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ractical use of process skill and the perception about hypothesis by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중등학교 과학 교사들의 탐구 과정의 활용 정도와 가설에 대한 인식

  • Published : 2006.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actical use of process skill under the seventh curriculum at secondary school and teachers' perceptions about hypothesis. Two hundred and twenty-two secondary science teachers responded to a survey. Among all process skills, data interpretation was found to be used most frequently by science teachers. The second most-commonly utilized skill was conclusion, and the least employed skill was hypothesis formation followed closely by data transformation. In addition to these results, the most difficult process skill practised by science teachers was hypothesis formation, followed by data transformation, and controling variables. A majority of science teachers (63.1%) properly defined hypothesis, but only a significant number (5.0%) chose the correct example about hypothesis in real-world contexts. More than ninety percent of science teachers believed the skill of hypothesis formation could be put to use in junior high to senior high school, but practical use of the skill, was too difficult for the science class

중 고등학교 현장 과학 교사들을 대상으로 7차 교육과정의 탐구 과정 요소의 활용 정도와 가설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사하였다. 조사 결과 교사들은 자료해석을 가장 많이 활용하였으며 다음으로 결론 도출을 많이 활용하였다. 가장 활용 빈도가 낮은 것은 가설 설정이었으며 다음으로는 자료 변환이었다. 이러한 결과와 더불어 교사들이 가장 활용하기 힘들다고 응답한 탐구 과정 요소는 가설 설정이었으며 자료 변환, 변인 통제가 그 뒤를 이었다. 가설 설정은 현장에서 활용 빈도가 가장 낮으며 교사들이 가장 활용하기 힘들어하는 탐구 과정 요소로 나타났다. 가설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조사 결과 많은 교사들(63.1%)이 가설에 대해 바르게 진술하였으나, 구체적인 문제 상황에서 가설을 바르게 선택하는 교사의 비율(5.0%)은 매우 낮게 나타났다. 현장에서 가설 설정 수업의 가능성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조사 결과 90%이상의 교사들은 중학교 이상에서 가설 설정 수업이 가능하다고 보았다. 그러나 실제로 과학교사들은 가설 설정을 현장의 과학 수업에 활용하는 것을 어려워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현재 중등학교 현장에서 거의 활용되지 않고 있는 가설 설정 관련 수업이 가설에 대한 적절한 정의와 수업 전략이 주어진다면 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순희 (2001). 중학교 2학년 탐구 실험서 및 지도서-제7차 교육과정 과학 탐구 실험 및 실험 수행 평가 도구. 서울:자유아카데미
  2. 강순희, 우애자, 정영란, 최경희 (2002). 고등학교 1학년 과학과 탐구 실험서 및 지도서-제7차 교육과정 실험 수행 평가. 서울: 자유아카데미
  3. 강대호, 이종원, 문승한 (2003). 제7차 중학교 과학교과서의 탐구 영역 비교 분석. 교육 과정 평가 연구, 16(2)
  4. 교육부 (1998). 제7차 과학과 교육 과정(제7차 교육 과정 교육부 고시 제 1997-15호). 서울: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5. 권용주, 양일호, 정원우 (2000). 예비 과학교사들의 가설 창안 과정에 대한 탐색적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1), 29-42
  6. 권용주, 정진수, 강민정, 김영신 (2003). 과학적 가설 지식의 생성 과정에 대한 바탕이론.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5), 458-469
  7. 김창식, 이화국, 권재술, 김영수, 김찬종 (1993). 과학학습 평가 (2판). 서울: 교육과학사
  8. 박종원 (2000). 학생의 과학적 설명 가설의 생성 과정 분석. 한구과학교육학회지, 20(4)
  9. 정진수 (2004). 과학적 가설 생성에 대한 삼원귀추모형의 개발과 적용.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0. 조희형, 최경희 (2001). 과학교육 총론. 서울: 교육과학사
  11. AAAS (1965), Science - A Process Approach, Washington, Am As for the Ad Sc
  12. Driver, R. (1988). Pupil as scientists? Milton Keynes: Open University Press
  13. Fisher, H. R.(2001). Abductive reasoning as a way of worldmaking. Foundations of Science, 6, 361-383
  14. Hanson, N. R.(1958). Pattern of Discovery. (송진웅.조숙경 역, 1995).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5. Hempel, C, G. (1966). Philosophy of National Science. Prentice-Hall
  16. Klahr, D., & Dunbar, K. (1988). Dual space search during scientific reasoning. Cognitive Science, 12
  17. Lawson, A. E. (1995). Science teaching and the development of thinking. Belmont, CA; Wadworth Publishing Company
  18. Lawson, A. E.(2002). What does Galileo's discovery of Jupiter's moons tell us about the process of scientific discovery? Science and Education, 11, 1-24
  19. Millar, R. (1989). What is scientific method and can it be taught? In J. Wellington(Ed.), Skills and processes in science education: A critical analysis (pp. 44-58). London: Routledge
  20. Paavola, S. (2004). Abduction as a logic and methodology of discovery: The importance of strategies. Foundation of Science, 9, 267-283
  21. Peirce Edition Project (Ed.), (1998). The essential Peirce: Selected philosophical writing (Volume II), Indianapolis, ID: Indiana University Press
  22. Popper, K. (1968). The logic of scientific discovery. New york: Harper & Row, Publisher
  23. Quinn, M, E., & George, K, D. (1975). Teaching hypotheses formulation. Science Education, 59(3), 289-296
  24. Salmon, M. H. (1995). Introduction to logic and critical thinking. New york: Harcourt Brace Jovanovich, Publisher
  25. Singleton, Jr., R. A., Straits, B. C., & Straits, M. M. (1993). Approaches to social research (2nd Ed).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6. Wenham, M.(1993). The nature and role of hypotheses in school investiga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5(3), 231-2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