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과학 영재학급 학생들과 일반 학생의 인지적 특성 비교 분석

A Comparison Analysis of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Between Science-Gifted Education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 발행 : 2006.06.30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과학영재 학급 학생들의 지적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위하여 72명의 과학영재학급 학생들을 선발하였다. 그리고 이 학생들의 다중지능, 창의성, 그리고 과학탐구능력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과학 영재 학급 학생들의 특성을 일반 학생들의 특성과 비교하기 위하여 78명의 일반학생들을 대상으로 동일한 검사를 실사하였다. 그 결과, 과학영재교육을 받는 학생들은 논리 수학적 지능, 개인이해 지능, 자연탐구 지능이 일반학생보다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특히 논리 수학적 지능과 개인이해 지능은 강점 지능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8개지능 가운데 음악적 지능은 약점으로 나타났다. 과학영재 학급 학생들은 창의력과 과학탐구능력도 일반학생들보다 뛰어났다. 초등학교에서 이루어지는 과학영재교육 프로그램의 효율올 높이기 위하여 우리는 영재 교육을 받는 학생들의 이러한 지적 특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tudents in science-gifted education. For this, 72 science-gifted students were selected. Multiple intelligences, creativity, and the science process skills of these students were tested. To compare these traits with those of general students, 78 general students were also tes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science-gifted students significantly surpassed general students in the areas of logical-mathematics, intra-person, and naturalist. Especially, the intelligences of logical-mathematics and intra-person were strong point of the science-gifted students. But music intelligence among the 8 intelligence was weak point. Creativity and the science process skills of the students in science-gifted education excelled those of general students. Therefore,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the science-gifted education program in elementary school,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키워드

참고문헌

  1. 권재술, 김범기(1994). 초중학생들의 과학탐구능력 측정도구의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4(3), 251-264
  2. 김동욱, 원정애, 백성혜(2005). 초등학교 과학 영재아들의 탐구능력에 대한 분석. 청람과학교육연구논총, 14(1), 60-72
  3. 김명숙(2002). 창의성의 영역 특수성. 교육심리연구, 16(2), 153-172
  4. 김명숙, 정대련, 이종희(2002). 과학영재의 창의성, 환경, 그리고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관한 연구. 아동학회지,23(3),91-108
  5. 김현진(1999). 다중지능 측정도구의 타당화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문용린 역(2003). 디중지능-인간지능의 새로운 이해. 김영사. [원전: Gardner, H. (1999). Intelligence Reframed, Basic Books.]
  7. 박종원(2004). 과학적 창의성 모델의 제안 -인지적 측면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2), 375-386
  8. 서울특별시교육연수원(2002). 초등영재교육담당교원 직무연수(과학반)자료집, 서교 2002-초등-II- 39, 서울특별시교육연수원
  9. 신명희, 김주현(2002). 과학영재의 지능특성 연구. 연세교육과학, 50, 77-92
  10. 신지은, 한가순, 정현철, 박병건, 최승언(2002). 과학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은 창의성에서 어떻게 다른가? 한국과학교육학회지,22(1), 158-175
  11. 심재영, 김언주(2003). 과학영재 집단의 영재성 요인 타당화 연구. 교육심리연구, 17(1), 241-255
  12. 양태연, 배미란, 한기순, 박인호(2003). 과학영재의 과학관련태도와 지능 및 과학 탐구능력과의 관계.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5), 531-543
  13. 이영덕, 정원식(1970). 표준화 간편 창의성 실시요강 및 규준.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교육연구소, 코리안 테스팅 센터
  14. 전경원(2000). 한국의 새천년을 위한 영재교육학. 학문사
  15. 최선영, 송현정. 강호감(2005). 초등과학영재학급 학생의 학습양식과 과학탐구능력간의 상관관계. 초등과학교육, 24(2), 103-110
  16. 최일호, 최인수(2001). 새로운 생각은 어떻게 가능한가: 전문분야 창의성에 대한 학습과정 모형 접근. 한국심리학회지, 20(2), 409-428
  17. 최정민(2001). 초등학생의 다중지능과 창의성 및 학업성취도의 관계. 교육심리연구, 7, 149-171
  18. 한기순(2000). 창의성의 영역 한정성과 영역 보편성에 관한 분석과 탐구. 영재교육연구, 10(2), 47-69
  19. 한기순, 배미란(2004). 과학영재와 일반학생들 간의 사고양식과 지능 및 창의성간의 관계 비교. 교육심리연구. 18(2), 49-68
  20. 한기순, 배미란, 박인호(2003). 과학영재들은 어떻게 사고하는가?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1), 21-34
  21. Blurton, C. (1983). Science Talent: The Elusive Gift.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83(8), 654-664
  22. Borland, J. H. (1997). The Construct of Giftedness. Peabody Journal of Education, 72(3&4), 6-20
  23. Callahan, G M, Tomlinson, C A, Moon, T. R, Tornchin, E. M., & Plucker, J. A. (1995). Project SRART: Using a multiple intelligences model in identifying and promoting talent in high-risk students. (Research Monograph No. 95136). Charlottesville, VA: University of Virginia
  24. Fasko Jr., D. (2001). An Analysis of Multiple Intelligences Theory and its use with the Gifted and Talented. Roeper Review, 23(3), 126-130
  25. Feldhusen, J. F. (1986). A new conception of giftedness and programming for the gifted. Illinois Council for the Gifted Journal, 5, 2-6
  26. Maker, C. J., Nielson, A R., & Rogers, J. A (1994). Giftedness, diversity, and problem-solving. Teaching Exceptional Children, 27, 4-19
  27. Meador, K S. (2003). Thinking creatively about science. Gifted Child Today Magazine, 26(1), 25-30
  28. Plucker, J. A. (2001). Intelligence theories on gifted education. Report Review, 23(3), 124-126
  29. Reid, C., & B. Romanoff. (1997). Using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to identify gifted children. Educational Leadership, 55(1), 71-74
  30. Renzulli, J. S. (1978). What makes giftedness: Reexamining a definition. Phi Delta Kappa, 60, 180-184
  31. Rillero, R (1998). Process Skills and Content Knowledge. Science Activities, 35(3), 3-4
  32. Minton, S. (2003). Assessment of high school students' creative thinking skills: a comparison of dance and nondance classes. Research in Dance Education, 4(1), 31-49
  33. Weisberg, R. W. (1986). Creativity: Genius and other myths. New York: Freem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