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Gender Differences in TIMSS 2003 Science Achievement

TIMSS 2003 과학 성취도에서의 성 차이

  • Published : 2006.08.30

Abstract

Gender differences in TIMSS 2003 science achievement by item type, benchmark, and content area were examined by producing a Gender Differences Index (GDI) in this study. International trends identified that male students performed better than female students in TIMSS 2003 science achievement in all types of items. The overall achievement of Korean male students was better than Korean female students, especially in multiple-choice type items. Male students outperformed females in three benchmarks, including advanced, high, and intermediate international benchmark, but they did not outperform females in the low international benchmark when gender differences of the international average as well as the Korean average were taken into accoun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international average and the Korean average by content area showed that gender differences were the greatest in earth science and smallest in chemistry. In life science, female students excelled when considering the international average while male students excelled when considering the average of Korean students' performance. In addition, the number of items in which male students outperformed females was larger in both factual knowledge and the conceptual understanding domain. Implications for reducing gender differences in science achievement in Korea based on the results were provided.

이 연구에서는 TIMSS 2003 과학 문항의 GDI(Gender Difference Index) 값을 산출하여 문항 유형, 성취수준, 내용 영역에 따른 남학생과 여학생의 성취도 차이를 살펴보았다. TIMSS 2003 의 과학 성취도에서 문항 유형에 상관없이 우리나라와 국제 결과 모두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성취도가 높았으며, 우리나라 여학생들은 특히 선다형 문항에서 남학생보다 성취도가 낮았다. 성취수준에 따른 남 여학생의 성취도를 비교한 결과, 우리나라와 국제 평균 모두 기초 수준을 제외하고 다른 3개의 성취수준에서 남학생의 성취도가 여학생의 성취도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고, 보통 수준에서 그 차이가 가장 크고 기초 수준에서 가장 작았다. 내용 영역별로 남 여학생의 성취도를 비교한 결과, 우리나라와 국제 평균 모두 지구과학 영역에서 차이가 크게 나타났고 화학 영역에서 그 차이가 가장 작았다. 생물 영역의 경우 국제 평균에서는 여학생의 성취도가 높게 나타난 반면에, 우리나라에서는 남학생의 성취도가 높게 나타났다. 남학생틀의 성취도가 높은 문항들은 지구과학 영역에 속하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많았으며, 학교 교육과정에서 다루어지지 않은 문항들의 비율 또한 비교적 높았다. 인지 영역별 분포를 볼 때는 남학생들이 높은 성취도를 보이는 문항은 사실적 지식과 개념 이해를 묻는 문항인 경우가 많았다.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파학 교육에서 성차를 줄이기 위한 방안들을 논의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박정, 홍미영, 이봉주, 전현정 (2003). 수학과학 성취도 추이변화 국제비교 연구(TIMSS-2003) - 본검사 시행보고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 박정, 정은영, 김경희, 한경혜 (2004). 수학.과학 성취도 추이변화 국제비교 연구 - TIMSS 2003 결과 보고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3. 선동희, 김동영 (2003). 평가 방법에 따른 과학 성취도에서의 성 차이.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3), 265-275
  4. 신동희, 박정 (2002). 국제비교연구에 나타난 우리 나라 학생들의 지구과학 성취도: 성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지구과학교육학회지, 23(3), 207-220
  5. 우종옥, 이항로, 민준규 (1995). 계통도를 이용한 중.고등학생들의 지구와 달의 운동에 관한 개념 유형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5(4), 379-393
  6. 이미경, 곽영순, 민경석, 채선희, 최성연 (2004). PISA 2003 결과 분석 연구 -수학적 소양, 읽기 소양, 과학적 소양 수준 및 배경변인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04-2-1
  7. 이미경. 홍미영, 정은영 (2004). TIMSS-R 과학 성취도에서의 성 차이.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6), 1235-1244
  8. 정은영 (2005). TIMSS 2003에서 우리나라 중학생들의 생물 영역 성취도 분석.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3(3), 277-290
  9. 정해숙, 정경아 (2003). 교사의 성인지적 교육활동 능력 제고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 한국여성개발원
  10. 진희정 (2002). 여학생 친화적인 과학 교육 프로젝트의 내용 비교 및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1. Bell, J. F. (2001). Investigating gender differences in the science performance of 16-year-old pupils in the UK.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3(5), 469-486
  12. Bolger, N., & Kellaghan, T. (1990). Method of measurement and gender differences in scholastic achievement. Journal of Educational Measurement, 28, 23-35
  13. Breland, H. M. Danos, D. O., Kahn, H. D., Kobota, M. Y., & Bonner, M. W. (1994). Performance versus objective testing and gender: An explanatory study of an advanced placement history examination. Journal of Educational Measurement, 31, 37-50
  14. DeMars, C E. (1998). Gender difference in mathematics and science on a high school proficiency exam: The role of response format. Applied Measurement in Education, 11(3), 279-299
  15. Din, Y. Y., Ming, M. C, & Esther, S. C. H. (2004). Hong Kong student achievement in OECD-PISA study: Gender differences in science content, literacy skills, and test item format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and Mathematics Education, 2(1), 91-106
  16. Hamilton, L. S. (1998). Gender differences on high school science achievement tests: Do format and content matter? Educational Evaluation and Policy Analysis, 20(3), 179-195
  17. Haggerty, S. M. (1991). Gender and school science: Achievement and participation in Canada. Alberta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37(3), 195-208
  18. Lee, V. E., & Burkam, D. T. (1996). Gender differences in middle grade science achievement: Subject domain, ability level, and course emphasis. Science Education, 80(6), 613-650
  19. Martin, M. O., Mullis, I. V. S., Gonzalez, E . J., & Chrostowski, S. J. (2004). TIMSS 2003 international science report: Findings from JEA's Trends in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 at the fourth and eight grades. Boston: TIMSS & PIRLS International Study Center, Lynch School of Education, Boston College
  20. Mullis, I. V., Martin, M. O., Fierros, E. G., Goldberg, A. L., & Stemler, S. E. (2000). Gender difference in achievement; IEA's Third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 (TIMSS). MA: International Study Center
  21. Son, K. C. & Quek, K. S. (2001). Gender difference in TIMSS mathematics achievement of four Asian natioas: A secondary analysis. Studies in Educational Evaluation, 27, 331-340
  22. Taber, K. S. (1991). Gender differences in science preferences on starting secondary school. Research in Science and Technological Education, 9(2). 245-252
  23. Wester, A, & Henriksson, W. (2000). The interaction between item format and gender difference in mathematics performance based on TIMSS data. Studies in Educational Evaluation, 26, 79-90