Ocean System Engineering, Mokpo National Maritime University)
  • 이상현 (목포해양대학교 해양시스템공학부) ;
  • 장남익 (국립환경과학원 영산강물환경연구소) ;
  • 김종민 (국립환경과학원 영산강물환경연구소) ;
  • 김현구 (국립환경과학원 영산강물환경연구소) ;
  • 조영관 (광주시수질연구소) ;
  • 정진 (광주시수질연구소) ;
  • 신용식 (목포해양대학교 해양시스템공학부)
  • Published : 2006.09.30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analyze water quality (temperature, secchi depth, DO, $NH_4$, $NO_3$, $PO_4$, TN, TP, chlorophyll a) and trophic state index during the period of year 2000 ${\sim}$ 2004 in Lake Juam, Lake Dongbok and Lake Youngsan. Lakes Juam and Dongbok except Lake Youngsan were stratified during warm seasons. Water turbidity estimated by secchi disk depth was the highest in Lake Youngsan compared with other lakes. DO concentrations were low in the bottom water when chlorophyll a was high in Lake Juam and Dongbok. Nutrient concentrations were higher in Lake Youngsan than other lakes whereas chlorophyll a was highest in Lake Dongbok. Lake Youngsan was the most eutrophic compared to other two lakes based on the Trophic State Idex (TP) and TSI (SD), The TSI (CHL) was high but the TSI (TP) were low in Lake Juam and Dongbok. These results suggest phytoplankton may be limited by phosphates (P) in Lake Juam and Dongbok whereas light availability in the water column may affect growth of phytoplankton in Lake Youngsan.

조사 시기 동안 (2000~2004년) 주암호와 동복호에서는 겨울을 제외한 시기에 표층과 저층의 수온차이로 인해성층화가 발생하였지만 영산호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투명도는 주암호>동복호>영산호 순으로 영산호에서 낮은 투명도를 보였으며 주암호와 동복호에서는 식물플랑크톤의 생물량이 높게 나타나는 가을 저층에는 저산소상태로 수질 악화를 나타내었다. 암모니아, 질산염, 인산염 TN, TP는 주암호와 동복호에 비해 영산호에서 높게 나타났으나 클로로필 a는 평균적으로 동복호에서 높았으며 영산호에서 낮았다. 3개호소의 여름, 가을 연평균 영양상태는 평균적으로 영산호>동복호>주암호 순으로 영산호에서 높았다. 주암호와 동복호에서는 TSI (CHL)>TSI (SD)>TSI (TP) 순으로 나타나 조류성장에 있어 인산염이 제한영양염으로 작용할 가능성을 나타내었으며 영산호에서는 TSI (TP)>TSI (SD)>TSI (CHL) 순으로 나타났다. 영산호에서는 인산염에 의한 제한보다는 탁도 즉 광량에 의한 제한이 식물플랑크톤의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주암호는 빈, 중영양을 보였으며, 동복호에서는 중, 부영양을 영산호에서는 부, 과영양을 보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동섭, 김범철, 황길순, 박주현. 1995. 팔당호의 부영양화 경향 (1998-1994), 한국수질보전학회지 11: 295-302
  2. 김범철, 박주현, 허우명, 임병진, 황길순, 최광순, 최종수. 2001. 국내 주요 호수의 육수학적 조사(4): 주암호, 육수지 24: 30-44
  3. 김범철, 안태석, 조규송. 1988. 한강수계 인공호의 부영양화에 관한 비교 연구, 육수지 21: 151-163
  4. 김용재. 1998. 보문호의 LSI에 의한 영양상태 판정, 환경생물 16: 107-116
  5. 김용재. 2003. 영산강의 식물플랑크톤 군집 동태, 한국조류학회지 'Algae' 18: 207-212
  6. 김원재, 최의소. 1996. 국내의 부영양화 지수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수질보전학회 논문초록집. pp. 11-15
  7. 박제철, 김동섭, 이승환. 2004. 금오지의 수환경 및 부영양화 평가, 한국환경과학회지 13: 389-2004
  8. 박종근. 2005. 대청호의 수질 환경요인과 영양단계 평가, 육수지 38: 382-392
  9. 박혜경, 천세억, 박승익, 이문호, 유재근. 1992. 국내 주요댐호에 있어서의 계절별 종류종 천이, 한국수질보전학회지 8: 150-158
  10. 배상옥, 이용운, 이성우, 정선용. 2000. 주암호 영양상태 및 인 부하 분석, 환경영향평가 9: 291-300
  11. 서정관, 유재정, 이재정, 양상용, 정익교. 2003. 운문호의 식물플 랑크톤 군집동태와 영양단계 평가, 한국조류학회지 'Algae' 18: 135-143 https://doi.org/10.4490/ALGAE.2003.18.2.135
  12. 선연종, 조 철, 김병춘, 허인애, 윤준헌, 장남익, 차성식, 조양기. 2003. 주암호의 계절별 수온 구조와 열수지 변화, 육수지 36: 227-285
  13. 신윤근, 전상호. 2002. 아산호의 생태학적 연구 1. 이화학적 특 성과 영양상태, 육수지 35: 181-186
  14. 정 준, 김한순, 김용재, 1994. 낙동강 하구댐의 식물플랑크톤 군집구조, 육수지 27: 33-46
  15. 조기안, 안병권, 홍순강, 정동옥. 1999. 영산강하류의 계절 변화 에 따른 수질특성과 유기인산염의 분해율에 관한 연구 I- 부영양화를 중심으로-, 한국환경과학회지 8: 691-697
  16. 유순주, 채민희, 황종연, 이재안, 박종겸, 최태봉. 2005. 담수 이 후 용담호 영양상태 변동 요인 분석, 한국물환경학회지 21: 360-367
  17. 윤석태, 고영구, 오강호, 문병찬, 김해경. 2003. 영산강 하류권역 하천수의 수질평가, 환경영향평가 12: 259-270
  18. 이기호, 백순기, 김백호. 2005. 주암호 식물플랑크톤 군집 통태- 와편모조 Peridinium bipes를 중심으로, 육수지 38: 249- 260
  19. 이대행, 조영관, 이정진. 2000. 동복호 퇴적물이 수질에 미치는 영향, 공동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pp. 307-310
  20. 이정호, 박종근, 김은정. 2002. 국내 주요 호수의 식물플랑크톤 종조성 및 영양단계 평가, 한국조류학회지 'Algae' 17: 275-281
  21. Barnes, R.S.K. and K.M Mann. 1991. Fundamentals of Aquatic Ecology. Blackwell Scientific Publications. Oxford
  22. Carlson, R.E. 1977. A trophic state index for lakes. Limnol. Oceanogr. 22: 361-369 https://doi.org/10.4319/lo.1977.22.2.0361
  23. Forsberg, O., S.-O. Ryding, A. Forberg and A. Claesson. 1978. Water chemical analyses and/or algal assay? Sewage effluent and polluted lake water studies. Mitt. Internat. Verein. Limnol. 21: 252-363
  24. Fujimoto, N. and R. Sudo. 1997. Nutrient-limited growth of Microcystis aerugimosa and Phormidium tenue and competition under various N : P supply ratios and temperatures. Limnol. Oceonogr. 42: 250-256 https://doi.org/10.4319/lo.1997.42.2.0250
  25. Hecky, R.E. and P. Kilham. 1988. Nutrient limitation of phytoplankton in freshwater and marine environment: A review of recent evidence on the effects of enrichment. Limnol. Oceanogr. 33: 796-822 https://doi.org/10.4319/lo.1988.33.4_part_2.0796
  26. Imberger, J. 1998. Physical processes in lakes and oceans. American Geophysical Union, Washinton D.C
  27. Karl, E.H. 2000. Using Trophic State Index(TSI) values to draw inferences regarding phytoplankton limiting factors and seston composition from routine water quality monitoring dada. Korea J. Limnol. 33: 187-196
  28. Kratzer, C.R. and P.L. Brezonik. 1981. A Carson-type trophic state index for nitrogen in Florida lakes. Water Res. Bull. 17: 713-715 https://doi.org/10.1111/j.1752-1688.1981.tb01282.x
  29. Redfield, A.C. 1985. The biological control of chemical factors in the environment. Amer. Sci. 46: 205-255
  30. Seppälä, J., T. Tamminen, S. Kaitala. 1999. Experimental evaluation of nutrient limitation of phytoplankton communities in the Gulf of Riga. J. Mar. Syst. 23: 107-126 https://doi.org/10.1016/S0924-7963(99)00053-6
  31. Smith, V.H, 1983. Low nirogen to phosphorus ratios favor dominance by blue-green algae in lake phytoplankton. Sci. 221: 669-671 https://doi.org/10.1126/science.221.4611.669
  32. Welch, E.B. and T. Lindell, 1992. Nutrient limitation. In: Ecological effects of wastewater, 2nd. Champman & Hall Press, London, pp. 34-135
  33. Wetzel, R., 2001. Limnology. In: Lake and River Ecosystem, 3rd ed. Academic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