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es of Volition Strategy by Achievement Level of the Students with High Learning Motivation

학습동기가 높은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수준에 따른 의지조정 전략 분석

  • Published : 2006.06.30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frequency and type of volition strategy, according to achievement level, employed by students with high learning motivation, and to identify the role volition strategy plays in keeping students motived to learn science. To accomplish these aims, two groups of students(each containing three members) were selected. Students in the two groups both had the same cognitive level and high learning motivation. However, one group's science achievement was high, and the other was low. Through interviews and class observations, volition strategies students in the two groups used when they encountered hindrances in science learning were compared.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a relationship between achievement level and volition strategy. Students showed differences in the frequency and types of volition strategies used according to science achievement. It was found that students with higher achievement levels used volition strategies more often to overcome hindrances in science learning than those with lower achievement levels. Furthermore, students with higher achievement levels generally used internal mind control strategies while those with lower achievement levels used environmental control strategies. Lastly, findings found that the types of volition strategies used by lower achievement level students were very limited.

이 연구는 학습동기가 높은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수준에 따라 그들이 사용하는 의지조정 전략의 빈도와 유형을 분석하여, 과학학습에 학습을 유지시켜 주는 의지조정 전략의 역할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인지수준이 같고 학습동기가 높은 학생들 중에서 학업성취도 수준이 높은 학생 3명과 낮은 학생 3명을 선정, 이들을 면담과 수업관찰을 통하여 학습을 방해받는 상황에서 사용되는 의지조정 전략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학업성취도와 의지조정 전략 간에는 일정한 관련이 었으며, 학업성취도 수준에 따라 의지조정 전략 사용 빈도와 사용하는 의지조정 전략 유형에 있어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학업성취도 수준이 높은 학생은 학업성취도 수준이 낮은 학생보다 의지조정 전략을 더 빈번히 사용하여, 학습을 방해받는 상황에서도 계속적으로 학습을 유지하였다. 또한 학업성취도가 높은 학생은 다양한 내적통제 전략을 사용하는데 비해 학업성취도가 낮은 학생은 환경통제 전략을 주로 사용하며 한정된 의지조정 전략을 사용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병석, 김영신, 정완호, 이길재 (2001). 수업에서 학습의지전략과 학습전략 및 성취도와의 관계. 한국생물교육학회지, 29(4), 300-308
  2. 김영상, 전성윤 (2001). 의지조정 전략의 교수가 학업성취와 사회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교육심리연구, 15(4), 463-480
  3. 박승재, 임성민, 박종호, 유준희, 이용복, 정은숙, 홍준의 (2003). 탐구실험 중심 과학교육 활성화 방안. 서울시 교육청, 정책연구과제 보고서
  4. 박승호 (1995). 초인지, 초동기, 의지 통제와 자기조절 학습과의 관계. 교육심리연구, 9, 57-90
  5. 이종삼 (1997). 초중등학생의 자기조정 학습 전략 및 의지 통제 전략 사용에서 차이. 교육학연구, 35, 137-160
  6. 최병순, 허명 (1987). 중학생들의 인지수준과 과학교과 내용과의 관계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7(1), 19-32
  7. 최영준, 최병순, 이원식 (1985). 중고등학생들의 논리적 사고력 형성에 관한 연구 1. 한국과학교육학회지, 5(1), 1-11
  8. 최진승, 박경옥, 박금옥 (1998). 의지통제 방략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학생연구, 2, 63-85
  9. Corno, L. (1989). Self-regulated learning: A volitional analysis. In B. J. Zimmerman., & D. H. Schunk (Eds.).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pp. 111-142). New York: Springer -verlag
  10. Corno, L. (1993). The best-laid plans: Modem conceptions of volition and educational research. Educational Researcher, 22, 14-22
  11. Corno, L., & Kanfer, R. (1993). The role of volition in learning and performance. In L. Darling-Hammond (Ed.). Review of reseach in education, 19, 301-341
  12. Garcia, T., McCann, E. J., Turner, J. E., & Roska, L.(1989). Modeling the mediating role of volition in the learning process. Contemporary Educational Rsychology, 23, 392-418
  13. Kuhl, J. (1985). Volitional mediators of cognition-behavior consistency: Self-regulatory processes and action versus state orientatioa In J, Kuhl., & J. Beckmann (Eds.). Action control: From cognition to behavior (pp. 101-128). New York: Springer -Verlag
  14. Roadrangka, V., Yeany, R. H., & Padilla, M J. (1983). Th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group asessment of logical thinking (GALT).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NAR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