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가정부문 직간접 에너지소비의 증가요인 분석: 1990~2000

Decomposition of Direct and Indirect Energy Consumption Growth in Korea from 1990 to 2000

  • 박희천 (인하대학교 경상대학 경제학부)
  • 발행 : 2006.06.30

초록

가정부문 에너지소비의 경우 주로 전력, 난방유, 휘발유, 도시가스, 지역난방 등과 같이 가계가 직접 구입하고 있는 에너지에 대하여 분석이 이루어지고 있다. 총지출 중에서 이러한 직접에너지 구입이 차지하는 비중이 작기 때문에 많은 가계들은 에너지절약에 별 관심을 두지 않고 있다. 2000년의 경우 한국 가정부문은 총지출의 6.2%만을 직접에너지 구입에 사용하였다. 본고는 산업연관표를 사용하여 1990~2000년 기간 동안 한국의 가정부문 직간접 에너지소비를 추정하고, 요인분해방법을 사용하여 가정부문 에너지 총소비 증가요인을 성장효과, 구조효과와 효율효과로 분석하였다. 한국의 가정부문은 2000년에 직접과 간접적으로 각각 1차 에너지의 약 20%와 31%를 소비하였다. 반면에 기존 에너지통계는 자가용 수송에너지를 제외한 2000년 가정부문의 에너지소비를 최종에너지의 15.5%로 추정하고 있다. 간접 에너지를 포함하면 가정부문이 1차 에너지소비의 최대 경제부문이 된다. 가정부문 에너지소비의 60%는 간접 소비다. 에너지 다소비 철강 및 화학 업종을 제외하면 간접에너지 비율이 직접에너지 비율보다 월등히 높다. 따라서 직접 에너지소비보다는 간접과 총 에너지소비가 에너지절약 정책의 주요 대상이 되어야 한다.

As energy conservation can be realized through changes in the composition of goods and services consumed, there is a need to assess indirect and total household energy requirements. The Korean household sector was responsible for about 55% of the country's primary energy requirement in the period from 1990 to 2000. And more than 60% of household energy requirement was indirect. Thus, indirect and total rather than direct household energy requirements should be the target of energy conservation policies. Increases in household consumption expenditure were responsible for a relatively high growth of energy consumption. Switching to consumption of less energy intensive products and decrease in energy intensities of products contributed substantially to reduce the increase in total household energy requirement.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